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상저온 2주째… 냉해·병충해겹쳐

    예년에 없이 오래끈 장마에 이어 2주째 계속되고있는 이상저온으로 출수기를 맞은 벼를 비롯, 고추·사과·배등 각종 농작물이 냉해와 병충해로 큰타격을 받고있다. 특히 벼는 평년보다 5

    중앙일보

    1980.08.11 00:00

  • 목도열병 경보

    농촌진흥은 7월의 오랜 장마와 최근의 이상저온현상으로 이삭이 팰시기에 있는 조·중생종 벼에 목도열병과 벼멸구가 크게번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고 적기 공동방제실시를 당부하고 있다.

    중앙일보

    1980.08.05 00:00

  • 무덥고 긴 여름속에 가을의 소리가

    지루한 장마도 그치고 불볕 더위속에 5곡이 영그는 8월. 바닷가나 계곡에서는 더위를 식히려는 피서객들로 붐비지만 농촌에서는 오곡이 영그는 때를 맞아 일손이 한중 바빠진다. 삼복 중

    중앙일보

    1980.07.31 00:00

  • 병충해는 공동방제가 효과적

    벼농사가 중간고비로 들어선 요즘 농민들은 병충해 방제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해 54만 정보가 병충해피해로 2백56만 섬의 침수를 당했지만 올해도 이 같은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

    중앙일보

    1980.07.28 00:00

  • 비오는날 많아 음식물부패 조심해야|어린이 건강관리·물놀이사고 요주의

    ▲1일=전매의날 ▲4일=미독립기념일 ▲7일=소서 ▲14일=이준열사순국일·「프랑스」혁명기념일 ▲16일=초복 ▲17일=제헌절 ▲19일=이승만전대통령 및 여운형씨기일 ▲23일=대서 ▲2

    중앙일보

    1980.07.01 00:00

  • 신품종볍씨「호남조생종

    【안동】안동군이 농가에 권장한 신품종볍씨 호남조생종이 출수 적기도 되기 전인 모내기 10여일 만에 이삭이 패 농민들은 올 농사를 망쳤다고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24일 안동군 일직

    중앙일보

    1979.07.24 00:00

  • 고성지방에 벌써 벼가 팼다

    【속초】강원도 고성군내 두 곳에서 벼이삭이 패기시작, 예년보다 15일이나 앞당겨 출수 기를 맞고있다. 고성군 간성읍 간호리 최룡덕씨(51)의 경우 지난 4월 8일 조생종「레이메이」

    중앙일보

    1979.07.23 00:00

  • 새싹의 축제 5월

    5월. 녹음이 무르익기 시작한다. 입하(6일)를 지나면 계절은 초여름으로 치닫지만 각급학교는 봄의 축제로, 농촌에선 단오잔치(30일)로 즐겁기만 하다. 어린이날·성년의 날·어버이날

    중앙일보

    1979.05.01 00:00

  • 고르는 요령과 별식 만들기

    포도는 새콤한 맛과 단맛을 함께 갖춰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과실. 초가을의 입맛을 돋워주는 포도가 제철을 맞아 시장에 풍성하게 나와 있다. 종류 및 고르는 법·가격 등을 알아

    중앙일보

    1978.08.30 00:00

  • 강원도 인제서 첫 벼 베기

    【인제】올해 첫 벼를 수확한 농부는 강원도 인제군 남면 부평리2반 김봉철씨(60). 김씨는 6일 1천2백 평의 논에서 벼를 베어 전국에서 첫 수확자가 됐다. 이웃 김종묵씨(52)는

    중앙일보

    1978.08.09 00:00

  • 쌀 풍작예상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쌀 대풍이 예상된다. 9일 농촌진흥청이 지난달 20일 현재로 전국 1백74개시·군 4백20개 지대의 6천7백20필지에 심은 벼를 대상으로 조사한 작황에 따르면

    중앙일보

    1978.08.09 00:00

  • 장마 뒤따라 성하가 성큼…7월

    가뭄 끝에 찾아온 궂은 장마 속에 성하의 계절 7윌에 접어든다. 소서·대서가있고 초복·중복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지만 전염병 발생에 유의하고 벙충해 방제를 해야하는 농촌은 바쁘

    중앙일보

    1978.07.01 00:00

  • (1)꽃창포

    꽃창포(화창포)는 붓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이다. 꽃창포의 꽂은 크며. 그 빚깔도 백색·황색·청색·적색·홍색·자색·「핑크」색 등으로 다양해 여느 꽃에 못지 않은 아름다운 꽃이다.

