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먼저 투철한 직업의식을"

    최근 4∼5년간 우리 나라 직업여성의 수는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직업여성에게는 가정과 사회의 양립문제를 비롯, 많은 문제점이 있다. 직업여성들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

    중앙일보

    1972.11.21 00:00

  • (62)외교관

    상당히 화려한 직업으로 일반에게 알려지고 있는 외교관직은 특히 여성들에겐 아직 거의 미개척분야로 꼽히고 있다. 해방 후 여러 번의 「유엔」 총회엔 김활난 모윤숙씨 등의 여성대표가

    중앙일보

    1972.11.15 00:00

  • 부진한 미「여성해방운동」

    【워싱턴=AK뉴스】호전적인 여권신장 운동자들의 70년에 걸친 노력에도 불구하고 평등을 향한 여성의 전진은 아직도 느린 상태에 있다. 미국여성은 현재 전 인구의 51%를 차지하고 있

    중앙일보

    1972.07.24 00:00

  • (42)사진작가

    많은 여성들이 「카메라」에 취미를 붙이고 이미 「아마추어」를 넘는 실력을 가진 사람도 적지 않지만, 막상 사진작가로서 전문직의 길을 밟는 여성은 극히 드물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중앙일보

    1972.06.27 00:00

  • 전문직 여성 우리나라에서의 실태(31)-만화작가

    우리나라에서 어른들 사이에 이름이 알려진 만화작가의 수는 10여명 정도밖에 안되지만, 어린이들 세계로 내려가면 인기작가의 숫자가 1백명 이상이나 된다. 한국아동만화작가협회 (회장

    중앙일보

    1972.05.10 00:00

  • 직업여성과 자녀교육|BPW 서울 지부서 「세미나」

    여성의 사회진출은 날로 활발해져 우리 나라에서도 많은 주부들이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부가 직장을 가진 경우는 남성과 달리 가사처리와 자녀교육, 친지간의 관계까지 관여해야 하기

    중앙일보

    1972.04.28 00:00

  • (27) 비서

    지난 67년 한국에선 처음으로 경희대여자초급대학에 비서학과가 생겼고 68년엔 이화여대 법정대에 비서학과가 신설되어 여성전문직종으로서의 비서직이 새롭게 인식되어 가고 있다. 여비서하

    중앙일보

    1972.04.19 00:00

  • (26)박물관 요원

    박물관에서 유물을 다룰 수 있는 요원 즉 학예 직 여성은 극히 한정돼있다. 국립박물관, 각 대학의 박물관, 지방 시-도립박물관, 민속관등 역사적 유물들을 보관·전시하는 기구가 적지

    중앙일보

    1972.04.15 00:00

  • (25)아나운서

    서울중앙방송국이 창설되던 l930년 이옥경 여사가 최초의 여성 아나운서로 등장한 이후 방송에서 여성의 역할은 점점 커져, 현재 우리 나라 전국의 여자「아나운서」는 1백40여명, 전

    중앙일보

    1972.04.12 00:00

  • 한국사회학회 월례발표회에서

    한국사회학회는 매달 월례발표회를 갖기로 하고 그 첫 모임을 4일 하오 서울대문리대에서 마련했다. 이 자리에서 김영모 교수(중앙대)는 『한말 유학생의 실태』를, 이동원 교수(이대)는

    중앙일보

    1972.03.07 00:00

  • (14)의상디자이너

    의상디자이너는 졸업반 여대생들에 대한 직업 관 조사에서 늘 인기직업의 하나로 꼽히는 전문직이다. 본능적으로 옷을 좋아하는 여성들은 옷을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는 디자이너에 대해

    중앙일보

    1972.02.23 00:00

  • (12)-요리연구가

    요리는 여성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있는 일이지만 그것을 전문직으로 활용하고 있는 여성은 아주 드물다. 요리솜씨를 이용한 직업으로는 조리사와 요리연구가를 들수 있는데 조리사는 식

