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팩플] 미국서 4분 26초 '검은 태양' 우주쇼… 지구-달-태양 한 줄 나란히

    [팩플] 미국서 4분 26초 '검은 태양' 우주쇼… 지구-달-태양 한 줄 나란히

    지구와 태양 사이 달이 위치해 ‘검은 태양’이 나타나는 개기일식이 미국 현지시간으로 8일 오후, 4분 26초 동안 진행된다. 도심에서 보기 쉽지 않은데 이번엔 뉴욕 등 대도시를

    중앙일보

    2024.04.08 16:59

  • 삼일절 연휴, 직경 7m 전파망원경으로 태양 구경해볼까

    삼일절 연휴, 직경 7m 전파망원경으로 태양 구경해볼까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중 하나인 칠레의 알마(ALMA) 전파망원경. [사진 ALMA(ESO/NAOJ/NRAO)] 우주의 천체에서 나오는 전파를 수신해서 관측하는 전파 망원경으로

    중앙일보

    2021.02.26 12:00

  • [최준호의 사이언스&] 국내 최고 천문의 도량에서 우주를 깨친다

    [최준호의 사이언스&] 국내 최고 천문의 도량에서 우주를 깨친다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 지난 12일 새벽, 미인도 속 여인의 눈썹 같은 그믐달이 떴다. 경북 영천시에서 북쪽으로 30㎞를 달려 첩첩 산골의 정각(正覺)마을에 도착했다. ‘별빛

    중앙일보

    2020.11.17 00:19

  • [사이언스&] 국내 최고 천문의 도량에서 우주를 깨친다

    [사이언스&] 국내 최고 천문의 도량에서 우주를 깨친다

    전영범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이 별빛이 쏟아지는 보현산천문대 1.8 m 반사망원경 돔 앞에서 별 사진을 찍고 있다. 임현동 기자  지난 12일 새벽, 미인도 속 여인의 눈썹 같

    중앙일보

    2020.11.16 17:04

  • 가스 형태라 생명체 없어, 행성 도는 위성엔 바다 있을 수도

    가스 형태라 생명체 없어, 행성 도는 위성엔 바다 있을 수도

    케플러 1647b 행성이 두 개의 별 주위를 공전하는 모습을 그린 상상도. 밝은 두 개의 별 가운데 작은 검은 점이 1647b 행성이다. 두 별 중 하나는 우리 태양보다 조금 크

    중앙선데이

    2016.06.19 01:06

  • 전국에 천문대 70~80곳 숨은 별 찾고 중력 체험도

    전국에 천문대 70~80곳 숨은 별 찾고 중력 체험도

    별을 보기 위한 최고의 도구는 ‘눈’이다. 그러나 숨어있는 우주를 발견하고 싶다면 전문 관측시설을 갖춘 천문대를 이용해야 한다.현재 전국의 천문대 수는 70∼80개 소에 이른다.

    중앙일보

    2016.01.08 00:02

  • [과학人 과학in] GMT 완공되는 2020년, 한국 천문학 도약의 해

    [과학人 과학in] GMT 완공되는 2020년, 한국 천문학 도약의 해

    차세대 지상 광학망원경(Giant Magellan Telescope)의 조감도. [사진 한국천문연구원] 차세대 지상 광학망원경(Giant Magellan Telescope·이하

    중앙선데이

    2014.11.16 04:22

  • '조경철 천문대' 화천 광덕산에 오늘 문 열어

    '조경철 천문대' 화천 광덕산에 오늘 문 열어

    천문학자였던 고(故) 조경철 박사를 기리는 ‘조경철 천문대’(사진)가 강원도 화천군 광덕산에 세워져 10일 문을 연다.  146억원을 들여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1904㎡

    중앙일보

    2014.10.10 00:27

  • “암흑 물질 먼저 푼다” 미국·유럽 망원경 싸움

    “암흑 물질 먼저 푼다” 미국·유럽 망원경 싸움

    미국 NASA의 WFirst(위), 유럽우주기구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의 조감도. 암흑 물질·에너지의 정체가 베일에 가려져 있다지만, 짐작되는 유력 후보들은 있다.  암흑 물질 후보

    중앙일보

    2011.10.12 00:26

  • 한국도 외계생명체 탐색 작업 나선다

    우주에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별이 있고, 그 중에 지구와 같은 환경을 가진 행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곳에는 사람처럼 지능을 가진 외계 생명체가 있을 지도 모른다.

