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정희는 靑서 은밀히 北영화 봤다···그를 움직인 의외 인물들

    박정희는 靑서 은밀히 北영화 봤다···그를 움직인 의외 인물들

     ━  해외 유치과학자 1호 김재관 박사와 홍용식 교수의 숨은 이야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설립초기의 주역들. 앞줄 중앙이 당시 최형섭소장, 성기수, 전무식, 채영복,

    중앙일보

    2022.01.28 12:32

  • [이정민이 만난 사람] '내각제 신봉자' 박철언 전 의원

    [이정민이 만난 사람] '내각제 신봉자' 박철언 전 의원

    6공 황태자, LP(Little Prince)란 별칭으로 한때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인물이 있다. 국회의원(13~15대)과 정무·체육청소년부 장관을 지낸 박철언(72) 전 의원이

    중앙일보

    2014.11.01 00:32

  • [Life] “물도 감정에 반응해요”

    [Life] “물도 감정에 반응해요”

    1990년대 한국에선 ‘육각수’ 열풍이 불었다. KAIST 교수였던 고 전무식 (2004년 작고) 박사가 육각수(육각형 고리 구조를 이루는 물)를 즐겨 마시면 인체의 자연 치유력이

    중앙일보

    2008.09.01 02:26

  • [과학] 사람 체온 30도로 떨어지면 숨지는 이유는 '물'

    [과학] 사람 체온 30도로 떨어지면 숨지는 이유는 '물'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1, 12일 이틀간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물의 과학과 기술'을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열었다. 육각수 이론을 제창한 고 전무식 박사를 추모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일보

    2005.10.13 19:49

  • 이온수기 "내가 1등"

    이온수기 "내가 1등"

    국내 이온수기 시장 점유율 1위-. 바이온텍(사진)은 이렇게 주장한다. 이 회사는 22년 이상 이온수기를 연구 개발하고 생산해온 전문 업체다. 바이온텍은 지난해 하반기만도 30만대

    중앙일보

    2005.03.09 09:30

  • '물 박사' 전무식씨 별세

    '물 박사' 전무식씨 별세

    '물 박사'로 유명한 과학기술계 원로 전무식 박사가 13일 오전 3시10분 지병으로 별세했다. 72세. 전 박사는 6각형 고리의 물(육각수)이 암 등 병을 고치고 건강에 좋다는

    중앙일보

    2004.08.14 09:23

  • 제3회 한림원상 수상자 발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韓仁圭 박사)은 19일 이학·공학·농수산학·의약학 등 4개 분야에서 제3회 한림원상 수상자를 선정했다. 이학 분야의 '한림원 청암 과학상'은 물 과학 분야

    중앙일보

    2002.11.20 00:00

  • [거산정수기] 몸에 활기를 주는 육각수, 만들어 드세요.

    [거산정수기] 몸에 활기를 주는 육각수, 만들어 드세요.

    자연여과식 정수기 분야의 선두주자인 거산정수기에서 육각수제조기 '엑티모'를 판매한다. 물박사 전무식 교수에 따르면 육각수란 육각형 고리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중앙일보

    2002.01.15 18:51

  • 육각수 이야기 4

    육각수 이야기 4

    육각수는 어떻게 해야 마실수 있을까? 전무식 박사는 일단 물은 차갑게 마셔야 한다고 단언합니다. 육각수는 수온이 낮을수록 그 존재 비율이 큰 반면 수온이 높을수록 작아지는 특징이

    중앙일보

    2000.12.13 14:37

  • 육각수 이야기 3

    육각수 이야기 3

    전무식 박사에 따르면 인간의 생체 분자 주변의 물은 62%가 6각형 고리, 24%가 5각형 고리구조의 물이고 기타 14%는 다른 모양입니다. 육각형 고리 구조의 물이야말로 인체의

    중앙일보

    2000.12.13 14:30

  • 육각수 이야기 1

    육각수 이야기 1

    액체 상태인 물 속에는 물 분자 하나하나가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6각이나 5각으로 된 고리 구조로 서로 손을 맞잡고 있습니다. 이것을 육각수 혹은 오각수라고 부릅니다. 세계적인

