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디지털국회 1주년 포럼] 보수-진보 나눠 3시간 넘게 열띤 토론

    인터넷 중앙일보가 4일 마련한 디지털국회(디국) 출범 1주년 기념 포럼은 시종 뜨거운 열기 속에 참석자들이 3시간 넘게 토론을 벌였다. 개회 시간인 오후 7시를 한시간 이나 앞두고

    중앙일보

    2004.11.05 10:49

  • '신촌 3개大 학점교류제' 학부서도 3백여명 활용 인기

    이현승(전자공학과 4학년)씨는 소위 '이중학적자'다. 그에겐 학생증이 두 개 있다. 하나는 '모교'인 서강대, 또 하나는 연세대 학생증이다. 그러나 이씨는 법적.도덕적으로 깨끗(?

    중앙일보

    2004.03.31 13:51

  • [중앙 포럼] 시위대는 성숙하라! 성숙하라!

    그때는 대학교 정문이 경계선이었다. 학교 교정에서 집회를 시작한 대학생들은 학교 안을 돌며 구호를 외쳤다. 경찰은 학교 밖에 진을 치고 있었으나 학교 안으로 들어가진 않았다. 그러

    중앙일보

    2003.12.15 18:03

  • '6월항쟁'때 최루탄에 희생 이한열 기념관 생긴다

    '6월항쟁'때 최루탄에 희생 이한열 기념관 생긴다

    1987년 '6월 항쟁'때 경찰의 최루탄에 맞아 숨진 연세대생 이한열(당시 경영학과 2학년)씨 기념관이 4일 착공됐다. 부지는 91년 국가배상금으로 산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54

    중앙일보

    2003.12.04 18:14

  • 1만6천여 장서 보관 '한국 최초 전직 대통령 기념관'

    1만6천여 장서 보관 '한국 최초 전직 대통령 기념관'

    한국 최초의 전직 대통령 기념관인 ‘김대중 도서관’이 지난 3일 문을 열었다. 통일학 연구소 성격의 전문도서관이다. 아태재단을 둘러싸고 갖가지 잡음이 나오자 김대중 전 대통령이 올

    중앙일보

    2003.11.07 08:32

  • [취재일기] 최루탄과 공권력

    1999년 12월 미국 서북부 도시 시애틀이 매캐한 최루가스로 뒤덮였다. 전세계와 미국 전역에서 모여든 5만여 반(反)지구화 시위대를 미국 경찰이 강제 해산시킨 것이다. 2000년

    중앙일보

    2003.06.05 18:29

  • 한나라 "첫 내정자 철저 검증"

    노무현 대통령당선자가 새 정부 첫 국무총리로 고건 전 총리를 내정함에 따라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高전총리는 최근 "1998년 서울시장 선거를 거치면서

    중앙일보

    2003.01.22 06:52

  • [노무현 인맥 지도] 3. 정치고락 함께한 부산 사나이들

    [노무현 인맥 지도] 3. 정치고락 함께한 부산 사나이들

    노무현(盧武鉉)당선자에게 ‘부산 사람들’의 의미는 각별하다. 단순한 지인이라기 보다는 정치적 고비를 함께 넘은 ‘동지’의 의미가 강하다.이들은 80년대 盧당선자의 부산 광안리 삼익

    중앙일보

    2003.01.07 18:26

  • [지차체 홈페이지 평가에 참여하신 분들]

    ◇ 웹사이트 평가그룹 시삽 전민수(e-BPR 컨설팅 대표) ◇ 민원처리 평가팀=서윤아(팀장.노란박스닷컴 상품기획팀장).김병준(씨투엔 시스템).정혜연(사랑방신문).김영애(미래통신).

    중앙일보

    2001.06.21 00:00

  • 민주화운동 자료 사이버상에 문열어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 과 연세대생 이한열씨의 최루탄 피격 사진 등 4.19 이후 수십여년간의 민주화운동에 관한 사료(史料)가 사이버공간에 모였다. 성공회대(총장 김성수)는

    중앙일보

    2001.06.11 00:00

  • [취재일기] 경찰청장의 '책임 불감증'

    1989년 5월 부산 동의대 사태. 학교건물 점거 학생들을 진압하던 경찰관 6명이 화염병에 불타 순직한 사건이다. 당시 "학생이 죽으면 열사(烈士)고, 경찰이 죽으면 뭐냐" 던 경

    중앙일보

    2001.04.25 00:00

  • 연대앞 벽화 논란

    "아침마다 벽화 옆을 지나게 돼 찜찜한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해요. " "욕설 장면이라고 무조건 저급한 것은 아니듯이 이 벽화도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서울 서대문구

