검색결과
  •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가 실패한 이유는 …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가 실패한 이유는 …

    진보학계의 대표적 학자인 최장집(64.고려대 정치외교학.사진) 교수가 노무현 정부의 '개혁 실패'를 비판하는 글을 또 발표했다. 계간지 '비평' 봄호에 실릴 논문 '정치적 민주화:

    중앙일보

    2007.02.27 04:29

  • 진보 진영 대선 주도권 다툼 … 노 대통령까지 나섰다

    진보 진영 대선 주도권 다툼 … 노 대통령까지 나섰다

    그래픽 크게보기 노무현 대통령이 자신을 비판하는 진보 진영을 향해 7300여 자에 달하는 장문의 반박문을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렸다. '대한민국 진보 달라져야 한다'는 제목의 글이

    중앙일보

    2007.02.20 04:18

  • [김두우의시시각각] 한나라당의 희한한 낙관주의

    한나라당 사람들은 참 낙관적이다. 때로는 이해하지 못할 정도다. 어려웠던 시절의 회한과 각오 따위는 금방 잊어 버린다. 두 번의 대선에서 패배한 뒤의 그 참담했던 심정도, 탄핵

    중앙일보

    2007.02.04 19:22

  • [노무현 대통령 신년연설 전문]

    전부 노사모만 왔나봐요...감사합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홍돼지해 복많이 받으십시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참여정부 지난 4년간의 정책과 실적을 보고 드리

    중앙일보

    2007.01.23 23:48

  • 盧대통령-언론사 편집국장 간담회 전문③

    노 대통령과 중앙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 간담회 전문 세번째. ◆언론사 질문 "국민들 87년 개헌 헌법에 대한 애정이 있다" - 윤승용 홍보수석 : 그러면 다음 내일신문 신국장

    중앙일보

    2007.01.17 20:41

  • 진보 측도 "대선 단일 후보 내자"

    진보 측도 "대선 단일 후보 내자"

    진보진영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12일 서울 인사동 조계종단 대강당에서 열린 한국사회의 창조적 미래를 위한 시국토론회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임진

    중앙일보

    2007.01.13 04:24

  • [좌파 정권 10년 공과①] 권위주의 해체됐으나 국가 에너지 소진

    노무현 정부가 저물고 있다. 김대중(DJ)부터 현 참여정부까지를 일부 학계와 정치권에서는 ‘좌파 정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올해 대선 정국에서 보수세력은 DJ·노무현 정부를 ‘좌

    중앙일보

    2007.01.11 10:15

  • [김두우시시각각] 칼날 위에 선 중도

    한국의 정치사에서 '중도'의 이미지는 부정적이었다. 굴복의 정치수사적 표현쯤으로 여겨졌다. 박정희 정권 말기인 1970년대 후반 야당 지도자였던 이철승씨는 '중도통합론'을 주장했다

    중앙일보

    2007.01.07 20:38

  • 맞짱 뜨니 지지율도 뜨네

    맞짱 뜨니 지지율도 뜨네

    "각하, 한 번 꼭 해야 합니다." 25일 오후 2시 서울 영등포 쪽방촌을 찾은 고건 전 국무총리의 귀에 이런 소리가 들려왔다. 그를 에워싼 동네 주민과 노숙자 30여 명 중 한

    중앙일보

    2006.12.26 05:06

  • 고건의 반격 "노 대통령 고립은 무능력의 결과"

    고건의 반격 "노 대통령 고립은 무능력의 결과"

    고건 전 총리가 22일 서울 종로 사무실을 찾은 기자들에게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한 입장을 밝힌 뒤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최승식 기자 22일 고건 전 국무총리의 표정은 굳어

    중앙일보

    2006.12.23 04:35

  • "이념에 찌든 정치권 386 은 꺼져라"

    386, 그들도 나이를 먹었다. 목놓아 민주화를 외쳤던 그들의 치열한 20대는 가고, 어느덧 중년에 접어들었다. 그들은 우리 역사에서 권위주의 정권과 싸워 승리를 쟁취한 거의 유

    중앙일보

    2006.12.20 09:50

  • [특별기고]“민주화 정권 3대는 ‘잃어버린 15년’… 국민통합으로 희망의 불씨 살려라!”

