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올해 「노벨」물리·화학상 수상자 업적

    79년도 「노벨」 물리학상도 예년과 같이 소립자 분야에 돌아갔다. 이번 수상한 3명의 연구는 「약력과 전자기력의 통일이론」이다. 물질에 작용하는 힘에는 중력·전자기력·강력·약력 등

    중앙일보

    1979.10.16 00:00

  • 토성의 신비 벗겨지려나|장정 6년5개월…「파이어니어」∥호 자주탐사

    1973년 4월5일 발사된 「파이어니어」 11호는 장장 6년5개월에 걸친 32억킬로미터의 우주여행끝에 목표한 토성에 접근, 수많은 자료를 지구로 보내고 영원한 우주공간 속으로 사라

    중앙일보

    1979.09.07 00:00

  • 아이슈타인의 연보

    1879 독「울름」시에서 출생(3윌14일) 1893 「이탈리아」의「밀라노」시로 이주. 고등학교중퇴 1895「스위스」의 「취리히」연방공대(E T H)입시에 실패(이듬해에 입학) 19

    중앙일보

    1979.03.15 00:00

  • 조병하| 한국과학원교수

    인류의 역사상 자연관과 우주관의 확립에 결정적으로 공헌한 3사람을 꼽는다면 단연 「아리스토텔레스」 와 「뉴튼」 .그리고 「아인슈타인」이다. 『물·공기·흙·불의 4가지 원소로 이루어

    중앙일보

    1979.03.15 00:00

  • 아직도 완전히 입증안된 「아인슈타인」의이론

    우주는 불멸인가,아니면종말이 있는가.만약 우주가 끝장이 난다면 마지막까지 존재하는 것은 무엇인가.물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는 어떤 것인가.이와같은 의문은 우주생성의 신비와 물질

    중앙일보

    1979.03.10 00:00

  • 실마리 잡은 중력파의 비밀

    지난주 「뮌헨」에서 모임을 가진 천체 물리학자들은 흥분의 도가니에 잠겼다. 아직도 현대 과학의 수수께끼로 남아있는 중력파의 존재에 대한 연구 결과가 「리포트」되었기 때문이다. 주인

    중앙일보

    1978.12.28 00:00

  • 네가지 힘 중력·전자력·강력·약력은|궁극엔 하나로 통일된다|동경 고 에너지 학회 결산

    이 우주는 어떻게 생성되었을까. 삼라만상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 최근 일본 동경에서 열린 제19차 고 「에너지」 물리학 국제 회의 (8·23∼30)에서도 이러한 의문에 대한 토

    중앙일보

    1978.09.07 00:00

  • 영국 입자물리학자 아부다스·살람 박사

    금년도 「노벨」 물리학상 수상후보자로 가장 유력한 「아부다스·살람」박사 (52·「런던」대 「임피리얼」 이공대교수 겸 「유네스코」산하 국제이론물리학「센터」소장)가 동경에서 열린 제1

    중앙일보

    1978.09.02 00:00

  • 지구는 울퉁불퉁한 감자

    지구는 구형이나 타원형체가 아니고 단지 울퉁불퉁한 감자형이라는 이론이 최근 서독의 과학지 『과학기술개관』에 의해 소개되었다. 육지의 땅을 모조리 바다에 메워 지구를 완전한 구형으로

    중앙일보

    1978.04.20 00:00

  • 섬유·전자·화학 등-우리 과학 기술계서 손대 볼 분야 많다

    1930년대에 불붙어 50년대 후반기부터 눈부신 결실을 거두었던 전후의 과학 기술은 70년대에 들어 다시 융성하기 시작, 80년대에는 또 한번의 「과학 황금기」가 예고되고 있다.

    중앙일보

    1977.12.22 00:00

  • 모든 것을 흡수만 하는 별

    최근 천문학자들 사이에는 수많은 별들이 반짝거리는 은하계의 중심에 뻥 뚫려 있는 「검은 구멍」(Black Hole)의 정체를 놓고 이론이 분분하다. 실제로 뚫린 구멍인지 어떤지 관

    중앙일보

    1975.12.04 00:00

  • 새 소립자 발견에 한국 과학자도 참여

    지난 11월 16일 새로운 소립자의 발견으로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미국 「뉴요크」「브루크헤이븐」 국립 연구소의 「새뮤얼·C·C·팅」 박사 팀에 우리나라의 이용영 박사(38·핵물리

