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권영빈 칼럼] 흐름을 보면 변화를 안다

    2001년 12월, 중국의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90세 생일을 맞은 노과학자 첸쉐썬(錢學森)박사를 찾아 건강을 걱정하고 그의 학문적 위업을 칭송했다. 첸 박사는 1935년 상하이

    중앙일보

    2004.02.26 18:28

  • 여학생용 '맞춤 과학교실'인기

    와이즈거점센터 소장인 이화여대 이혜숙(수학과) 교수는 "과학.수학시간에 남학생들은 단도직입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여학생들은 주변상황을 찬찬히 살펴 아이디어를 내놓는다. 따라서 얼

    중앙일보

    2004.02.25 15:36

  • [이은희의 과학과 문학사이] '이카로스의 꿈'

    우연한 기회에 전투기 조종사이자, 항공 전문가의 강연을 들을 기회가 있었다. 30여년 전 처음 비행기를 타신 그 분의 노모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고 했다. "얘야, 제발 비행기 탈

    중앙일보

    2004.02.20 17:50

  • [행복한 책읽기] 젊은이여, 교양을 닦아라

    [행복한 책읽기] 젊은이여, 교양을 닦아라

    기업의 인사담당자들을 만나다보면 이런 푸념을 자주 듣게 된다. "신입사원일수록 영어나 상식이 뛰어나 입사성적은 거의 만점에 가깝지만, 현업 부서에 배치하고 나면 일을 못한다는 평

    중앙일보

    2004.02.20 17:46

  • [사이언스 브리핑] 과학기술부 外

    ◆과학기술부는 미취업 이공계 석.박사 인력을 지원하는 2004년도 '신진연구자 연수지원사업'을 시행한다. 대학.국공립연구기관.정부출연기관 등에서 근무하는 인원 3백60명과, 중소기

    중앙일보

    2004.02.18 15:52

  •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을 위한 공학인들의 정책 제언

    1. 배 경 ○ 국가 경쟁력과 공학기술 -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시장개방추세는 세계를 하나의 생산체제와 소비시장으로 만들며 무한경쟁 시대를 촉진시키고 기술력은 한 나라의 경쟁력을

    중앙일보

    2004.02.17 16:21

  • [우리들의 눈] "평범한 사람도 짱 되는 세상" 外

    *** "평범한 사람도 짱 되는 세상" '짱'은 지난해 최고의 인기 검색어다. 하루에도 수십개의 짱카페가 생긴다. 인터넷에서 얼짱들은 떴다 하면 잇따라 연예계에 발을 내딛는다. 좋

    중앙일보

    2004.02.16 17:51

  • [국가 R&D체제 이렇게 고치자] 下. 産·學·硏 '협력+경쟁' 배워야

    [국가 R&D체제 이렇게 고치자] 下. 産·學·硏 '협력+경쟁' 배워야

    연구개발(R&D)시스템은 정부.기업.교육기관 등 연구비를 사용하는 행위주체들의 협력과 경쟁 등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한다. 기업은 이윤극대화라는 동기를 향해 연구목표 등을 결정하고,

    중앙일보

    2004.02.11 15:33

  • [세계의 CEO] 프랭크 란자 L-3 커뮤니케이션스 회장

    미국의 방위산업체 L-3 커뮤니케이션스(이하 L-3)는 테러와 전쟁으로 사세를 키운 회사다. 창업한 지 7년밖에 안 됐지만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테러와 전쟁 때문에 최근 포천이

    중앙일보

    2004.02.03 16:57

  • [디지털 국회 발언대] 과학드라마 많이 만들자

    우리나라는 자원이 부족하고 국토도 좁아 첨단 과학기술을 개발해야 생존이 가능하다. 그런데도 우수 인력들은 이공계보다 그저 먹고살기 편한 의대나 고시 등에만 매달리고 있다. 나는 젊

    중앙일보

    2004.01.28 18:59

  • 2015년 달에 有人기지 세운다

    2015년 달에 有人기지 세운다

    “2015년부터 인류를 달에 정착시키고,달을 전초기지 삼아 2030년 이후 화성은 물론 더 멀리 외계로 우주탐사 범위를 넓히겠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14일 (현지시간)

    중앙일보

    2004.01.15 19:09

  • [김영희 칼럼] 한강 너머 태평양을 보자

    우리는 지금 좁은 한강변에서 전개되는 대선자금 수사와 정계의 이합집산, 경제불황에 정신을 빼앗겨 넓은 태평양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각변동을 못 보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중국과

