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남북시대] 대남사업 창구 통일전선부로 단일화

    [신남북시대] 대남사업 창구 통일전선부로 단일화

    북한에서 출판물을 수입하는 한 사업자는 지난해 말 북한으로부터 이례적인 내용의 팩스 한 장을 받았다. "북한 측 계약주체를 바꾸겠다"는 내용이었다. 이 사업자는 그동안 민족경제협력

    중앙일보

    2005.03.02 17:42

  • 20개 출판사 추천받아 선정

    ‘올해의 어린이책’선정을 위한 설문에는 어린이 단행본 출판사 20곳의 책임 편집자가 참여했다. 각 출판사 관계자들은 자사 출판물을 제외한 10개씩의 양서를 가려 뽑았다. 그 결과

    중앙일보

    2004.12.25 10:03

  • [커버스토리] '나'를 소비하는 위험한 감각의 사치

    [커버스토리] '나'를 소비하는 위험한 감각의 사치

    사치의 문화 원제 Le Luxe Eternel, 질 리포베츠키 외 지음 유재명 옮김, 문예출판사, 254쪽, 1만원 어플루엔자 원제 Affluenza, 존 드 그라프 외 지음 박웅

    중앙일보

    2004.08.21 10:04

  • [문화 단신] 20~22일 비구니 학술대회 外

    [문화 단신] 20~22일 비구니 학술대회 外

    *** 20~22일 비구니 학술대회 한국 불교의 비구니 전통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는 대규모 학술대회가 열린다. 오는 20~22일 경기도 안양시 한마음선원에서 진행되는 '동아시아의 불

    중앙일보

    2004.05.16 16:57

  • [week& cover story] 남자·30대·고학력일수록 더 마당발

    [week& cover story] 남자·30대·고학력일수록 더 마당발

    "'인종의 용광로'라 불리는 미국에서보다 한국에서 모르는 사람을 찾기가 더 쉽지 않을까." week&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 리서치 앤 리서치(R&R)가 지난해 8월 사회연결망

    중앙일보

    2004.01.09 08:26

  • 李箱의 유일한 동화 '황소와 도깨비' 창작 아닌 번안작품일 수도

    '날개'의 작가 이상(1910~37)이 쓴 유일한 동화로 알려진 '황소와 도깨비'가 그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창비에서 출간하는 어린이문학지 '창비어린이' 겨울호에서

    중앙일보

    2003.11.27 17:55

  • 해방이후 古典번역 자료 다 모아

    해방이후 古典번역 자료 다 모아

    수많은 국학(國學) 고전 가운데 어느 책을 누가 어느 곳에서 번역했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졌다. 민족문화추진회(회장 조순) 부설 국역연구소는 최근 '국학고전 국

    중앙일보

    2003.10.09 18:10

  • [대중출판] '예언자'

    [대중출판] '예언자'

    예언자/칼릴 지브란 지음, 미셸 페리 그림/오강남 옮김, 현암사, 9천원 '예언자'가 또 번역됐다. '또'란 말이 붙는 까닭은 이 책의 번역본이 이미 20여종에 달하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2003.04.18 16:27

  • [죽비소리] 뒷말 무성한 '느낌표!' 추천도서 출판계 진흙탕 싸움

    MBC TV '느낌표!'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코너가 이달에 선정한 도서에 대해 출판계 일각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이 코너는 그간 국내 저자의 작품만 다뤄왔으나 이달

    중앙일보

    2003.03.21 17:01

  • 이색 여행지 '7인7색 여행이야기'

    베테랑 여행작가 일곱명이 모여 우리나라 여행지 49곳을 추천한 '7인7색 여행이야기'를 펴냈다. 7명은 한국여행작가협회 회원들로 회장 정보상씨를 비롯해 이혜숙.유연태.양영훈.허시명

    중앙일보

    2003.03.04 17:47

  • 블로그 돌풍, 교육·언론까지「확 바꾼다!」

    미국에서 가장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하버드 대학도 블로그 열풍에 뛰어들고 있다. 하버드 대학은 최근 학생과 교수진의 블로그 구축을 돕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데이브 위너를 영

    중앙일보

    2003.03.03 16:52

  • 시각장애인용 도서 8만여종 목록 펴내

    "장애인용 도서목록은 20여만명의 시각장애인들에게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할 것입니다." 대구대 점자도서관 임안수(林安秀.61.특수교육과 교수)관장이 1년간의 노력 끝에 '전국 시각장