    중앙일보

    2001.01.14 00:00

  • 故 이한열 영정 불타

    지난 1987년 민주화운동 당시 최루탄에 맞아 숨진 연세대생 이한열(당시 20)씨와, 96년 대통령비자금 공개 요구 시위 과정에서 경찰 과잉진압으로 사망한 같은 학교 盧수석(당시

    중앙일보

    2000.03.28 00:00

  • [20세기신문 1986~90] 직선제 개헌요구 한국 전국적 투쟁

    [1987년 6월 10일 서울]지난 4월 전두환대통령의 호헌선언을 장기집권의지로 받아들인 학생과 시민 수십만 명이 전국적으로 직선제개헌 투쟁을 벌였다. 직선제 개헌에 대한 국민의

    중앙일보

    1999.10.22 00:00

  • 휠체어 일본종단 성공 박대운씨 한국행진 시작

    두다리 없이 휠체어를 타고 일본열도 종단에 나선 연세대생 박대운 (朴大雲.22.신문방송학3) 씨가 일본 코스를 완주, 이번에는 한국 종단에 나선다. '하나되는 월드컵을 위하여' 란

    중앙일보

    1999.08.24 00:00

  • 연세대 여학생 6월 밀입북

    국가정보원은 6일 한총련 대표로 추정되는 연세대생 黃혜로 (23.여.천문대기학과 4년.휴학중) 씨가 지난 6월 1일 밀입북해 북한에 체류중이라고 발표했다. 국정원은 "黃씨가 남북학

    중앙일보

    1999.08.07 00:00

  • [중앙일보 선정 98새뚝이]3.사회

    사회는 모든 국민생활상이 담긴 그릇이다. 때론 밝고 때론 어두운 면면들이 서로 엉키며 거대한 사회를 이룬다. 그럼에도 올해 우리 사회는 너무 어두웠다. 회사들이 하나둘 문닫고 동료

    중앙일보

    1998.12.24 00:00

  • 휠체어 유럽횡단 연대생들 광고출연료 장애학생에

    ○…휠체어를 타고 유럽횡단에 성공했던 연세대생 박대운 (朴大雲.27.신방2) 씨와 이동건 (李東建.26.인문학부3) 씨가 광고출연료 1천만원을 장애학생들을 위해 연세대에 기부하기로

    중앙일보

    1998.11.10 00:00

  • 중앙일보 '인터넷 기자'30여국 3천명 취재진 가동

    "최근 영국 이민국에서는 한국 유학생에게 비자취득 요건으로 등록금 납부 영수증.은행잔고 증명서와 같은 여러가지 첨부서류를 요구하는 등 비자받기가 까다로워지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

    중앙일보

    1998.09.23 00:00

  • 대학가 하숙비도 껑충…작년보다 10∼30% 올라

    지방 출신인 연세대생 權모 (23.정치외교4) 씨는 하숙을 그만두고 방을 하나 얻어 자취하기로 했다. 회사원인 아버지의 월급이 크게 줄어들어 고향집에 손벌리기가 미안한데다 이달 들

    중앙일보

    1998.02.06 00:00

  • 대학가 외서 물려받기 바람…환율인상으로 부담

    연세대생 鄭모 (26.화공4) 씨는 최근 다음 학기에 수강할 고분자화학 교재를 미리 구입하러 시내 대형서점에 들렀다가 자신의 눈을 의심했다. 지난 학기까지 2만5천원에 불과했던 교

    중앙일보

    1998.01.08 00:00

  • "나라 어려운데 외제 살수 있나요" 이스트팩 가방 판매 30%이상 줄어

    연세대생 유정재 (兪廷在.20.기계전자공학부2) 씨는 최근 멜빵가방을 구입했다. 유행을 좇아 이스트팩 가방을 마련할까 생각하다 구내매점에서 학교로고가 찍힌 국산품을 산 것이다. 가

    중앙일보

    1997.12.01 00:00

  • 드럼에 도전하는 젊은 여성들

    '여자가 드럼을 친다구?' 무슨 소리냐며 펄쩍 뛰실 요량이라면 신촌이나 홍대앞으로 한번 가보시라. 구석구석에 숨어있는 록음악 연주 카페를 찾는게 어려우면 어려웠지 그속에서 여성 드

    중앙일보

    1997.11.08 00:00

  • [고시열풍]휘청거리는 대학교육(1)

    "법대등 고시학과는 5년제입니다. 군 입대를 피해 고시공부를 계속하려고 최소 1년씩은 휴학하기 때문이죠. " 서울대 93학번 金모 (23) 씨는 법대 졸업을 한학기 남긴 지난해 2

    중앙일보

    1997.11.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