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괴서 남침하면 미 지상군 재파 한

    「존·W·베시」 주한미군 및 「유엔」 군사령관은 5일 미국은 주한 미 지상군의 철수가 완료된 후 한반도에서 전쟁이 재발할 경♀ 미 해·공군은 물론 지상군을 한국에 파견하게 될 것이

    중앙일보

    1978.01.05 00:00

  • 국회예결위 질문·답변 요지

    ▲남덕우 부총리=정부는 여러 가지 어려운 사정이 있으나 계속 물가안정에 노력하고 있으며 유통과정에 있어서 가격통제는 단계적으로 완화하겠다. 지방교부세 문제에 관해 정부 및 공화당과

    중앙일보

    1977.11.16 00:00

  • 잇단 주한 미군철수 비판

    「카터」미국 대통령의 주한 미지상군 철수계획이 실천단계에 들어가 있는 이 싯점에도 상당수의 미국 군부·학계·언론계 인사들은 아직도 강력한 철군 반대론을 제기하고 있어 주목된다. 「

    중앙일보

    1977.10.04 00:00

  • 북괴, 90일 독자전 수행능력

    【워싱턴=김영희 특파원】「스틸웰」 전 유엔 군사령관은 3일 하원 군사위조사 소위(위원장「스트래턴」의원)에서 북괴는 90일간의 독자적인 대남 전쟁을 수행할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

    중앙일보

    1977.10.04 00:00

  • 미군주한은 미 이익 위한 것

    【워싱턴= 김영희특파원】미국 「헌터」대학의 「자고리아」교수는 한국과 월남은 근본적으로 상황이 다르다고 전제, 『주한미군철수는 「아시아」맹방의 대미불신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남북한 및

    중앙일보

    1977.10.03 00:00

  • 한국에 위기발생 땐 2사단 즉각 재투입

    【워싱턴l5일 동양】「해럴드·브라운」미 국방장관은 15일 서「유럽」외에 한국·중동· 「페르샤」만이『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3개 필수표본이해지역』임을 강조하고,「카터」대통령은 주한미군

    중앙일보

    1977.09.16 00:00

  • 한반도서 비상사태 일어나면 주한 미군 철수 보류

    【동경 3일 외신종합】「카터」미 대통령은 주한 미 지상군 철수 계획에 있어 『비상사태가 일어날 경우 철수 방침을 번복할 수도 있으며 철수 계획의 최후까지 지상 전투 부대와 화력을

    중앙일보

    1977.09.03 00:00

  • 「카터」의 기동반격군

    주한 미 제2사단을 기동반격군화 하려는 「카터」미 대통령의 구상은 3년반 전「슐레진저」전 국방장관의 기동후비군 구상과 비슷한 발상이다. 두 구상은 모두 2사단을 「아시아」 태평양지

    중앙일보

    1977.08.29 00:00

  • 바람직한 대「유엔」인식

    공산 측이 32차「유엔」총회 보충의제 마감일까지 한국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이번 총회에서 한국문제 토의는 없을 것 같다. 이는 지난 68년이래 한국문제의 탈「유엔」을

    중앙일보

    1977.08.24 00:00

  • "물러가면서 남아" 소, 미군 철수 트집

    소련 국방성 기관지 적성 7일 지난달 하순 발표된 한미 양국간의 공동 성명 내용과 미국의 한국 방위의지가 「카터」 미 대통령의 주한미 지상군 철수 정책으로 약화되지 않을 것 임을

    중앙일보

    1977.08.09 00:00

  • ″미국이 안보공략 안 지키면 한국은 핵무장 할 것으로 본다.〃

    #다음은5일 하오「어니스트·W·레피버」박사 (미「조지 타운」대학교수)가 『미국의 대외공약과 핵무장-한국·대만 의 경우』제하로 행한 강연내용 가운데 한국관계 부분을 요약한 것이다.

