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남자는 무기 다룰 줄 알아야” 스탈린, 장징궈에 권총 선물

    “남자는 무기 다룰 줄 알아야” 스탈린, 장징궈에 권총 선물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60〉   중·소 우호 동맹조약은 파행을 반복했다. 1945년 8월 7일, 소련의 동북 출병 전날 타결됐다. 소련 외상 몰로토프의

    중앙선데이

    2023.01.21 00:20

  • 일제 “한족·조선인 서로 잘못해 충돌 땐 한족 억눌러라”

    일제 “한족·조선인 서로 잘못해 충돌 땐 한족 억눌러라”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58〉   일본 패망 전, 중공은 옌안에 있던 영화 관련자들을 동북(만주)으로 파견했다. 만영을 접수해 동북영화제작소(東影)을 설

    중앙선데이

    2023.01.07 00:20

  • [박성훈의 차이나 시그널] ‘친러’ 했더니 일대일로에 난제...우크라이나 침공 중국 ‘트릴레마’

    [박성훈의 차이나 시그널] ‘친러’ 했더니 일대일로에 난제...우크라이나 침공 중국 ‘트릴레마’

    블라디미르 푸틴(70, 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69, 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4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 14호각 팡화위안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발 이후 처

    중앙일보

    2022.02.28 00:34

  • 종전선언 딜레마, 비핵화 협상 과정 미 군사옵션 카드 사라질 우려

    종전선언 딜레마, 비핵화 협상 과정 미 군사옵션 카드 사라질 우려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 2층에 전시된 6·25전쟁 휴전협정서 사본. 서명을 한 마크 클라크 유엔군 사령관과 김일성 북한군 최고사령관, 펑더화이 중공 인민지원군 사령관의 이름이

    중앙일보

    2018.05.30 00:49

  • 비핵화 협상과 같이 가는 종전선언 협의…한ㆍ미 이견 딜레마

    비핵화 협상과 같이 가는 종전선언 협의…한ㆍ미 이견 딜레마

    26일 열린 2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체제 안전 보장을 최우선 과제로 요구하면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왔다. 정부는 평화협정 체결 전 종전선언 추진

    중앙일보

    2018.05.29 06:00

  • 장제스 명령 따른 장쉐량 ‘매국노’ 오명 쓰고 해외 유랑

    장제스 명령 따른 장쉐량 ‘매국노’ 오명 쓰고 해외 유랑

    장제스의 처남 쑹즈원(宋子文. 왼쪽 두 번째)은 장쉐량의 지기(知己)였다. 장쉐량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쑹즈원의 도움을 받았다. 결국은 장쉐량 문제로 장제스와 결별했다. 1943년

    온라인 중앙일보

    2014.07.06 03:19

  • 장제스 명령 따른 장쉐량 ‘매국노’ 오명 쓰고 해외 유랑

    장제스 명령 따른 장쉐량 ‘매국노’ 오명 쓰고 해외 유랑

    장제스의 처남 쑹즈원(宋子文. 왼쪽 두 번째)은 장쉐량의 지기(知己)였다. 장쉐량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쑹즈원의 도움을 받았다. 결국은 장쉐량 문제로 장제스와 결별했다. 1943

    중앙선데이

    2014.07.06 02:37

  •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 '김대중 당선자 대북정책' 선도역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가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과 만나 나눈 대화엔 주목할 대목이 몇가지 있다. 김대중 당선자가 이끄는 신정부의 중국에 대한 시각과 입장을 분명히 전달한 대목이다.

    중앙일보

    1998.02.10 00:00

  • 서 의원 입북 사건 안기부 발표(요지)

    ▲서경원은 85년 2월 하순께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개최된 「가톨릭 국제 농촌 청년연맹 회의」에 한국 가톨릭 농민회 대표로 참석한데 이어 85년4월 서독 방문 중 북한 공작원

    중앙일보

    1989.07.17 00:00

  • 김일성의 진의

    북한의 주석 김일성은 노태우 대통령의 평양방문을「조건부」로 환영했다. 보도에 나타난「조건」을 간추려 보면 먼저 ①남한이 주한미군을 철수시키고 ②남북한이 상호불가침 조약을 체결한 다

    중앙일보

    1988.09.09 00:00

  • 소의 불가침 제의 중공 거부 첫 확인

    【북경 AP=연합】중공 정부는 15일 소련이 수년 동안 상호 불가침조약 체결을 제의 해 왔고 중공은 이를 단호히 거절했다고 처음 공개적으로 밝혔다. 중공 외교부의 한 대변인은 소련

