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69)생강

    강한 방향성의 풍미를 지니고 있는 생강(새앙)은 마늘에 비견할만한 향신료다. 생강과의 다년초로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 지방. 현재는 세계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재배지역의 기후와

    중앙일보

    1972.07.26 00:00

  • (68)|가지

    여름철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지는 가지과의 1년생 과채류로 「알칼리」성 식품이다. 원산지는 인도. 중국을 통해 우리 나라에 전해졌다. 온난한 기후에서 재배되며 우리 나라에서는

    중앙일보

    1972.07.22 00:00

  • (65)|여름철 식탁의「포인트」|무더위를 이기는 주부들의 지혜

    날씨가 무더워지면 우리의 몸은 생리적으로 균형과 조화가 깨지기 마련이다. 각 장기의 세포도 더위에 지치기 때문이다. 입맛이 떨어지고 기력이 없으며 만사가 귀찮기 만한 증상들은 여름

    중앙일보

    1972.07.12 00:00

  • (64) 수박

    무더운 여름밤 온 가족이 평상에 올라앉아 모기불 날리며 수박을 먹는 모습은 우리 나라 농촌의 특유한 멋이다. 성하의 계절에 무더위를 잊게 하는 과일은 여러 가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중앙일보

    1972.07.08 00:00

  • (58)과학적 분석에 의한 건강「가이드」|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이 우리에게 소개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짧은 기간에 이처럼 일반에게 널리 보급, 애용되는 식품도 드물다. 최근 종류가 많아지고 품질이 좋아지면서 수요가 경이적으로 늘

    중앙일보

    1972.06.14 00:00

  • <식품과 영양 과학적 분석에 의한 건강「가이드」(53)도마도

    「도마도」가 우리 미각을 돋우고 영양을 돕는 철이 다가왔다. 가지과에 속하는 1년 생 초목의 열매인 「도마도」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과수류이다. 피부미용과 고혈압에 특효

    중앙일보

    1972.05.10 00:00

  • (52)우엉·연 뿌리

    우엉과 연 뿌리는 둘 다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알칼리성 식품이다. 우엉은 국화과에 속하는 근채류. 유럽이 원산지로 중국을 경유해 우리 나라에 전해진 듯하다. 봄과 가을에 파종하나 첫

    중앙일보

    1972.05.06 00:00

  • (48)고추

    고추는 가지과에 속하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원산지는 열대지방인 남「아메리카」. 약 5백년 전에 「스페인」의 「멕시코」 원정대가 「유럽」에 가지고 온 이후 세계 각지로 전해졌다는

    중앙일보

    1972.04.19 00:00

  • (45)사과

    과일 중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총애를 받는 사과는 장미 과의 낙엽고목의 열매로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로 알려지고 있다. 사과나무의 잎은 길고 달걀모양을 하고 있는데 그 이면

    중앙일보

    1972.04.05 00:00

  • (40)매실

    이른봄 눈 속에서도 홀로 향기를 자랑하는 매화는 동양 특유의 멋을 지닌 과일로 유명하다. 원산지가 중국이나 일본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동속의 살구와 자두는 세계적으로

    중앙일보

    1972.03.17 00:00

  • (36) 쑥

    봄이 되면 들·냇가·논두렁 등 도처에서 독특한 향기를 풍기는 쑥은 봄과 고향과 어린 시절을 상기시키는 우리 나라 고유의 나물이다. 봄철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쑥은 국화과에 속하

    중앙일보

    1972.03.04 00:00

  • (34)배

    원산지가 중국으로 알려진 배는 장미 과 에 속하는 과수의 열매로 알칼리성 식품이다. 배는 약간 감미롭고 시원한 맛으로 널리 애호 받는 과일이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구미 각지에서도

    중앙일보

    1972.02.24 00:00

  • (31)-고구마

    고구마는 모든 식물 중 칼로리가 가장 높고 전분의 함량이 제일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메과의 식물로 뿌리가 식용으로 이용되는 고구마는 원산지가 중앙 아메리카인데 15세기말께 콜롬

    중앙일보

    1972.02.10 00:00

  • (28)팥

    팥은 동양이 원산지로 단백질이 풍부한「알칼리」성 식품이다. 오곡의 하나로 예부터 우리 나라를 비롯, 중국·일본 등지에서 재배되어온 팥은 콩 다음으로 중요한 단백질 원이다. 일반 소

    중앙일보

    1972.01.29 00:00

  • (25)시금치

    겨울은 시금치 맛이 제철이다. 겨울철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시금치는 식용 야채 중 제일의 영양가를 자랑하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서부 「아시아」가 원산지인 시금치는 일반적으로

    중앙일보

    1972.01.22 00:00

  • (24)-밀감

    「오렌지」·「네이블」·귤 등은 감귤류에 속하는 과일로 비타민 C가 풍부하게 들어있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적도를 중심으로 해서 남북 45도 이내의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한 밀감의 원산

    중앙일보

    1972.01.15 00:00

  • (21)차

    차는 커피와 마찬가지로 주성분이 카페인이지만 동맥경화증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커피와는 달리 의약효과가 널리 인정된 알칼리성 식품이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차는 현재

    중앙일보

    1971.12.27 00:00

  • 비타민C 많은 알칼리성|영양은 껍질 부분에

    동양적인 정서를 둠뿍안은 감은 감과에 속하는 낙섭고목의 과실로 동양이 원산이다. 품종이 1천종에 달하는 감은 포도당·과당등의 탄수화물과 「비타민」C가 풍부하게 들어 있는 「알칼리」

    중앙일보

    1971.12.20 00:00

  • (19)|우유

    우유는 영양가가 높은 우수 식품이다. 우유가 언제부터 인간의 식품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으나 아마도 목축시대 이후가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앙일보

    1971.12.16 00:00

  • 감자

    감자는 가난한 사람들이 주식으로 먹기도 하지만 육식을 주로 하는 구미에서는 거의 한끼도 거르지 않고 식비에 오르는 식품이어서 어떤 의미든 부식이라기보다 주식의 역할을 할 정도다.

    중앙일보

    1971.11.29 00:00

  • 식성은 성격을 말한다|식품 심리학 상으로 본 유형

    사람들의 성격이 어떤가 알아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서 사람이 즐겨 먹고 가리는 음식을 통해서도 사람들의 성격을 가려낼 수 있다는 설이 있다. 즉「푸드·사이콜러지」

    중앙일보

    1971.11.27 00:00

  • 과학적 분석에 의한 건강가이드(7)|김

    늦가을부터 시작하여 이듬해 봄철 사이까지 번식하는 김은 영양소가 많고 특히 전분을 많이 먹는 한국사람에게는 좋은 영양보충제가 될 수 있어 한국사람의 식성에 맞는 식품이 되고있다.

    중앙일보

    1971.10.28 00:00

  • (1)산성과 「알카리」성

    식욕과 매각을 돋우는 가을. 그러나 소화가 잘 되고 입맛이 난다해서 닥치는 대로 먹을 수는 없다. 부정식품이 범람하는 세상이니까 질이 좋은 것을 가려 먹어야하고 영양을 따져서 편식

    중앙일보

    1971.10.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