    ▶ 지난 10월 26일 최규하 전 대통령 장례식에 참석한 전직 전두환,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사진 앞줄 왼쪽부터). 대한민국이 추락하고 있다는 우려의 소리가 점점 높아가고 있다

    중앙일보

    2006.11.27 11:00

  • [김두우칼럼] 남은 1년 누가 지키랴

    요즘 모임이나 술자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 있다. '노무현 죽이기'에 열을 올리다가 누군가 "그런데 얼마 남았지?"라는 말을 꺼내면 분위기는 침울해진다. "아직 1년3개월

    중앙일보

    2006.11.26 20:36

  • 부시- 펠로시 '여소야대' 선거 후 첫 만남

    부시- 펠로시 '여소야대' 선거 후 첫 만남

    미국 중간선거를 승리로 이끈 낸시 펠로시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왼쪽)가 9일(현지시간) 백악관을 방문해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우리 둘

    중앙일보

    2006.11.11 04:08

  • 미 민주당 원내대표 낸시 펠로시 첫 여성 하원의장 확실

    미 민주당 원내대표 낸시 펠로시 첫 여성 하원의장 확실

    미국에서 처음으로 여성 하원의장이 탄생할 전망이다. 7일 치러진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하원을 장악하면 이변이 없는 한 낸시 펠로시(66.사진)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가 내년 1월

    중앙일보

    2006.11.08 04:43

  • [중앙시평] 80년대의 장막을 거둬라

    최근 여론조사에 의하면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국민적 지지율은 12.9%까지 추락했다. 그리고 국민의 63.3%는 현재가 국가적 위기 상황이라는 데 공감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중앙일보

    2006.11.01 19:43

  • 한나라 '도로 민정당' 향해 오른쪽 깜박이?

    “개혁적 보수, 합리적 보수, 중도적 보수, 온정적 보수, 열린 보수, 공동체적 보수…. ” 한나라당은 2002년 대선 패배와 불법대선자금 수사과정에서 낙인 찍혀진 차떼기 정당이라

    중앙일보

    2006.09.19 13:56

  • "한국판 문화혁명의 말기 현상 진행 중"

    "한국판 문화혁명의 말기 현상 진행 중"

    이문열씨와의 인터뷰는 9월 10일 오전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 이씨가 세들어 사는 집 앞에서 시작됐다. 이씨는 서울서 찾아온 기자를 집 앞의 조그마한 잔디밭으로 안내하면서 화창

    중앙일보

    2006.09.18 04:09

  • 세계 이끄는 세력은 '진보 우파' 진보가 좌파의 전유물은 아니다

    세계 이끄는 세력은 '진보 우파' 진보가 좌파의 전유물은 아니다

    "변화하는 세계를 보라. 지금 세계를 주도하는 세력은 '진보 우파'다. 한번 진보라 해서 영원히 진보가 되는 것도 아니고, 진보가 좌파의 전유물도 아니다."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중앙일보

    2006.09.18 04:09

  • 이정우 대통령 정책특보 "당이 개혁 뒷받침 못해"

    이정우 대통령 정책특보 "당이 개혁 뒷받침 못해"

    "대통령은 인기에 초연했으나 당은 그렇지 못해 손발이 안 맞았다. 정책의 일관성이 부족해졌다. 국민은 개혁피로증이 아니라 개혁의 일관성이 없는 데 더 실망하고 있다." 노무현 정

    중앙일보

    2006.09.10 19:40

  • [사설] 5.31 민심을 파시즘에 연결한 김근태 의장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이 시민단체인 참여연대와 가진 간담회에서 "1930년대 세계 대공황 전후에 유럽에서 파시즘이 대두한 것처럼 그럴 위험성이 우리 사회에도 있으며 일부가 5.31

    중앙일보

    2006.08.30 01:03

  • [중앙시평] 개혁장사의 종말

    [중앙시평] 개혁장사의 종말

    친정부 인터넷 매체를 운영하던 어느 진보 성향의 인사가 "앞으로 개혁만 팔아먹어도 10년은 잘 먹고 살 수 있을 것"이라고 한 것이 불과 2년 전이다. 당시 분위기로 봐서는 그럴

    중앙일보

    2006.08.16 20:20

  • "무엇 때문에 민주화운동 했나 정당성조차 의심 받는 지경"

    "무엇 때문에 민주화운동 했나 정당성조차 의심 받는 지경"

    "2004년 이후 치러진 선거에서 국민은 깨끗하나 무능한 진보보다 부패하나 유능하다고 믿는 보수를 선택했다."(임혁백 교수.고려대 정치학.좋은정책포럼 공동대표) "참여정부는 국민의

    중앙일보

    2006.08.09 04:52

  • 최장집 교수 '무능한 집권세력' 또 쓴소리

    최장집 교수 '무능한 집권세력' 또 쓴소리

    최장집(고려대 정외과.아세아문제연구소장.사진) 교수는 현 정부 들어 진보 학계에서 독특한 지위를 확보했다. 진보 학계의 좌장격임에도, 진보를 자처하는 현 정권의 정책과 행태를 잇

    중앙일보

    2006.06.28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