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사하는 생소나무 원인 밝혀 보호해야

    요즘 경기도 시흥군 일대에서는 수십년 된 생소나무들이 말라죽고 있습니다. 산림당국의 시급한 대책이 있어야겠습니다. 고사 원인은 병충해 탓인지, 다른 이유 때문인지 분명치가 않습니다

    중앙일보

    1980.06.17 00:00

  • 미래를 심자

    삼림보호는 요즘만의 일은 아니었던 것 같다. 중국에선 벌써 2천년도 넘는 아득한 옛날부터 도벌에 대한 형벌이 있었다고 한다. 『주례』라는 중국고서를 보면 삼림에는 대록·중록·소록

    중앙일보

    1980.04.05 00:00

  • 나무때는 농가늘어「산림녹화」위협

    산림녹화가 위협받고 있다. 이는 나무를 땔감으로 쓰는 농가가 늘면서 애써 심은 나무를 마구잘라내고 있기때문. 일부 농촌지역에서는 「땔감나무 5일시장」이 되살아났으며 농촌주택개량으로

    중앙일보

    1980.01.21 00:00

  • 백로의 합창 흐뭇한 "서도 천국"

    탐스런 흰 송화인가, 미촌부락을 병풍처럼 둘러친 뒷산 솔밭에는 3백여 마리의 백로·왜가리가 창공을 향해 비상의 나래를 편다. 『쿠르르쿡·쿠르르쿡』. 하늘로 치솟는 이들의 군무는 지

    중앙일보

    1979.06.14 00:00

  • 「민전 시대」기약 해준 푸짐한 의욕|「중앙 미전」의 공모 작품을 말한다

    박=처음 여는 「중앙 미술 대전」이 이렇게 성황인 것은 일단 성공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응모 점수의 양면에서 압도하는 것 같습니다. 서양화는 6백46점에서 14%가 입선되고

    중앙일보

    1978.06.19 00:00

  • 학교 주변에 숲을 만든다|양평 청운중·고생의「집념13년」

    8백여명의 전교생이 해마다 나무를 심고 정성 들여 가꾸기를 13년째. 18만 여명의 학교실습지에는「리기다」·낙엽송 등 20여만 그루의 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양평∼구성사

    중앙일보

    1976.09.03 00:00

  • 유람선 전복 12명 사망|나주 지석강 서 피서객 싣고 건너다|낡은 배 출발 때부터 물새

    8일상오 10시45분쯤 전남 나주군 남구면 서산리 지우강(속칭·드들강·길이 5백m·폭1백m)에서 피서객 40명을 싣고 강을 건너던 철제 유람선(2tㆍ정정모·45)이 뒤집혀 배에 타

    중앙일보

    1976.08.09 00:00

  • 가뭄대책은 긴 안목으로 철저히…

    박정희 대통령은 12일 낮 월간경제동향보고가 끝난 뒤 경제기획원장관실에서 남덕우 부총리를 비롯한 관계장관, 이효상·백두진 의장 등 여당간부, 그리고 새마을훈장을 받은 손석주씨(44

    중앙일보

    1976.07.13 00:00

  • 향기로운 꽃술 담그기|고전요리연구가 황혜성교수의 조언|꽃잎을 꿀이나 설탕에 재어

    산과 들, 주택가의 담장위에도 진달래·개나리가 만발했다. 이때쯤이면 옛 우리 조상들은 술을 빚는데도 꽃잎을 띄워 봄향기를 돋우었다. 이른바 화향입주법. 언제부터 가향주가 담가져 왔

    중앙일보

    1976.04.14 00:00

  • 신춘 중앙문예 당선소설|돌을 던지는 여자|조승기

    『돌을 집었으면 던져야 해요 자꾸 자꾸 깨질 수 있는 모든 벽이 다 무너질 때까지.』 현숙인 마치 돌을 쥐듯 스푼을 쥐고 설탕을 녹여 나갔다. 찻잔 밑바닥과 스푼 사이에서 싸그락거

    중앙일보

    1976.01.01 00:00

  • 「시원한여름」에의 초대|전국에의 해수욕장 「가이드」|숲·모래·맑은물·생선회등 각기 장점지녀

    장마가 물러가고 본격적인 「바캉스·시즌」이 시작됐다. 그동안 궂은 날씨 때문에 제대로 여름경기를 누리지 못했던 전국각지방의 해수욕장도 이번주말께부터는 피서인파의 「피크」를 이룰 듯

    중앙일보

    1975.07.19 00:00

  • 가을이 주는 신비

    마을 앞에선 아름드리 고목 느티나무가 오늘따라 더욱 엄숙해 뵌다. 우수수 깊어진 동구 숲엔 멀어져 가는 이해 가을의 모든 사연을 안은 채 낙엽은 참 많이도 져있고 소나무· 벚나무가

