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해녀의 섬 울리는 식수난|40여일째 목이 타는 북제주군 우도

    해녀의 선이라는 북제주군좌천 향우도 섬 마을은 개인별 식수 「카드」를 들고 물을 받으러 온 아낙네들과 이를 확인하려는 긴급 식수대책 본부 요원이라는 마을 청년들 사이의 말다툼으로

    중앙일보

    1971.11.18 00:00

  • 허가 난 수도를 강제철거

    17일 하오 2시30분쯤 서울 성동구 옥수동산5 배금옥씨 유허가 사실수도 펌프장을 성동 구청 주택관리 계철거반 10여명이 무허가라고 강제 철거하자 인근 이경애씨(38·여)등 주민1

    중앙일보

    1971.11.18 00:00

  • 1만7간여개소의 공해업소

    지난1월22일에 공포된 새 공해방지법은 그 6개월 후인 7월22일부터 효력이 발생키로 돼있다. 이 법 부칙에 따르면 위법에 의해 허가된 오염물질배출시설도 6개월 이내에 새 법의 허

    중앙일보

    1971.11.18 00:00

  • 「리튬」함유 적은 곳서 범법 잦고 더 흉악 일부선 반론도

    사람이 먹는 음료수의 수질에 따라 법죄 행위의 발생빈도가 다르다는 것을 연구 발표한 학자가 있어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국「텍사스」대학의 생화학 교수인「얼·도슨」박사는 최근 텍사스

    중앙일보

    1971.10.08 00:00

  • 학교 주변의 극심스런 공해도

    서울시내 대부분의 중·고등학교가 극심한 공해 때문에 수업에 막대한 지장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이 만연하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에도 유해함이 드러났다. 71년 서울시 초·

    중앙일보

    1971.09.18 00:00

  • (927)주민 잊은 광주시정

    광주단지주민들의 난동은 졸속한 시정에 쌓이고 겹친 민원에 폭발된 것으로 보인다. 나는 이 불행한 사태에서 두 가지 일을 지적하고 교훈을 얻어야 하리라고 믿는다. 첫째는 서울시당국의

    중앙일보

    1971.08.12 00:00

  • 양식과 물이 없다 후유에 떠는 수해지

    【부여=임병일 기자】수마가 할퀴고 간 부여군 은산면을 중심한 수재지역에는 식량과 식수 등이 모자라 재민들이 큰 고통을 겪고 있으나 28일 현재 물이 채 빠지지 않아 교통이 두절되어

    중앙일보

    1971.07.28 00:00

  • "식수해결 완전히 해주오"

    시내 녹번동·갈현동·이문동 등 변두리지역에 요즈음 수도물이 잘 나오지 않아 이 지역 주민들은『마실 물을 완전 해결해달라』고 거의 매일같이 서울 시장실에 진정하고 있다. 갈수기에 접

    중앙일보

    1971.04.30 00:00

  • 김 부총재, 목포선 부드럽게

    정일권 공화당 총재 고문의 유세행로에는 그가 오랫동안 총리직에 있었기 때문인지 주민들의 건의사항이 많다. 지난 17일 함백 유세에서 어떤 노인이 연단 가까이 와서 『농민들을 더 잘

    중앙일보

    1971.04.19 00:00

  • (2)급수

    서울 시내의 현재 급수전 수는 모두 33만1천8백22전. 이중 가정용은 29만6천3백22전이고 영업용이 2만9천1백84전, 나머지는 공업용이나 공공시설에서 사용하는 수도전이다. 지

    중앙일보

    1971.04.15 00:00

  • (3)생활환경개선

    날씨가 풀리면 방역기 동반의 차량들이 거리를 누비며 소독약을 뿌리는 모습을 흔히 본다. 이같은 방역작업은 물론 파리 등 유해동물을 죽이는데 목적이 있다. 페스트균을 옮기는 쥐, 일

    중앙일보

    1971.03.17 00:00

  • 영동고립|폭설로…교통·통신두절·단전소동|생필품값도 폭등|최고 백25cm 행정마비…피해집계 못해

    【강릉=임병돈기자】내리4일째 초속 34m의 강풍을 등반한 영동지방폭설은 최고 1백25㎝까지 쌓여 강릉·속초를 비롯한 영동전역이 고립상태에 빠졌다. 강릉∼서울간 철도와 전화선만 안