    중앙일보

    1977.08.06 00:00

  • 충승 미군 일부 감소

    【캠프코트니 (오끼나와) 3일 UPI동양】미국은 주한 미 지상군 철수 계획과 때를 같이하여 「오끼나와」 주둔 미 해병대를 6개월 기간으로 미 본토에 전속 배치하는 계획을 올 10월

    중앙일보

    1977.08.04 00:00

  • 「괌」·「오끼나와」주둔미군 한국투입능력 필요-브라운 미 국방

    【워싱턴 5일 합동】「해럴드·브라운」미국국방장관은 지난 2월초 상원에서의 비밀증언에서 말한 미 지상군이 한국에서 철수한다면 미국은 「괌」과 「오끼나와」 등지의 다른 미군을 한국에

    중앙일보

    1977.07.07 00:00

  • 미, 일에 방위비 증액 요청

    【워싱턴 19일 UPI동양】미 의회심계원(GAO)은 19일 발행된 보고서를 통행 일본이 경제강국이 된 한가지 이유는 미국의 군사보호로 방위비 지출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지적, 일본의

    중앙일보

    1977.06.20 00:00

  • 북괴남침 성공가능성 희박

    【워싱턴18일 합동】중공이 장차 북괴의 대남 침공에 병력35만의 약35개 사단 군대를 투입할 경우 한국군은 미국으로부터 10∼15개 사단의 지상군과 대규모 전술공군력의 지원을 필요

    중앙일보

    1977.05.19 00:00

  • 미지상군 철수협의 무엇이 문제인가

    미국은 한국을 그의 핵우산 권 안에 넣고있다. 한국에 배치된 전술핵무기는 그 실증적 표현이며 제 2사단과 함께 중요한 전쟁 억지력이 되어 왔다. 해외에서의 핵무기 전개에 대해 정책

    중앙일보

    1977.05.16 00:00

  • 북괴남침 위협 시인하면서도 미군철수|49년 비밀 외교문서 미 국무성 공개

    【워싱턴=김영희 특파원】미 국무성은 1949년도의 외교기밀 문서를 담은『미국의 대외관계-l949』7권 2부(극동 및 호주)를 16일 하오 발표했다. 28년만에 공식 발표된 이 기밀

    중앙일보

    1977.04.18 00:00

  • 철군 이대로 좋은가…|성병욱

    미국으로서는 주한 미 지상군을 철수한다는 것은「아시아」에서 가장 안정된 군사기지의 포기를 못하기도 한다. 아마 주민들로부터『양키·고·홈』이란 소리나 현지 정부로부터 성가신 문제제기

    중앙일보

    1977.03.17 00:00

  • (1)대전협정과 작전지휘권|성병욱

    기자회견 및 박동진 외무장관과의 회담을 통해「카터」미국 대통령은 4, 5년간에 걸쳐 주한 미 지상군을 철수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이로써「카터」가 선거 공약으로 주한미군 철수

    중앙일보

    1977.03.12 00:00

  • 한국군 전력증강에 35억불 차관

    【워싱턴=김영희 특파원】「리처드·홀브루크」미국무성「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는 올해부터 81년까지 계속되는 전력증강 5개년 계획을 한국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하고 그 총 규모는 50억

    중앙일보

    1977.03.11 00:00

  • 이박사,6·25 2주전 미에 전쟁위협 경고

    50년에 접어들자마자(1월12일) 당시의 미 국무장관「애치슨」은 한국과 대만을 미국의 방위선에서 제외한다는 충격적인 발언을 했다. 한국정부는「애치슨」선언을 중시하고 그것이 공산주의

    중앙일보

    1977.03.02 00:00

  • 6.25전후 서울-워싱턴 27년만에 공개된 한국 전쟁 비사(2)|"소련주범·중공종범"

    【워싱턴=김영희 특파원】미국무성은 한국전이 터진 바로 그날 침략의 주모자는「크렘린」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50년6월25일 국무성의 정보 조사실은「애치슨」국무장관에게 다음과 같은 판

    중앙일보

    1977.03.02 00:00

  • 브라운장관의 동북아 안정론

    「카터」 미국대통령과 「브라운」국방장관은 동북아 방위전략과 주한미군 문제에 관해 원칙적인 중문 결론을 내렸다. 이야기의 내용 자체만 두고 본다면 새삼스러운 점은 조금도 없다. 그러

    중앙일보

    1977.02.24 00:00

  • 임시 행정수도론

    대도시, 특히 서울의 인구집중은 어느 모로나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경제·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파생시키는 근원이기 때문이다. 특히 휴전선에서 1백 리 남짓한 거리에, 그것도 한강

    중앙일보

    1977.02.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