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45)성주 도씨

    도씨는 성주 단일본이다. 전국에 3만여명, 성별인구순위 65위의 귀성. 고려 명종때의 전리상서 도순을 득성시조로 받들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삼강행실도 등 여러 문헌에는 순이전

    중앙일보

    1985.06.29 00:00

  • (139)옥천 육씨|임진란때 의병, 충의전통 빛나

    옥천육씨의 시조는 육진. 지나절강생소헌부 사람으로 신라 경순왕 원년 (AD927년) 에 당나라의 사절로 신라에와 귀화, 정착했다고 육씨네 족보는 기록해온다. 그때 육보와함께 홍·정

    중앙일보

    1985.05.11 00:00

  • 대폭개편의 결단부른 총선쇼크|홍역치른 민정당 당직개편의 안팎

    ○…당의 얼굴인 대표위원의 교체로 당직개편을 마무리하기까지 민정당은 창당 후 그야말로 처음으로 소리가 표면에까지 나타날 정도로 내부진통을 겪었다. 장영자사건이나 정내혁씨 파동이 외

    중앙일보

    1985.02.23 00:00

  • '85 총선 열전지대(17)

    한국의 정치1번지 종로-중구의 선거전은 과거 어느때보다 뜨겁다. 제5공화국 주도세력의 한사람으로 뿌리를 내린 이종찬민정당총무와 김판술의원으로부터 「고성」을 되찾아 재출발을 기약하고

    중앙일보

    1985.01.29 00:00

  • (97) 동양정밀(OPC)

    동양정밀(OPC)은 동사가 지난 68년부터 시판했던 OPC 선풍기와 석유스토브로 널리 알려지기시작했다. 또 요즈음도 시내곳곳의 공중전화부드에서 볼수있는 OPC 전화기를통해 매우 낯

    중앙일보

    1984.06.21 00:00

  • 「볼키아」브루네이국왕 |수상등 겸직, 친서방중립노선 지켜

    「하사날·볼키아」브루네이국왕(38)은 21세때인 67년 부왕의 퇴위로 왕위를 계승해 68년에 제29대 국왕으로 즉위했다. 「볼키아」국왕은 수상·재무·내무장관을 겸직한 절대권력자이며

    중앙일보

    1984.03.20 00:00

  • 공공 도서관의 면모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의 새건물이 19일과 20일 각각 착공되었다. 나라의 중심적인 지적정보의 유통을 당당할 이들 도서관의 신축은 우리교육문화의 획기적 발전을 전시하는 한 상징

    중앙일보

    1984.03.20 00:00

  • 월간지들 회고조 다큐멘터리 붐

    해방이후 제1공화국에서부터 10·26이전까지 우리나라 정치·사회 경제등의 분야에서 일어났던 사건들을 다루는 기획물이 월간지에 많이 실리고 있다. 「추적」 「다큐멘터리」 「비록」등의

    중앙일보

    1983.10.12 00:00

  • (77)진성 이씨

    진성이씨는 퇴계 이황을 낳은 가문이다. 퇴계의 이름이 천하에 들린데 비해 정작 진성이씨를 모르는 사람이 많으나 퇴계가 대표하듯이 학문의 전통이 남다른 경북의 선비집안이다. 진성을

    중앙일보

    1983.08.20 00:00

  • 한국축구 이제 잔디서 자랄때

    한국 청소년축구대표팀이 세계4강에 도약한 것은『세계축구사에 가장 놀라운 사건의 하나』였다. 「세계축구의 눈」으로 볼때 놀라움은 이것으로 그치지않는다. 축구란 당초부터 잔디위에서 하

    중앙일보

    1983.06.21 00:00

  • (11)항일의 해외묘지(2)|발굴자료와 새 증언으로 밝히는 일제통치의 뒷 무대

    일제 하에서 간도라고 했을 때는 항일기지를 연상했다. 간도의 항일투쟁은 억세고 끈질긴 것이었다. 국내 항일세력이 숨죽이고있던 30년대에도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키 위해 간도에서 잠입

    중앙일보

    1983.05.30 00:00

  • (3719)제79화 육사졸업생들(172)

    9기생들은 태능본교에 일반병과 후보생 3개 중대와 공덕리분교 (현서울대공대자리)에 특과병과 후보생 1개 중대로 나눠 교육을 받았다. 공덕리분교에서 교육을 받은 특과병과는 공병·측지