    중앙일보

    1974.12.12 00:00

  • (48)자전거 타기

    「사이클링」(자전거 타기)인구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교통이 고도로 발달된 오늘날 「사이클링·붐」은 시대에 역행하는 현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운동효과로 보

    중앙일보

    1973.10.20 00:00

  • 현재의 과학 수준으로 동력 파 탐지는 불가능

    1969년 일직이「아인슈타인」박사가 예언한 바 있는 중력파를 처음으로 포착했다는 발표로 전 세계 물리학계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던「조지프·웨버」(미「메릴랜드」대 물리학 교수)박사의

    중앙일보

    1973.09.06 00:00

  • 혹성 생성에 새이론

    천문학자들은 태양계의 안쪽을 공전하는 혹성과 바깥쪽을 도는 혹성들이 서로 틀리다는 점을 의아하게 생각해왔다. 즉 태양 가까이를 도는 수성·금성·지구·화성은 모두 비교적 비중이 큰

    중앙일보

    1973.08.30 00:00

  • 은하수에서 발견된 신비한 별|백조좌 X-1

    밤하늘을 찬란하게 수놓는 은하수를 약간 벗어나 있는 백조 좌(X-1과X-3)는 지금까지 천문학자와 천체 물리 학자들에게 불가사의의 존재였다. 그런데 최근 백조 좌X-1의 정체가 구

    중앙일보

    1973.05.10 00:00

  • 코페르니쿠스 탄생 5백주 그의 학설을 재음미한다

    5일은 지동설의 주창자 「니콜라우스·코페르니쿠스」의 탄생 5백주년이 되는 날이다. 한국천문학회와 한국역사학회는 이를 맞아 4일 하오 서울YMCA에서 기념강연회를 갖고 인간사상의 「

    중앙일보

    1973.02.19 00:00

  • 빛에도 중량 있다|위성 통해 아인슈타인 학설 입증

    【패서디너(캘리포니아 주) 13일 UPI동양】「알베르트·아인슈타인」박사가 54년 전 빛도 중량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 설이 최근 인공위성을 통한 실험으로 사실임이 입증되었다. 미국

    중앙일보

    1970.11.14 00:00

  • 아인슈타인 광선굴절설 전파망원경으로 첫 확인

    【패서디너(캘리포니아주)15일AP동화】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천문학자들은 알베르트·아인슈타인 박사가 55년전 발견한 일반상대성원리를 전파망원경을 이용하여 실험하는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중앙일보

    1970.06.16 00:00

  • 은하수의 중력 점차줄어|미 물리학교수 웨버박사 보고

    【뉴요크9일AP동화】지금 하늘의 은하수는 수백만개의 별들을 응결시키고있는 중력을 점차 잃고있으며 그 중력이 없어지는 속도는 가공할 정도로 빠르다고 미국 메릴랜드대학 물리학교수 조세

    중앙일보

    1970.06.10 00:00

  • 세계수준에 도전하는 한국 이론물리학

    흔히 물리학을 모든 과학의 기초 또는 자연과학의 여왕이라고 말한다. 천문학, 화학, 지질학 등 딴 과학의 법칙은 결국에 가서 물리학의 법칙으로 귀착하고 만다. 그러나 물리학의 법칙

    중앙일보

    1970.05.19 00:00

  • 우주의 수수께기…「중력,」그 정체는

    지난 50여년간 무중력처럼 힘을 잃었던 「중력」이 최근 맹렬히 힘을 되찾게 되면서 물리학계에 크나큰 파동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지난해 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실험물리학자 「조셉

    중앙일보

    1970.03.07 00:00

  • 달의 나이는 지구와 비슷|세계 달 과학자 회의 암석분석 결과 토론

    【휴스턴5일AP.로이터=본사종합】달에는 생명이 없으며 맨 처음 생성 당시에는 용암 상태였다가 약 1억5천만년전부터 조용히 응고되기 시작했다고 [아폴로]11호가 가져온 달 암석을 9

    중앙일보

    1970.01.06 00:00

  • 중력파 그 베일을 벗겨보면 | 방사선·광파와 같은 속력

    지난 6월 15일 미국에서「아인슈타인」이 예언한 중력파를 실험적으로 확인했다는 AP의 보도가 들어오자 중앙일보에서는 AP한국지국을 통해 AP본사기자에게 상세한 해석을 요청했다. 그

    중앙일보

    1969.07.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