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삶과 추억] 故 허웅 한글학회 이사장

    눈뫼 허웅 선생은 우리말과 글을 갈고,닦고,지킨 국어학계의 큰 별이었다. 한힌샘 주시경.외솔 최현배 선생의 뒤를 이어 35년 동안 한글학회 회장과 이사장직을 맡아 한글이 지닌 민족

    중앙일보

    2004.01.26 19:06

  • 유재원·리의도 교수 '우리말 지킴이 논문상'

    유재원·리의도 교수 '우리말 지킴이 논문상'

    유재원(左) 한국외국어대 교수와 리의도(右) 춘천교대 교수가 한글학회가 선정한 우리말 지킴이 우수 논문상 수상자로 결정됐다. 이와 함께 우리말 지킴이에는 이판정 ㈜넷피아 대표이사

    중앙일보

    2003.12.19 19:00

  • [책꽂이] 인문·사회 外

    [책꽂이] 인문·사회 外

    ▨ 인문.사회 ◆네티즌을 위한 e-헌법, Cyber Law(성선제 외 지음, 길벗, 1만3천8백원)=연예인의 사생활 침해, 표현의 자유와 명예훼손이 충돌하는 문제, 디자인이나 음악

    중앙일보

    2003.12.19 16:51

  • ['계림유사' 국제학술대회] 고려시대 어휘 되살린다

    ['계림유사' 국제학술대회] 고려시대 어휘 되살린다

    양치질이란 말은 어떻게 생겼을까. 고려때 칫솔은 버들가지로 만들었다 하여 '양지(楊枝)'라고 했다고 한다. 때문에 칫솔질은 '양지질→양주질→양추질→양치질'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것이

    중앙일보

    2003.10.16 17:53

  • 암호같은 법조문 풀어쓰기

    판.검사의 판결문이나 공소장을 점잖게 꾸짖는 책이 나왔다. 간단 명료해야 할 법률 문장이 너무 어렵고 모호하다고 지적하는 장하늘(본명 장재성.73)씨의 '법률문장, 이렇게 쓰라'(

    중앙일보

    2003.07.09 17:14

  • 신기남 의원·정의순 수녀 '우리말글 지킴이' 수상

    신기남 의원·정의순 수녀 '우리말글 지킴이' 수상

    문화관광부와 한글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제1회'우리말글 지킴이' 수상자로 민주당 신기남(辛基南.51.(左)) 의원과 성 바오로 안나의 집의 정의순(鄭義順.80.(右)) 수녀가 선정됐

    중앙일보

    2003.05.30 17:53

  • [사랑방] 수상자 결정 外

    ◆수상 ▶서울대 총동창회(회장 임광수)는 최근 제5회 서울대총동창회상 수상자로 세 부문에 걸쳐 1개 단체와 2명의 동문을 선정했다. 참여 부문에선 경원대 총장이자 서울대 의과대학

    중앙일보

    2003.03.11 18:57

  • [수요 인터뷰-허웅 한글학회이사장]"한글날 뭣때문에 만든 건지 원…"

    9일은 제556주년 한글날이다. 쌀쌀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가을 한 가운데 자리한 한글날이 달력 속에서 빨간색을 잃어버린 지 12년. 공휴일에서 기념일로 격하된 뒤 한글날은 사

    중앙일보

    2002.10.09 00:00

  • '한글사랑'전국 어린이 글쓰기대회 열린다

    '한글날이 다시 국경일이 됐으면…' 이런 소망을 담은 글쓰기 대회가 열린다. 글사임당과 한글학회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글날 국경일 제정을 위한 전국 어린이 글쓰기 대회'를 개

    중앙일보

    2002.08.21 00:00

  • 서해교전 암초에 걸린 한반도 첫 남북 학술회의

    이번엔 정말 북한 학자들이 올 수 있을까. 남북간 학계의 교류에서 가장 큰 현안은 북한 학자를 남한에 초청하거나 북한에서 학술회의를 하려 들 때 부닥치는 어려움이다. 최근 몇년간

    중앙일보

    2002.07.10 00:00

  • 우리 학자 눈으로 해석한 라캉

    우리는 모두 신경증에 걸려 있다. 그리 나쁜 일은 아니다. 신경증에 걸리지 않았다면 도착이나 정신병에 걸렸을 테니 말이다. 그렇다고 좋은 일이 아닌 것 또한 분명하다. 반복적으로