    중앙일보

    1986.01.16 00:00

  • 분단 40년만의 남북 민간인교류 실현의 뜻 대담

    제한된 규모의, 제한된 지역의 방문이지만 분단 40년 만에 남북민간인의 첫 교류를 실시키로 한 남북적 간의 합의는 분단사의 획기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관계 전문가의 긴급대담을

    중앙일보

    1985.08.23 00:00

  • 「아시아안보회의」의 저의

    「고르바초프」소련공산당서기장은 모스크바를 방문중인 「간디」인도수상에게 21일 「전아시아 안보회의」설립을 제의했다. 이런류의 집단안보 구상은 2차대전이후 소련대외정책의 기본노선이었다

    중앙일보

    1985.05.23 00:00

  • "남북 협상전 미군철수 주장은 불가"

    【워싱턴=장두성특파원】미국무성의 「존·C·몬조」 동아시아·태평양담당 부차관보는 20일 중공이 한반도에 관한 회의에 직접 개입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이미 밝히긴 했으나 이

    중앙일보

    1984.03.21 00:00

  • 일·중공 정상회담

    일본을 방문중인 중국공산당 총서기 호요방이 24일 「나까소네」일본수상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문제와 중일협력문제등을 협의할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는 중공이 아직도 북괴와 이해를 같이

    중앙일보

    1983.11.24 00:00

  • 양국부전서약 발표

    【동경=신성순특파원】23일 일본에 도착한 호요방중공당총서기는 24일상오 숙소인 동경 아까사까(적판) 영빈관에서 「나까소네」(중증근강홍) 일본수상과 정상회담을 갖고 경제협력·인적교류

    중앙일보

    1983.11.24 00:00

  • 일본-중공 「부전서약」

    【동경=신성순특파원】일본정부는 23일 호요방중공당총서기를 맞아 21세기를 향한 양국관계의 지침으로서 「일본·중공 부전서약」을 발표할 예정이다. 부전석약은 24일 「나까소네」(중협근

    중앙일보

    1983.11.23 00:00

  • 중공과의 접경 2천여km 생존위해 중립 불가피|버마의 비동맹외교와 대북괴응징의 배경

    버마가 외부세계에서 가장 평판을 받고 있는것은 30년이상 유지해온 엄격한 중립외교정책이다. 버마의 중립정책은 ▲독립 ▲비동맹 ▲모든국가와의 선린외교를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북괴의

    중앙일보

    1983.11.07 00:00

  • "동구권과 비정치교류 증대"

    ▲이영일의원(민정) 질문=우리외교를 한마디로 반성해 보면 「행정은 있어도 전략이 미흡한 외교」다. 군사적 약소국은 되어도 외교전략적 약소국은 되지 말아야 한다. 우리의 비동맹외교

    중앙일보

    1983.10.28 00:00

  • 「통일 헌法 제의」와「동서독 기본조약」통일 향한 자세부터 다르다

    전두환 대통령이 22일 국정연설에서 밝힌「남북한기본관계에 관한 잠정협정」의 제의는 지난72년 서로가 주권독립국임을 인정하고 체결된「동서독간의 기본조약」과 여러 측면에서 비교가 된다

    중앙일보

    1982.01.25 00:00

  • |아시아·태평양문화협회 주최-6·25동란 30주년기념 심포지엄|제2한국전쟁의 가능성과 방지책

    「아시아」·태평양 문화협회가 주최한「6·25」사변 30주년기념 국제안보「심포지엄」이 16일부터 이틀간「플라자·호텔」에서 열렸다. 다음은 국제문제 전문가들이 발표한 주재내용 중 한반

    중앙일보

    1980.06.17 00:00

  • 70년대 주요연표

    ▲미소전략무기제한회담개시(4.16) ▲서독·소불가침조약 체결(8.12) ▲「키신저」미대통령 보좌관 중공방문(7.9∼11) ▲미, 김과「달러」의 교환정지등「달러」방위책 발표「닉슨·

    중앙일보

    1979.12.19 00:00

  • 소-중공은 화해할 것인가

    소·중공은 화해할 수 있을 것인가. 있다면 어느 정도나 되어질 것이며, 주변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할 것인가. 이러한 물음에 대해 아직은 아무도 자신있는 대답을 내릴수는 없다.

    중앙일보

    1979.08.17 00:00

  • 소, 중공에 불침조약 제의설

    【동경 27일 AP합동】소련은 오는 9월중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중소관계정상화회담에서 80년 봄으로 만료되는 중소 우호동맹조약을 상호불가침조약으로 대체하도록 제의할 것임을 「카렌

    중앙일보

    1979.07.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