    중앙일보

    1977.07.02 00:00

  • 「만년 하위」 벗고 전국 1위로|벼 단당 생산량서 「곡창 전남」 과시

    곡창이면서도 단위 생산량에서는 전국 하위권에 맴돌던 전남이 올해엔 단위 생산량에서도 전국 1위를 기록, 76년도 식량 증산 최우수도로 선정됨으로써 명실상부한 「곡창 호남」의 면모를

    중앙일보

    1976.12.09 00:00

  • 추곡수매 25일부터

    농수산부는 올 추곡수매시기를 예년보다 1주일 정도 앞당겨 오는 25일부터 개시키로 했다. 18일 농수산부에 따르면 이같은 조치는 전남·충남·강원 등 일부 지역에서는 조생종계통의 식

    중앙일보

    1976.10.18 00:00

  • 오곡이 무르익는 풍요의 계절 9월

    푸르러 가는 높은 하늘아래 나뭇잎을 흔드는 바람이 신선하다. 쾌적한 기온속에 학교의「캠퍼스」가 활기를 찾고 농촌에선 익어가는 오곡의 관리에 바빠지는 달이다. 8일이 추석으로 풍년을

    중앙일보

    1976.09.01 00:00

  • 벼 첫 수확

    【충무】경남 통영군 광도면 죽림리 홀리부락 최덕수씨(48)가 21일 올 들어 전국에서 처음으로 벼 수확을 해 햅쌀이 선을 보였다. 최씨가 수확한 조생종 벼는 일본 구주지방에서 재배

    중앙일보

    1976.08.23 00:00

  • (62) 영농기술의 개선(10)

    김장용 배추 재배시기는 8월 상순을 넘기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가을 김장배추는 봄배추 재배와 그 재배요령이 다르며 따라서 배추의 생리·특성 그리고 환경 등을 잘 알아 충분한 결구

    중앙일보

    1976.08.06 00:00

  • 가뭄속에 벼병충해 극성|애멸구·끝동매미충 등 예년보다 2주나 빨라

    모내기가 미처 끝나기도 전에 애멸구·끝동매미충을 비롯한 각종 벼병충해가 전국적으로번지고 있다. 계속된 가뭄으로 예년보다 2주일 가량이나 빨리 발생한 벼병충해는 중부이남지방에서 특히

    중앙일보

    1976.06.29 00:00

  • 조생종벼 생산량 허위보고

    【광주】지난해 전남지방의 통일벼와 유신벼등 조생종 다수학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실제보다 2만5천ha, 80여만섬이 많게 엉터리로 보고됐음이 드러났다. 12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

    중앙일보

    1976.02.13 00:00

  • 수매부진한 「대풍추곡」

    대풍을 이루었던 지난해 작황과는 달리 추곡수매 실적이 예년에 비해 전국적으로 크게 저조한 이색현상을 빚고 있다. 전국 취재망을 통한 조사에 따르면 수매시한을 하루 앞둔 30일현재

    중앙일보

    1976.01.31 00:00

  • 10월의 메모

    수확의 계절―. 농촌에서는 여름내 땀 흘려 가꾼 농작물을 거둬들이고 도시에서는 전국체전, 국전등 각종문화·체육행사가 열린다. 개천절·한글날·「유엔·데이」등 공휴일이 많은데다 단풍이

    중앙일보

    1975.10.01 00:00

  • 추석기습 폭풍우|결실기 벼에 큰 타격-전남북·충남·경기·강원

    20일의 추석을 기습한 폭우와 강풍은 결실기의 벼를 쓰러뜨려 전북에서만 8천여ha의 벼가 쓰러져 4억9천여만원의 피해를 내는 등 전국곳곳에서 벼가 쓰러지고 이미 수확한 볏단에 싹이

    중앙일보

    1975.09.22 00:00

  • 포도는 한상자에 3천∼5천5백원씩|금주어시장…고등어·오징어·갈치풍성

    불볕더위로 한동안 파리를 날리던 시장가는 입추와 말복이 지나면서 다소 활기를 찾기 시작, 가을용품판매전략을 짜느라 안간힘을 쓰고 있다. 청과물 시장에는 포도·사과·복숭아등이 쏟아져

    중앙일보

    1975.08.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