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편의점 업계, 즉석 먹을거리 판매강화

    서울강남구역삼동 LG25 편의점. 문을 들어서자마자 마주치는 계산대 위엔 노릿노릿 구워진 통닭 바비큐가 고객들을 유혹한다. 4인용 식탁이 놓여있고 옆 매대엔 김밥과 삶은 계란, 샌

    중앙일보

    1998.04.27 00:00

  • [토막소식]한국이벤트개발원,나라세우기본부 창설 外

    *** 나라세우기본부 창설 ◇ 한국이벤트개발원은 21세기 한국의 민족의식을 되찾는다는 취지아래 '나라세우기 운동본부' 를 창설키로 했다. 이 본부는 앞으로 한국인 손도장찍기운동.세

    중앙일보

    1997.10.10 00:00

  • 신선한 제품 고르려 진열대 흩뜨리기 일쑤 유통업체 속앓이

    집 근처 백화점 식품매장을 찾은 주부 한영애(49.서울동교동)씨는 앞서 가던 한 손님이 우유냉장고 안으로 손을 쑥 밀어넣어 뒤쪽에 놓인 우유를 꺼내 담는 모습을 보았다. “아니 저

    중앙일보

    1997.01.24 00:00

  • 냉동.냉장식품 부실유통 실태

    지난달 27일 오전11시 서울노원구 K백화점 지하 식품매장. 꽁꽁 우동.피자 등 영하 18도 이하에서 보관해야 하는 냉동식품들이 가득 들어있는 한 냉동고 위틀에서는 물이 줄줄 흐르

    중앙일보

    1996.07.01 00:00

  • 無許 식품업체 무더기 적발-서울시,266곳중 80곳 단속

    영등포.청량리시장등 재래시장에서 무허가 식품을 제조,판매해온업체와 냉동.냉장식품을 상온에서 판매해온 수입전문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는 16일 소비자보호단체와 합동으로 설날

    중앙일보

    1996.02.17 00:00

  • 두부.어묵 불량제조 48개사 적발

    서울시는 18일 두부.어묵등을 제조하는 업체 117곳에 대한위생단속을 벌여 유통기간을 허위로 표시한 영림식품등 48개 업소를 적발해 품목제조정지등의 행정처분을 내렸다. 지난 14~

    중앙일보

    1995.11.19 00:00

  • 대형백화점.편의점 유통기한 지난 상품판매-충청북도

    [淸州=朱宰勳기자]대형백화점과 편의점들이 유통기한이 경과됐거나 표시기준을 위반한상품을 판매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충북도와 청주YWCA.한국부인회등 4개 민간단체 회원들로 구성된 국

    중앙일보

    1994.08.04 00:00

  • 신선도 떨어지는 어묵 要주의-소보원 품질.안전성 시험

    국내 대다수의 튀김어묵제조업체 제품에서 酸價가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돼 제품의 신선도가 크게 뒤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제조업체명이 표기돼 있지 않은 제품 중에는 澱粉을 규격기

    중앙일보

    1994.02.02 00:00

  • 인천 유명백화점 불량식품 많다.

    인천시내 유명백화점 및 재래시장에서 판매되고있는 베이컨·빵·소시지·어묵등 포장식품의 일부가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유통기한이 표시되지 않은 채 팔리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일 한

    중앙일보

    1993.03.20 00:00

  • 식품행정 믿을 수 없다/보사부 알고도 쉬쉬… 소비자 불안

    ◎맹독농약 든 호주산 밀 시판/통조림 등 유통기한 늘려줘 정부의 식품행정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다. 고독성 농약성분이 들어있는 외국산 밀이 시중에 대량 유통됐는데도 보사부가 이를 감

    중앙일보

    1992.10.20 00:00

  • 제조일·허기번호 꼭 확인|위조품은 도안 다르고 인쇄 희미

    부정·불량식품이 뿌리뽑히지 않고 있어 여름철을 맞아 식중독 등 우려가 높다. 보사부는 하절기식품위생관리대책으로「부정·불량식품고발센터」를 본격가동하고 9월15일까지 특별단속에 들어갔