    중앙일보

    1973.11.14 00:00

  • 야생조류보호법

    시린 하늘과 소슬바람. 그리고 조금쯤은 빽빽한 소나무. 명승고적도 없어 마냥 심심하고 사람이나 실컷 봤으면 하는 산골. 오늘도 가파른 산꼭대기를 오른다. 고추밭엘 도착하면 기진맥진

    중앙일보

    1973.09.17 00:00

  • 대일 수출 유망상품…나막신

    일본인의 고유한 나막신인 「게다」가 한국의 유망한 수출상품이라는 소식. 무공 「나고야」사무소는 일본 국내의 「게다」 수요는 최근 복고 「붐」을 타고 점차 늘어나고 있는 반면 공급량

    중앙일보

    1973.08.17 00:00

  • 봄 가뭄

    봄비가 잠시 스치는 듯 지나갔다. 그래도 예년의 우량에 비하면 아직 6분의1도 미치지 못한다. 길거리를 걸어가는 아이들이 기침을 한다. 감기 때문이다. 봄의 가뭄은 호흡기가 약한

    중앙일보

    1973.03.28 00:00

  • 만산홍엽 단풍의 계절

    예년에 비해 올 단풍은 열흘을 앞당겨 왔다. 이상저온 탓이다. 산들은 성장한 여인의 마음처럼 바쁘고 드디어 불타오르기 시작했다. 빨갛고 노오라며 갈색빛깔의 조화가 불꽃처럼 타오르는

    중앙일보

    1972.09.28 00:00

  • 영동에 큰 산불, 천여 ㏊ 연소

    【속초】28일 속초·양양·고성 등 강원도 동해안지방에 초속 18m∼34m의 강풍이 몰아치면서 양양군 현북면 면옥치리 뒷산에서 산불이나 국유림과 사유림 1천여 ha를 태우고 29일

    중앙일보

    1972.04.29 00:00

  • 취미로 하는 3대째 사냥꾼|경기도 고양군 유은형씨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 대자리392 유은형씨(37)는 21일 8년생 삵괭이 1마리를 잡아 중앙일보사를 통해 창경원에 기증했다. 할아버지 때부터 3대째 길들인 매나 덫으로 꿩·산돼지등

    중앙일보

    1972.02.22 00:00

  • 「이조 목공 가구전」신세계 화랑서 골동품상서 수집한 백여점 전시

    우리 나라의 재래적 목공가구는 뒤늦게 빛을 받기 시작한다. 그것은 요즘의 신조품이 아니라 때묻고 낡은 유품. 불과 수십년 전부터 그 중엔 2, 3백년을 헤아리는 것도 더러 포함돼있

    중앙일보

    1972.01.18 00:00

  • (306)등산가족 자연을 배우는 산정의 기쁨

    요즘 서울주변의 등산길을 흔히 명동에 비유한다. 인파의 번잡함이 그렇고 화려함이나 떠들썩하고 어수선함도 마찬가지다. 말하자면 저속화한 산에 대한 지탄이다. 많은 사람들은 등산을 현

    중앙일보

    1971.11.20 00:00

  • (302)가을의 풋향기 듬뿍…한가위 알밤|전통적 추석음식

    다사로운 봄바람, 불타는 여름 햇볕 속에 꽃피고 열매 맺어온 오곡백과가 일제히 여무는 가을, 그 중간에 자리잡은 추석은 다른 어느 명절보다도 다채로운 매각을 그 추억의 한쪽에 포함

    중앙일보

    1971.10.02 00:00

  • 정금자|영흥도

    K선생님. 저의 집 앞 바다를 지나는 객 선이 오늘도 저렇게 피서객을 하얗게 싣고 내려갑니다. 뒷산 솔밭에 바람소리가 늘 시원한 섬이지만 이글거리는 태양과 내뿜는 지열 때문에 무성

    중앙일보

    1971.08.20 00:00

  • 산불 경보

    봄 들어 소규모의 산불이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던 터에 식목일 전일인 4일 하룻 동안 서울근교를 포함한 전국 열아홉곳에서는 등산객들의 부주의 등으로 잇단 산불소동이 벌어져 모두 15

    중앙일보

    1971.04.08 00:00

  • 성냥

    10원이나 20원만 주면 한 움큼의 성냥을 살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성냥머리가 부스러지고 불을 붙일 때 검은 연기가 나고 불을 붙이기도 전에 꺼져버리는 불량품을 만나도 별로 문

    중앙일보

    1970.08.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