    중앙일보

    2004.01.15 18:22

  • [week& cover story] 여기자가 직접 돗자리 앉아보니 "아하"

    ***이경희 기자 일일 도사 되다 대체 사주.운세 풀이에는 어떤 원리가 숨어있길래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에게 이럴 것이다, 저럴 것이다 말해줄 수 있을까. 도사 심정을 알려면 도사가

    중앙일보

    2004.01.15 14:46

  • [시론] 잃어버린 '과학'을 찾아서

    오랜만에 거물급 행정의 달인이 과학기술부의 수장이 되어 청와대는 물론 우리 과학기술계도 큰 기대를 안게 되었다. 특히 과학기술부가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를 이끌며 '과학기술정책,

    중앙일보

    2004.01.13 18:45

  • [틴틴 경제] 우주탐사, 경제엔 무슨 도움되나요

    [틴틴 경제] 우주탐사, 경제엔 무슨 도움되나요

    부시 미국 대통령은 최근 유인 우주선을 화성에 보내고, 달에는 영구 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공상 과학에나 나오던 것을 현실로 만들겠다는 것이지요. 우주 개발을 하는 데는

    중앙일보

    2004.01.11 16:32

  • [교양] 호기심이 열어준 '멋진 신세계'

    [교양] 호기심이 열어준 '멋진 신세계'

    바퀴는 언제 생겼을까? 글자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또 등불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이 책에는 발견과 발명을 통해 본 인류의 역사가 담겨 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도랑을 파고

    중앙일보

    2004.01.09 17:08

  • '주머니 속 비행기' 첩보계 혁명

    호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헬리콥터가 나왔다. 유럽 우주항공업체 EADS가 4년여의 연구 끝에 개발했다. 회전날개 4개가 달려 '쿼트로콥터'로 불린다. 가로와 세로 모두 65㎝에 달하

    중앙일보

    2004.01.07 15:14

  • [과학과 미래] "새해엔 별별 사진 다 찍고 싶어"

    [과학과 미래] "새해엔 별별 사진 다 찍고 싶어"

    궁수자리에 있는 삼렬성운. 밝기는 약 8등급. 5천2백 광년의 거리에서 매초 약 11㎞의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 메시에 천체 번호로는 스무번째다. 우주에는 1만1천여개의 은하가

    중앙일보

    2004.01.07 15:11

  • "얘들아, 겨울 방학땐 책하고 놀~자"

    바야흐로 겨울방학. 아무리 혈기 왕성한 아이들이라도 찬바람 쌩쌩한 바깥보다는 집안에 틀어박혀 컴퓨터 오락을 하는게 더 좋을 법하다. 하지만 현명한 부모라면 기회는 이때다. 아이를

    중앙일보

    2004.01.07 09:28

  • 스타 과학자 6명 '음악이 있는 크리스마스 강연'

    스타 과학자 6명 '음악이 있는 크리스마스 강연'

    청소년들이 이공계 진학을 멀리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어렵다'이다. 한편으로는 과학만큼 재미있는 것이 없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결국 과학을 좀더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통로가 부

    중앙일보

    2003.12.17 15:28

  • [中 란싱그룹, 쌍용차 우선협상자로] 란싱그룹은…

    중국의 란싱(藍星.Blue Star)그룹은 1984년에 설립된 중국 최대의 화학공업 그룹이다. 국영기업으로 상장사 3개를 비롯해 1백여개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자산 규모는 2

    중앙일보

    2003.12.17 06:11

  • 비행기가 연료없이 날 수 있다고?

    연료통도 엔진.배터리도 없는 비행기가 날 수 있을까? 글라이더 비행기처럼 공중으로 끌고올라가 놓아둬 기류를 타고 가는 것이라면 가능하다. 그러나 첨단 기술은 적외선 레이저나 빛만을

    중앙일보

    2003.12.10 16:25

  • [과학으로 세상보기] 내 몸은 사회·문명의 역사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연과학이 다른 학문과 구분되는 무언가 대단한 것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때문에 목표를 향한 지속적인 진전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과학철학자 포퍼는 '오류가

    중앙일보

    2003.12.04 18:03

  • [사이언스 브리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外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핵자기공명분광(NMR) 분야의 획기적 기술 및 이론 개발로 1991년 노벨 화학상을 단독 수상한 리하르트 R 에른스트(70.스위스) 스위스연방공과대 교수를

    중앙일보

    2003.11.19 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