    중앙일보

    2003.01.07 17:39

  • "최고의 만화, 독자가 뽑자"

    독자들이 직접 한국 최고의 만화를 가린다. 인터넷상에서 후보작 추천을 받고 투표를 통해 결정하는 '독자만화대상'이 그것이다. 지금까지의 만화상은 정부나 관계 기관, 또는 만화잡지

    중앙일보

    2002.11.26 00:00

  • 토종 캐릭터 이젠 세계로…

    미국에 미키 마우스와 벅스 버니가 있고 일본에 헬로 키티와 포켓 몬스터가 있다면, 한국에는 아기공룡 둘리와 엽기토끼 마시마로가 있다. 국가대표 캐릭터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중앙일보

    2002.08.08 00:00

  • 데스크쪽지

    기사의 물리적 크기와 상관없이 이번 주 다뤄진 책 중 여러모로 음미해볼 만한 신간이 마셜 맥루언(1911~1980)의 『미디어의 이해』(민음사)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3백자

    중앙일보

    2002.06.22 00:00

  • 6.지방분권 : 지역에 맞는 조직운용 위해 단체장 인사권 확대 필요

    지방자치가 성공하기 위해선 자치단체의 권한이 지금보다 확대돼야 한다. 특히 단체장이 지역 실정에 맞는 조직을 구성하고 인력을 운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

    중앙일보

    2002.04.09 00:00

  • 허병두의 1318따라잡기

    『거짓의 날들』(나딘 고디머, 책세상),『허삼관 매혈기』(여화, 푸른숲),『운명의 딸』(이사벨 아옌데, 민음사), 『내일 전쟁터에서 나를 생각하라』(하비에르 마리아스, 예문),『내

    중앙일보

    2002.02.02 00:00

  • [분수대] 문화 패트런

    생존 당대에 유럽의 거장으로 통하던 작가 괴테와 조금 젊은 작곡가 베토벤 사이에 유명한 첫 만남이 있었다. 무대는 1812년 보헤미아 지방 온천지. 산책길에 나선 두 거두는 마침

    중앙일보

    2001.12.04 00:00

  • 문명교류학의 오아시스 '씰크로드학' '고대문명교류사'

    동서교류사 연구자인 정수일(67.일명 무하마드 깐수) 전 단국대 사학과 교수가 새 집을 한 채 올렸다.'실크로드학(學) '이란 집이다.동서 문명교류학이라 부름직한 웅대한 규모다.역

    중앙일보

    2001.11.17 08:21

  • [행복한 책읽기] '씰크로드학' '고대문명교류사'

    동서교류사 연구자인 정수일(67.일명 무하마드 깐수) 전 단국대 사학과 교수가 새 집을 한 채 올렸다.'실크로드학(學)'이란 집이다.동서 문명교류학이라 부름직한 웅대한 규모다.역사

    중앙일보

    2001.11.17 00:00

  • [문화 노트] 책 종수를 보면 출판 수준이 보인다

    "1백만부 팔리는 책 한 권보다 1만 부 팔리는 다양한 종류의 책 1백 권을 만드는 일이 훨씬 중요하다. " 출판가 인사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독서시장의 허리를 튼실하게 해야 한다

    중앙일보

    2001.09.27 00:00

  • ASP 3.0 Advanced

    구매하기저자:김형담 , 조현정출판사:마이트프레스발행일:2001-03-13 이 책은 ASP의 초급 이상의 독자들이 실무 환경 적응 능력을 갖추도록 웹 메일 시스템, 클럽 시스템, 실

    중앙일보

    2001.06.02 10:09

  • "올핸 준비운동, 내년이 본 게임"

    ‘엘렉스’는 국내에서 매킨토시의 대명사다. 지난 87년 국내에 미국 애플사의 매킨토시 솔루션을 처음으로 소개한 이후 작년까지 13년간 매킨토시를 독점 공급해왔다. 또 88년엔 쿼크

    중앙일보

    2001.04.23 17:11

  • [신문 이야기] 제목의 역할과 중요성

    책의 제목은 판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제목이 책을 사려는 사람의 눈에 띄지 않으면 손해를 보게 된다는 얘기다. 그래서 출판사마다 제목 만들기에 골머리를

    중앙일보

    2001.03.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