    중앙일보

    1983.05.24 00:00

  • (3718) 제79화 육사졸업생들(171) 9기생

    육사9기생 임관자는 모두 6백74명이다. 이중에는 육군 외에 해병 1기사관 32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육군에서도 보병·포병·기갑의 기본병과 외에 1백6명의 경리사관, 78명의 제4기

    중앙일보

    1983.05.23 00:00

  • (3659)제79화 육사졸업생들(112)「7특」최고위원들|장창국

    5·16때 최고의원을 선발하는데는 몇가지 기준이 있었다. 그것은 대체로 ①각군의 최고책임자 ②혁명주체중 육사8기 이전의 각, 기를 대표하는 장교 2명 ③전문분야에 조예가 있는 장교

    중앙일보

    1983.03.12 00:00

  • (3648) 제79화 육사졸업생들(101) 7기생

    육사7기에는「정규반」「특별반」「후기반」이 있었다. 이들은 입학날짜나 교육기간·교육내용·임관일자가 달랐고 구성원들도 이질적이었을 뿐 아니라 임관 후 뻗어나가는 양상도 판이했다. 정규

    중앙일보

    1983.02.28 00:00

  • (3621) 제79화 육사졸업생들(74) 5기생

    육사5기는 47년 7월l일 입교해 만9개월의 교육을 받고 48년4월6일 3백80명이 소위로 임관했다. 9개월의 교육기간은 4년제 이전 사관학교에서는 생도1기로 불리는 10기의 1년

    중앙일보

    1983.01.27 00:00

  • (3592)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45) 장창국

    6·25망시 1기생들은 대부분 중령에 진급, 연대장 또는 사단참모등으로 군의 중핵이 되어 있었다. 6·25가 터지자 이들은 전쟁의 최일선 지휘관으로 국가보위의 중책을 떠맡게 됐다.

    중앙일보

    1982.12.18 00:00

  • 지원병

    육사와 연결되는 광복 이전의 군사활동 가운데 마지막으로 지원병을 빼놓을 수 없다. 이들은 비록 사병으로 군대생활을 시작했지만 바로 그 점 때문에 보다 철저한 군사경험을 할 수 있었

    중앙일보

    1982.11.25 00:00

  • (3548)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1) 장창국

    해아밀사사건으로 고종이 물러나고 순종이 들어선지 꼭 한달만인 1907년 8월1일. 일제의 강압에 못이겨 새임금 순종이 「재정부족」으로 인한 「일시적인 조치」라는 이름아래 군대를 해

    중앙일보

    1982.10.27 00:00

  • 외미파동 곤욕치르는 김주호 조달청장|육사 중퇴·농수산부거쳐 국보위도 근무

    쌀파동과 함께 갑자기 유명해져 뉴스의 각광을 받고 있는 김주호 조달청장. 밤늦게까지 사무실에서 서류를 챙기고 있다. 『제발 숨 좀 쉬게 해달라』며 그는 손을 내젓는다. 손가락으로

    중앙일보

    1982.03.16 00:00

  • 서울의 기능|과감한 분산시급|국토개발계획 공청회 개막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82∼91년)수립을 위한 공청회가 국토개발 연구원 주최로 23일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됐다. 공청회는 5개 분과로 나뉘어 24일까지 이틀간 계속된다. 공청회에

    중앙일보

    1981.09.23 00:00

  • 11대의회 신인진출뚜렷 초선이 80%나|40대가 백52명으로 55%차지 직업은 정치인75, 산업인58명|3선이상은 불과 24명 대졸 265명으로 96%‥‥박사도 18명

    ○…「5·17」이후의 정치적 변혁을 거쳐 실시된 11대국회의원총선거결과는 우선 인적 구성면에서부터 과거 국회와는 거의 단절된 모습을 보였다. 11대의원은 지역구의원 1백84명의 7

    중앙일보

    1981.03.27 00:00

  • 생도시절「의 누이」18년만에 해후|전대통령, 지방순시 중 진해 집 찾아

    【진해】『각하 반갑습니다.』실로 18년만의 감격적인 해후였다. 전두환 대통령은 지난 15일 진해순시 중 틈을 내어 육사생도시절 자신을 친동생처럼 보살펴 주었던 박소순씨(55·여·진

    중앙일보

    1981.03.19 00:00

  • 격리|유대효

    내가 있는 곳엔 잔디가 없다. 소리하나 들리지 않는다. 완전한 어둠과 정적만이 나와 함께 있다. 나는 이렇게 완벽한 어둠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건 알지 못했다. 십이편갱 (12편갱)

    중앙일보

    1981.01.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