    중앙일보

    1971.03.03 00:00

  • 조실 지구의 개발

    잠실지구 개발을 위한 공사가 17일 착공되었다. 이 공사는 3개년 계획으로 추진되는 구획정리 사업으로서 민자 유치 사업의 성격을 가지고있다 한다. 잠실지구의 개발은 1천2백80m의

    중앙일보

    1971.02.18 00:00

  • 광주단지 월동대책 박대통령 특별지시

    박정희 대통령은 광주단지 주민들의 월동대책과 정착취업에 관심을 기울여 15일 김상복 정무수석비서관과 양탁식 서울시장을 현지에 보내 현황을 살피고 이주해간 시민들을 위해 정부가 해주

    중앙일보

    1970.12.15 00:00

  • 7년간 수돗물 도용

    【부산】럭키 재벌인 럭키화학 주식회사와 럭키 유지 공업주식회사는 부산 성지 곡 수원지에다 송수본관을 연결하고 지난 63년 11월부터 현재까지 만 7개년 동안 부산시민들에게 급수할

    중앙일보

    1970.12.11 00:00

  • 공동식수 20일까지 증설 19공탄은 20원 선을 유지

    서울시는 13일 겨울철을 앞둔 광주대단지 이주민들에 대한 월동대책을 마련, 식량·수도·연탄 등 기초적인 생활수단의 확보에 만전을 기하도록 했다. 제주대단지사업에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중앙일보

    1970.11.13 00:00

  • 나환자촌 습격

    【부산】12일 상오11시쯤 시내 서구 장림동150 새마을(이주민촌) 1천2백여 가구 5천여 주민들은 이 마을에서 5백m쯤 떨어진 장림동 산l75에 있는 음성나환자 촌에 몰려가 나환

    중앙일보

    1970.11.13 00:00

  • (7)영등포구 목동

    4년 전 서울시의 주택단지 조성으로 시작된 영등포구 목동 개발은 지난 12일 양남동에서 목동을 연결하는 오목교가 완공되면서부터 더욱 신흥주택지로 변하고 있다. 안양천을 중심으로 경

    중앙일보

    1970.10.22 00:00

  • (2) 영등포구 사당동

    말죽거리에서 사당동을 지나 봉천동으로 통하는 40m폭 순환도로의 건설계획과 경부고속도로 개통, 그리고 관악산 기슭의 서울대 유치 등으로 사당동의 개발은 클로스·업 되어 15만여 평

    중앙일보

    1970.10.09 00:00

  • 16개 어린이공원 시설 독지가·기업체서 만들게

    서울시는 9일 마포구서교동의 서교 제1 어린이공원 등 아직 개발이 안된 16개 어린이 공원 안의 시설을 관내 독지가와 유력한 기업체에서 조성하는 등 유치사업을 벌여 올해 안에 완공

    중앙일보

    1970.10.09 00:00

  • 예방접종만이 안전방지책 아니다

    경남 창녕군의 집단괴질이「콜레라」로 밝혀져 보사부는 창녕군 일원에 「콜레라」방역 비상망을 펴고 서울특별시를 비롯, 전국에 「콜레라」 방역 비상 근무령을 내렸다. 이때 『작년에 유행

    중앙일보

    1970.08.13 00:00

  • 4개 보조 수원지 급수 지역|1주일 넘도록 식수난

    서울시가 수돗물 1백만t 생산 통수에 이어 급수를 제한해 오던 78개 동을 완전 해제, 무제한 급수를 약속했으나 변두리 고지대는 물론 신촌 보조 수원지 등 4개 보조 수원지 급수

    중앙일보

    1970.07.29 00:00

  • (1)|폭발하는 인구

    서울의 인구가 5백만명이 넘어 섰다. 지난 6월말 주민 등록 인구는 정확히 4백98만4천4백89명. 1만5천5백11명이 모자라는 5백만명. 서울시의 월별 추계 (69년10월∼70년

    중앙일보

    1970.07.20 00:00

  • 강물은 썩고 있다 수질 보존 법제화 착수

    강물이 썩고 있다. 각종 폐수·오물 등으로 맑은 강물이 썩다 못해 죽어가고 있다. 한강·낙동강·금강 등 대부분의 강이 썩고 있어 보사부 등 관계 당국이 수질 오염을 막기 위해 여러

    중앙일보

    1970.07.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