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에어컨 한단계 낮추면 30%절전-절전요령

    ◇시간대별 차등요금제를 활용하라=여름철 전력수요가 몰릴 때(오전10~12시와 오후2~5시)는 반대일 경우(오후10시~오전8시)보다 전기요금이 평균 3배나 비싸다.다른 시간대는 피크

    중앙일보

    1996.05.13 00:00

  • 올 여름 전력 사정 예비율 1~3% 불과

    『올 여름을 어떻게 넘기나.』 아직 몇달이나 남았는데도 벌써부터 여름전력 사정을 걱정하는 소리가 높다. 작년은 아슬아슬하게 넘겼지만 올해는 도저히 늘어나는 수요를 대기 어려울것으로

    중앙일보

    1996.03.24 00:00

  • 전직원 동시휴가 갈수록 증가-주요공단 입주社 82%실시

    아예 공장 문을 닫고 전직원이 한꺼번에 여름휴가를 떠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직원들이 여름휴가를 번갈아 감으로써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고 요금 할인혜택이 있는 피크철에 전

    중앙일보

    1995.08.03 00:00

  • 전력 아껴쓰는 요령-에어컨.선풍기 함께쓰면 60% 절전

    전기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까. 소득이 늘고 경제 규모가 커진 지금에 와서도 전처럼 공공기관등은 에어컨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등의 원시적(原始的)인 수단을 동원하는

    중앙일보

    1995.07.13 00:00

  • 전기料 인상

    5월1일부터 달라지는 전기요금체계의 주요 내용을 일문일답으로알아본다. ▲한달에 2백50Kwh의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이다.5월부터 내야 할 전기요금이 어떻게 바뀌나. -대부분 가정의

    중앙일보

    1995.04.26 00:00

  • 전기料 평균4.2% 인상-누진제 확대

    다음달부터 전기를 한달에 4백Kwh이상 사용하는 가정의 전기요금 부담이 크게 늘어난다.그러나 한달 사용량이 4백Kwh를 넘지 않는 대부분(전체가구의 97.6%) 가정의 전기요금 부

    중앙일보

    1995.04.26 00:00

  • 전기료 체계조정,평균 4.5%인상

    빠르면 오는 5월부터 전기료가 평균 4.5% 안팎 오르고 요금 부과 방식도 크게 달라진다. 가정의 경우 전기를 많이 쓸수록 단가가 비싸지는 누진제(累進制)가 확대 적용되고,산업체나

    중앙일보

    1995.03.14 00:00

  • 고리原電 1호기 수명연장-通産部,전력難 완화등 위해

    전력난(電力難)을 해소하고 발전소 입지를 쉽게 확보하기 위해원전(原電)의 수명이 연장되고 발전소 주변지역의 전기요금이 타지역에 비해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통상산업부는 국회에 제출

    중앙일보

    1995.02.24 00:00

  • 新春 中央文藝 단편소설 당선작-거미여행 장경식

    통보해주기로 했던 중앙선 담당 운행통제관인 운전사령에게서는 아직 아무런 연락이 없었다.나는 일부기를 만지작거리면서 승차권 함 앞의 창구 유리창으로 대합실을 내다보았다.누렇게 바래고

    중앙일보

    1995.01.01 00:00

  • 발전설비 2백93KW 증설-울산.보령등에 9基추가

    늘어만 가는 전력수요를 맞추기 위해 95~98년 건설예정인 29基의 발전소(1천2백12만㎾)외에 울산.보령.서천등에 모두9基(2백93만㎾)의 발전소설비가 추가로 세워진다. 또 내년

    중앙일보

    1994.11.29 00:00

  • 밤에도 전력사정 불안-잠들기 前에 過負荷 몸살

    한낮에 전력 공급이 달리고 나면 밤에는 전력사정이 한 숨 돌릴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일반 가정에서는 오히려 잠들기 직전한밤중이 하루중 가장 정전사고 위험이 높은 때다. 과부하 때

    중앙일보

    1994.07.19 00:00

  • 전력공급 비상 왜 걸렸나

    올 여름은 괜찮다며 우물대는 사이에 자칫 제한송전 상황이 벌어질 정도로 전력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전국의 가정과 사무실에서 실내온도를 1도 낮추려면 39만㎾의전력이 필요한데,무더위

    중앙일보

    1994.07.14 00:00

  • 바닥보이는 전력예비율 절전 동참 아쉽다

    지금 혹시 혼자 집안에서 에어컨을 세게 틀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한번쯤 올 여름 전력사정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8일 오후순간 최대 전력사용량이 올들어 열번째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앙일보