    중앙일보

    2009.06.17 16:13

  • "제 손으로 만든 카메라 렌즈가 2013년엔 지구를 찍을 겁니다"

    "제 손으로 만든 카메라 렌즈가 2013년엔 지구를 찍을 겁니다"

    아리랑 위성 등 디지털 카메라로 지상을 촬영하는 위성의 단일 부품 중 가장 큰 것이 반사거울이다. 그 크기는 위성에 따라 다르지만 지상 680㎞에서 도로의 자동차 종류를 구별할

    중앙일보

    2006.09.14 20:35

  • [사이언스 브리핑]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 外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은 대학입시 제도와 고교 교육과정 개선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우수 이공계 인력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30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공

    중앙일보

    2004.01.28 15:46

  • [2003 지구촌 과학계 10대 뉴스] '광우병 없는 소' 세계 첫 복제

    [2003 지구촌 과학계 10대 뉴스] '광우병 없는 소' 세계 첫 복제

    서울대 수의과대 황우석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광우병에 걸리지 않는 소는 올해 과학계의 대미를 장식했다. 세계인의 식탁과 축산업자들을 긴장시키고 있는 광우병을 원천적으로 차단

    중앙일보

    2003.12.17 16:23

  • 미국, 태양궤도에 천체망원경 띄워

    ''허블 천체망원경을 대체할 차세대 천체망원경 발사'' , ''지구형 행성 탐색용 우주망원경 4대 발사'' , ''차세대 별자리 X선 망원경 발사'' . 미국이 차기 10년(201

    중앙일보

    2000.07.25 09:25

  • 미국, 태양궤도에 천체망원경 띄워

    '허블 천체망원경을 대체할 차세대 천체망원경 발사' , '지구형 행성 탐색용 우주망원경 4대 발사' , '차세대 별자리 X선 망원경 발사' . 미국이 차기 10년(2010~2019

    중앙일보

    2000.07.25 00:00

  • [탐방]살아있는 과학 '대덕연구단지' 찾기

    과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을 둔 부모라면 방학기간 중에 대덕연구단지 탐방을 권할만 하다. 대덕단지에는 특히 최근 완성된 연구시설도 적지 않아 살아있는 과학과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

    중앙일보

    1999.01.04 00:00

  • 43가지 기술개발 우선지원|

    과기처는 기술이 없어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기계류·부품 및 소재관련 핵심기술 43종을 개발대상으로 고시했다. 이번 고시된 기술은 요기처 기술개발추진위원회에서 선정해 관계부처

    중앙일보

    1988.01.20 00:00

  • 우리과학위성 96년발사한다

    과기처는 ▲91년까지 과학연구용 로키트를 개발하고 ▲96년까지 과학연구용 소형위성(5백kg급)을 지구궤도에 진입시키며 ▲2001년까지 통신위성설계·운용능력을 확보한다는 우주과학기술

    중앙일보

    1987.05.20 00:00

  • (5)인력양성없이는「과학입국」어렵다

    우리나라는 지금 전환기에 처해 있다. 70년대의 경화학공업에서 반도체 및 생명공학을 이용하는 첨단산업으로의 전환점에 와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정부나 민간업체들도 과학의 필요성뿐만

    중앙일보

    1986.03.03 00:00

  • 연대, 구경60cm망원경 도입

    우리 나라 최대의 구경60cm(24인치) 반사 망원경이 국립천문대에 이어 두 번째로 연세대에 도입, 설치된다. AID차관 7만5천「달러」로 도입되는 이 망원경은 연세대 천문학과「팀

    중앙일보

    1977.10.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