    중앙일보

    1992.07.14 00:00

  • 「비위생」 식품 냉면육수가 1위/보사부 식품 조사

    우리 국민들이 즐겨 먹는 식품가운데 냉면육수가 가장 비위생적이며 도시락·꿀·식용얼음·식용유·튀김·어묵 순으로 불량식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보사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들

    중앙일보

    1992.02.13 00:00

  • 카레제조 「SB식품」/삼호물산서 인수

    수산식품회사인 삼호물산이 카레·향신료제조전문업체인 한국SB식품을 인수 조미식품시장에 진출했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원양어업 및 어묵·맛살 등 내수식품업체인 삼호물산은 종합식품업

    중앙일보

    1992.02.08 00:00

  • 특급호텔 식당 “위생 0점”/시효지난 식품 고객에 팔아

    ◎보사부,16곳 적발 보사부는 3일 서울시내 특급호텔 25개 전부를 대상으로 지난달 12일부터 4일간 위생검사를 실시,워커힐·하얏트·리베라·서울가든·스위스그랜드 등 16개 호텔의

    중앙일보

    1991.07.04 00:00

  • 고속도 휴게소 불량식품 많아

    고속도로 휴게소들이 제조일자가 표시되지 않은 식품을 팔거나 다른 업소에서 제조한 도시락을 자기들 제품인 것처럼 속여 판매하는 등 식품에 대한 위생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는 사

    중앙일보

    1991.04.25 00:00

  • 유통 기한 지난 가공식품 많다

    어린이들이 즐겨 먹는 햄·소시지·어묵·맛살 등 가공식품들이 유통기한이 훨씬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버젓이 팔리고 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원주시지부가 지난달 12일 원

    중앙일보

    1991.03.08 00:00

  • (중)|맘놓고 먹을게 없다

    마음놓고 먹을 식품이 없다. 공업용 우지를 원료로 한 기름을 써서 만드는 제품은 삼양라면·마가린뿐만 아니라 제과점의 각종 케이크, 비스킷 등 과자류와 중국 음식, 각종 어묵 제품

    중앙일보

    1989.11.07 00:00

  • (상)|나만 안 먹으면 그만인가

    우리 나라는 부정·불량 식품의 왕국인가. 공업용 우지라면 사건을 계기로 식품 제조 업체의 부도덕한 상혼에 시민들의 분노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 전반에 대해서까지

    중앙일보

    1989.11.06 00:00

  • 도라지·더덕등 표백제사용 여전|시 검사결과 일부 어묵선 세균 과다검출

    소석회 두부·유독성 표백제로 때깔을 낸 도라지·더덕, 세균이 득실거리는 어묵등 불량식품이 여전히 시중에 대량 판매되고 있는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가 올들어 17일까지 시중에서 수거

    중앙일보

    1989.08.18 00:00

  • 지방에 실▲미달 「포장식품」 많아

    지방도시에서 판매되고있는 포장식품은 서울과비교할때 실단부족률이 3배이상 높다. 부족량도 지방제품이 높다. 한국 소비자연맹 목포지부가 지난 10월28∼29일 목포 중앙시강·동부시장·

    중앙일보

    1988.11.03 00:00

  • 한·미 감정 미묘해지자 경제부처 조바심

    급기야 미국무성이 주한미대사관에 분위기를 진정시키라는 훈령을 보내는 등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한미관계가 점점 미묘해지자 통상문제와 관련이 있는 각 경제부처는 너나 할 것 없이 한미간

    중앙일보

    1988.09.29 00:00

  • 식품 유효기간 표시 믿을만한가

    여름철에 주의해야할 것 중 하나가 식품 안전문제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쉽게 상하거나 부패할 위험이 높을 뿐아니라 이상이 있을 경우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직접적인 해를 주게 되

    중앙일보

    1988.07.05 00:00

  • 시중 튀김어묵서 대장균

    서울 시중에서 판매되고있는 튀김어묵에서 대장균이검출되었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에서는 서울시내시강에서 제조·판매되는튀김어묵 총11개 체품을 대상으로 작년11월부터 지난

    중앙일보

    1987.02.17 00:00

  • 햄버거와 중금속

    시판되고 있는 햄버거에서 중금속 성분이 검출됐다는 소식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특히 햄버거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간식용으로 널리 애용되는 식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반향을 일으키

    중앙일보

    1986.12.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