    1994.07.09 00:00

  • 국내실태와 문제점(원전정책 달라져야 한다:상)

    ◎축소조정은 값싼 전력공급에 차질/안전·필요성 적극알려 입지늘려야 정부가 지난 91년에 짠 장기전력 수급계획을 당초보다 축소 조정한 것은 투자비 부담과 발전소 부지 확보난 때문으로

    중앙일보

    1993.09.18 00:00

  • 한국전력 한국통신/투자재원 마련 “비상”/영업부진·실명제실시 여파

    ◎자금난 창사이래 “최악” 한국전력과 한국통신이 금융실명제 실시의 여파와 영업부진으로 창사이래 최악의 자금난에 빠져 올해 투자재원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그동안 「앉아서 장사」해온

    중앙일보

    1993.08.30 00:00

  • 에너지산업/신규참여 쉬워진다/정유사업·석유수출입제한 완화

    ◎발전·LNG 민간에 개방/97년까지/내년부터 유가연동제 도입/신경제 「에너지·자원개발안」 마련 정부는 신경제 5개년 계획 기간중 정유사업의 신규참여를 점진적으로 허용하는 등 각종

    중앙일보

    1993.06.11 00:00

  • 「피크타임」 전력료 대폭 인상/공장·빌딩 등 7월부터

    ◎낮시간 요금 심야의 3배로 올여름 전기를 많이 쓰는 공장이나 빌딩은 지난해보다 훨씬 비싼 전기요금을 물어야 한다. 9일 동력자원부는 여름철 전력 수요증가를 10%이내(최대수요 기

    중앙일보

    1993.01.09 00:00

  • 급속한 인구집중… 시설용량 안늘려/물 부족사태 왜 빨리왔나

    ◎수도요금 낮고 사용량은 꾸준히 늘어 결국 먹는 물 부족사태까지 오고야 말았다. 이는 단적으로 수도물을 만들어내는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미리 수요를 예측,시설용량을 늘

    중앙일보

    1992.07.28 00:00

  • “절전안되면 올여름 제한전송”/비상걸린한전 안병화사장(일요인터뷰)

    ◎전력소비 증가율 세계유례 없어/화전 2곳 내년 완공돼 호전기대 올 여름도 전기사정이 심상치 않다. 예년보다 한달가량 빨리 찾아온 무더위 때문에 「전력수급 비상사태」도 작년보다 한

    중앙일보

    1992.06.07 00:00

  • 전력사정 내년 더 “빠듯”/수요 13.7%증가 예비율 2.5%뿐

    전력사정이 내년에는 올해보다 훨씬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전력수급조절과 소비절약 캠페인 등으로 위기를 넘긴 올해의 경우 전력공급평균 예비율은 그래도 5.4%에 이르렀으나 내년에는

    중앙일보

    1991.12.11 00:00

  • 업무용 도시가스요금/여름철 한해 15% 인하

    정부는 여름철 전력난의 원인이 되고있는 냉방용 전기수요를 가스로 전환하기위해 6∼8월에 한해 수도권지역 빌딩에 들어가는 업무용 도시가스요금을 15% 인하좌기로 했다. 또 공장등 산

    중앙일보

    1991.07.24 00:00

  • 불안한 전력수급 부유층 각성 절실

    금년 여름은 많은 땀을 흘려야 할 것 같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전력수급이 불안한데다 올 여름은 어느 해 보다도 유난히 무더울 것 같다는 기상예보니 말이다. 전력수급이 불안정하다는

    중앙일보

    1991.07.09 00:00

  • 한치 앞도 못보는 수급조절(전력비상:하)

    ◎남아 돈다며 많이 쓰라더니/5년도 안돼 수요늘자 법석/설비확충 이전엔 절약만이 최선책 전력사정이 이 지경까지 온데 대해 가장 큰 책임은 정부가 져야 한다. 최근의 전력공급 부족사

    중앙일보

    1991.07.08 00:00

  • 에어컨 보름에 한번은 꼭 청소/가전제품 이렇게 써야 절전

    ◎선풍기 약풍은 강풍에 비해 30% 절약/냉장고 음식물 60%정도 채워야 제기능 유지 올여름 전력사정이 극히 위태롭다. 자칫하다가는 제한송전과 같은 최악의 사태가 우려된다. 지난

    중앙일보

    1991.07.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