    중앙일보

    2002.06.08 00:00

  • 이문구 문학의 무대 보령… 작가와 함께 돌아봤더니

    지난 4일 꾸물꾸물한 날씨가 영 시원찮은 날, 충남 보령 일대에선 소설가 이문구(61)씨와 독자들이 이곳 저곳을 거닐고 있었다. 이씨가 작품의 배경으로 삼은 고향 마을에서 문예창

    중앙일보

    2002.06.07 00:00

  • 학계 소식

    우리말 철학사전 출판회 우리사상연구소(소장 성염)는 우리말 철학사전 편찬을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27일(토) 오후 2시 광화문 구세군회관 맞은 편 흥국생명빌딩 14층 대회의실에서

    중앙일보

    2002.04.24 00:00

  • 中장교 출신 동포 관광객 유치'큰 손'

    "13억 중국사람 다 불러올까요?" 지난 3년간 무려 63만명의 중국인 관광객을 한국으로 불러들이며 여행업계에 돌풍을 일으킨 중국동포가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중교(中校·한국의

    중앙일보

    2002.02.16 00:00

  • 서울시내 동이름 30% 일제때 지명 사용

    서울의 동(洞)이름 10개 중 3개꼴로 우리 고유의 명칭이 아닌 일본식 지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말 쓰기에 앞장 서고 있는 한국땅이름학회(회장 배우리)가 8일 발표한 '서울 지

    중앙일보

    2001.10.09 00:00

  • [기자수첩] 공중파TV 한글날 외면하나

    공중파 TV가 한글날을 너무 홀대하고 있는 느낌이다. KBS 1.2TV와 MBC, SBS, EBS 등 4개 공중파 방송사 5개 채널을 통틀어 `한글날특집'이라곤 MBC의 '한글 창

    중앙일보

    2001.10.08 08:06

  • [삶과 문화] 색치 (色癡) 문화

    나는 화가라는 직업 때문에 가끔씩 색채문화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질문을 하는 사람 대부분이 '한국은 전통적으로 과학적이지 못한 색채문화를 가졌을 것'

    중앙일보

    2001.09.01 00:00

  • [월러스틴과 한국학계]

    월러스틴 이론에 대한 국내에서의 논의는 주로 사회학·정치학·서양사학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그의 이론을 처음 소개한 것은 1980년대의 비판사회학계와 정치학계였다. 당시 소장 사

    중앙일보

    2001.02.22 00:00

  • [발언대] 영어 발음 교정 훈련 빠를수록 좋아

    요즘 미국병이 우리의 주체성을 위협하고 있다는 우려의 글들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얼마 전 철학자 모씨가 그의 저서 '한국의 주체성' 에서 한국 같은 약소국이 세계화의 소용돌이에

    중앙일보

    2001.01.10 00:00

  • [시론] 남북학술교류 서두르자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교류가 다양하게 급템포로 진행되다 주춤하는 듯하더니 다시 열리는 것 같다. 그러나 한 발짝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학술교류다. 처음 평양에서 발표된

    중앙일보

    2000.11.28 00:00

  • [책 광장]〈만연 원년의 풋볼〉外

    ◇ 만연 원년의 풋볼(오에 겐자부로 지음.박유하 옮김.고려원.9천5백원)〓막부시대 말인 만연 원년(1860년) 민중의 투쟁과 패전 후 일본사회의 모습을 대비시켜 인간의 불안심리와

    중앙일보

    2000.10.06 11:02

  • [책광장] 만연 원년의 풋볼 外

    ◇ 만연 원년의 풋볼(오에 겐자부로 지음.박유하 옮김.고려원.9천5백원)〓막부시대 말인 만연 원년(1860년) 민중의 투쟁과 패전 후 일본사회의 모습을 대비시켜 인간의 불안심리와

    중앙일보

    2000.10.06 00:00

  • 이산가족 상봉차 서울 온 북 국어학자 류렬씨

    삼국시대에 고구려 사람과 신라 사람이 만나면 통역이 필요했을까. 이같은 물음에 분명히 "그렇지 않다" 고 처음으로 답한 사람이 이번에 서울을 찾아왔던 북한의 원로 국어학자 유열(8

    중앙일보

    2000.08.21 00:00

  • 정은아 '우리 말글 지킴이' 로

    한글학회(회장 허웅)는 7월의 '우리 말글 지킴이' 로 방송진행자 정은아씨를 선정했다. '우리 말글 지킴이' 는 우리말 우리글 바로쓰기 운동을 펴고있는 한글학회가 매달 방송인을 선

    중앙일보

    2000.07.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