    중앙일보

    2000.12.13 13:38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벤처기업 관련 토론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전무식 전무식 박사)은14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 대강당에서 `경제발전을 위한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제24회 한림원

    중앙일보

    2000.04.12 16:37

  • '세계 물의 날' 맞아 알아본 '물의 신비'

    지구를 엄습한 빙하기에도 생물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이는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바다물 때문.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져 떠오르는 물의 특성 탓에 바

    중앙일보

    2000.03.21 00:00

  • '물은 강철보다 강하다'

    지구를 엄습한 빙하기에도 생물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이는 지구 표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바다물 때문.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져 떠오르는 물의 특성 탓에 바

    중앙일보

    2000.03.20 21:07

  • KAIST 전무식교수 전기 출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명예석좌교수로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인 세계적 `물 박사''로 유명한 전무식(67) 교수의 전기가 출간됐다. 우리과학기술 찾고 알리기 운동본부(회장 윤창

    중앙일보

    1999.11.07 09:27

  • [속담과 과학]찬물도 체한다

    답답하고 목이 마를 때 시원한 물 한잔에 비할게 없다. 그렇지만 이런 '찬물도 체한다' 는 속담이 있다. 서둘러서 좋을 것이 없다는 의미다. 우리 몸은 약 70~80%가 물로 구성

    중앙일보

    1999.01.11 00:00

  • 노벨상 수상 전략적 후원 지원본부 발족

    노벨과학상을 획득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수상 가능 과학자를 돕기 위한'한국노벨상 수상 지원본부'(02-788-2205)가 13일 발족됐다.지원본부 이사장은 정호선(국민회의)국회의원이

    중앙일보

    1997.06.18 00:00

  • 국내 고급두뇌의 産室-인물로 본 KIST 30년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견인차로 설립 30주년을 맞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숱한 연구개발업적외에도 수많은 고급두뇌를배출,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기틀을 다졌다는 점에 많은 평가가

    중앙일보

    1996.02.13 00:00

  • 물에도 여러종류 있다-機能水 연구활발

    일반 음용수에 전자기(電磁氣)처리등 각종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특별한 성질을 갖도록 하는 이른바 「기능수」(機能水)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활용되고 있는 육각수(六角

    중앙일보

    1995.08.09 00:00

  • SBS.TV "그것이 알고싶다"

    「생명수로 불리는 육각수는 이론인가,실재인가.이온수를 마시면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데….」 인체의 70%를 차지할 만큼 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된 물.깨끗함을 넘어서 좋은 물을 마시고

    중앙일보

    1995.04.22 00:00

  • 국내 화학분야 대상 李泰圭학술상 제정

    우리나라 화학계의 선구자 故 이태규(李泰圭)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이태규학술상」이 제정됐다. 이 상은 故 이태규선생 기념사업회(이사장 李龍兌)가 이박사의유족이 마련한 1억1천

    중앙일보

    1994.10.22 00:00

  • 연구역사 짧아 아직은 먼길|노벨 과학상에 도전한다 신년특집

    포항공대 중앙광장에 들어서면 1.2m 높이의 6개의 대리석 좌 대를 볼 수 있다. 이 좌 대에는 만유인력을 발견한 뉴턴, 전자기학의 선구자인 맥스웰, 상대성이론의 창시자인 아인슈타

    중앙일보

    1993.01.04 00:00

  • 물|암·노화 예방효과

    땀을 많이 흘리고 갈증이 심해 물을 많이 찾는 여름철이다. 우리 몸의 60%이상을 차지하는 물은 생리기능상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물을 섭취

    중앙일보

    1991.08.03 00:00

  • "수도물 THM(트리할로메탄)끓이면 없어진다"

    우리가 매일 마시는 국내의 수도물 속에 발암 물질인 THM(트리할로메탄)을 비롯한 납 등 중금속이 선진국의 함량에 비해 훨씬 높다는 분석에 따라 물에 의한 건강 문제가 새롭게 부각

    중앙일보

    1990.07.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