    중앙일보

    1972.02.11 00:00

  • (10)여성 단체 요원

    우리 나라 최초의 여성 단체는 1898년에 조직된 순성회로 알려지고 있다. 그후 1909년까지는 여우회·보호회·여자 교육회 등 10여개의 단체가 생겨났는데 이들의 목표는 계몽·자선

    중앙일보

    1972.02.04 00:00

  • (9) 사서

    사서는 보통 책을 빌려주고 돌려 받는 간단한 봉사직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춰야 해낼 수 있는 전문직이다. 신체적인 부담이 적고 대외 접촉이 심하

    중앙일보

    1972.02.01 00:00

  • 우리 나라에서의 그 실태|영양사

    영양사란 전문직이 있다는 것을 일반이 알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영양사에 관한 규칙이 보사부령으로 제정된 것이 63년이었고, 63년(이대) 64년(연세대) 무렵에 식품영

    중앙일보

    1972.01.28 00:00

  • 방향 바꾸는 미 여성해방운동

    남녀의 차별을 사회문제로 제기하고 여성들을 사회·정치적 투쟁으로 이끌어 가는데서 그쳤던 지금까지의 미국여성해방운동은 요즘 일선 여성그룹에 실질적인 원조를 제공하는 좀더 구체적인 방

    중앙일보

    1972.01.27 00:00

  • (1)작가

    우리 나라의 여성취업인구는 69년 현재 3백34만9천명으로 전체취업인구의 35·2%를 차지하고있다. 이중 전문적, 기술적 직업종사자는 6만6천명으로 전체 전문·기술직 종사자의 19

    중앙일보

    1972.01.01 00:00

  • 사장되는 여성 교육 투자|여 학사의 취업 의식과 구조|이대 여성 자원 개발 연구소 조사

    경제기획원의 66년도 인구「센서스」에 의하면 우리 나라 여성의 80%는 초등교육 이하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중등 교육이 12%, 고등 교육은 1%에 불과하다. 여성 자원 개발에

    중앙일보

    1971.08.31 00:00

  • 남성을 능가하는 미 여성 사회 진출

    이번 선거에서 여성 유권자가 남성 유권자보다 많은 한국의 경우처럼 최근 발표된 미국의 국세조사에서도 1백대 94.8로 여성 인구가 남성을 앞지르고 있다. 더우기 미국의 경우는 지난

    중앙일보

    1971.04.22 00:00

  • 수요 느는 여성인력 취업의 추세와 현황-인력개발연구소 조사에서

    사회와 산업의 구조변천은 우리나라에도 좀 더 높은 능률과 인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한 개인이나 가정의 차원에서나 더 나아가서는 국가·사회의 차원에서 볼 때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점

    중앙일보

    1971.01.13 00:00

  • 「만남과 나눔」의 장소 『신상』동인회

    신상회가 정식으로 발족한 것은 68년9월 동인지 「신상」(계간)을 창간하면서부터다. 처음에는 11명의 뜻이 맞는 여성들이 모여 주변의 문제를 토론하고 의견을 교환하는데서 시작되었던

    중앙일보

    1970.07.16 00:00

  • 여성과 직장|YWCA서 실태 기초 조사

    YWCA 연합회는「여성 자원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 직업 여성 8백38명·경영자 1백10명·남녀 대학생 3백85명을 상대로 한국 여성의 직업 실태 및 전망을 알아 보고

    중앙일보

    1970.07.09 00:00

  • 「여성의 적」은 여성|조이스·브러더즈박사의 분석

    여성은 여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여성은 편협하고 남자보다 무능하다』는 편견은 남자뿐 아니라 여성이 오히려 더 심하게 믿고 있다. 「조이스·브러더즈」박사가 분석한 미국의 월간

    중앙일보

    1970.03.27 00:00

  • 남성 부담 덜어줄 여성능력의 개발

    다음은 미국의 인류학자 「마거리트·미드」여사가 한국 여학사협회 창립 20주년기념 책자를 위해 기고한 논문 「70년대의 여성」을 간추린 것이다. 오늘날 어떤 지점에서 여성이 움직여도

    중앙일보

    1970.03.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