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바이든, 대만 대선 후 美 사절단 파견"…中 즉각 반발

    "바이든, 대만 대선 후 美 사절단 파견"…中 즉각 반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3일 치르는 대만 총통 선거 직후 미국 전직 최고위 관료로 구성된 고위급 사절단을 대만에 보내기로 했다. 이에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10일(

    중앙일보

    2024.01.11 12:08

  • 미 한반도 정책 ‘3각축’ 완성 … 동아태 차관보 대화파 손턴

    미 한반도 정책 ‘3각축’ 완성 … 동아태 차관보 대화파 손턴

    캐나다를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왼쪽)이 19일(현지시간) 크리스티나 프릴랜드 캐나다 외무장관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의 한반도 정책

    중앙일보

    2017.12.21 01:07

  • 찍혔던 손턴 동아태차관보로···美 한반도 핵심 3인방은

    찍혔던 손턴 동아태차관보로···美 한반도 핵심 3인방은

     ━  드디어 진용갖춘 미국 정부 '한반도 핵심 3인방' 면면은?    미국의 한반도 정책 '핵심 3인방' 진용이 드디어 마무리됐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과 악수를 나누

    중앙일보

    2017.12.20 14:54

  • “김정일 여우처럼 교활…북핵 현실적 해법은 북 정권 변화시키는 것”

    “김정일 여우처럼 교활…북핵 현실적 해법은 북 정권 변화시키는 것”

    아미티지 중앙일보와 미국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공동 주최하는 제1회 한·미 전략미래 포럼이 오늘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열린다. CSIS 측 인사로 방한한 리처

    중앙일보

    2011.04.29 01:25

  • 한국계 렉슨 류 NSC 국장 임명 … 이란·시리아 핵 확산 저지 담당

    미국의 한국계 대량살상무기(WMD) 비확산 전문가인 렉슨 류(36)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장으로 임명됐다. 외교전문지 포린 폴리시는 17일 “류가 이번 달부터 NSC

    중앙일보

    2009.03.19 02:30

  • “럼즈펠드는 행정부서 만난 가장 무례한 사람”

    “럼즈펠드는 행정부서 만난 가장 무례한 사람”

      럼즈펠드 前 국방장관부시 1기 행정부에서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백악관과 일하는 방식은 네 가지였다. 사소한 일은 콘돌리자 라이스 당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에게

    중앙선데이

    2007.04.29 23:41

  • 럼즈펠드 후임은?

    미군 장성들이 최근 '럼스펠드 퇴진론'을 외치고 있는 가운데 워싱턴에서는 럼스펠드 후임자가 거론되고 있다. 워싱턴의 외교 전문 잡지인 포린 폴리시(FP)는 워싱턴의 내부 소식통을

    중앙일보

    2006.04.17 17:05

  • [길정우가 만난 사람] 크리스토퍼 힐 주한 美 대사

    美 국무부 동아시아ㆍ태평양 차관보 내정자 ■ “북한의 6자회담 계속 블응에 거듭 연기할 수 없는 일” ■ “주한미군 쓰나미 복구지원 투입 놓고 한국정부와 조율” ■ “북한에만 인권

    중앙일보

    2005.01.17 09:55

  • 부시 대통령의 재선과 북한의 선택

    부시 집권 2기의 외교노선 온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2004년 미국대선은 부시 대통령의 승리로 끝이 나고, 향후 4년간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는 부시 2기 행정부의 정책 방향과

    중앙일보

    2004.12.24 15:28

  • 부시 2기 '네오콘 천하' 되나

    부시 2기 '네오콘 천하' 되나

    미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제2기 내각에 강경파들이 대거 득세할 조짐이다. 워싱턴 포스트는 16일 "부시 행정부 안에서 온건파였던 콜린 파월 국무장관의 퇴장은 강경파인 딕 체니 부

    중앙일보

    2004.11.16 18:51

  • [부시 새로운 2년] '외교정책 어디로' 긴급좌담

    [부시 새로운 2년] '외교정책 어디로' 긴급좌담

    ▶ 사회=김영희 미국의 조지 W 부시 2기 행정부는 어디로 갈 것인가. 일방주의적 외교정책은 강해지는가, 약해지는가. 대선을 거치면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북한 핵문제에는 어떻게

    중앙일보

    2004.11.04 18:44

  • 美국무부 새 정책실장에 北核 전문가 라이스

    북한 핵문제 및 군축분야 전문가인 윌리엄 앤 메리대학의 미첼 라이스(법행정학.사진)교수가 21일 국무부의 신임 정책기획실장(국장급)에 임명됐다. 전임자인 중동문제 전문가 리처드 하

    중앙일보

    2003.07.22 18:04

  • [미국 MD사절 2명은…]

    리처드 아미티지 미 국무부 부장관은 로널드 레이건 및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의 공화당 정부에서 국무부.국방부의 요직을 거친 후 지난 대선에서 부시 진영의 외교안보정책을 다듬는 데 주

    중앙일보

    2001.05.10 00:00

  • [정운영 칼럼] 미국의 '경제 NMD'

    로버트 졸릭, 하버드대 법대를 차석으로 졸업하고 아버지 부시 정권에서 국무차관을 역임한 그는 아들 부시 정부에서 무역대표부(USTR) 대표로 임명됐다. 대표의 인품과는 무관하게 대

    중앙일보

    2001.02.23 00:00

  • 한국·미국 대북정책에 시각차

    한.미간에 대북정책을 둘러싸고 미묘한 시각차가 드러나고 있다. 한화갑(韓和甲)민주당 최고위원은 29일 "리처드 아미티지 미 국무부 부장관 내정자가 최근 '한국 정부가 햇볕정책(su

    중앙일보

    2001.01.30 00:00

  • 미국, 중국과 TMD 신경전속 친대만인사 대거 포진

    미국에 조지 W 부시 공화당 정권이 탄생하면서 중국과 대만의 관계에도 미묘한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친(親)대만 성향을 보여온 공화당이 8년 만에 집권함에 따라

    중앙일보

    2001.01.27 00:00

  • [김영희 대기자의 투데이] 美의 대북정책 후퇴하는가

    부시 대통령 취임식 전날 워싱턴의 공화당계 한반도문제 전문가를 찾아갔더니 지난 이틀 사이 6명의 한국 정치인들이 자신을 만나러 왔었다고 전했다. 또 다른 한국 전문가는 전날 점심과

    중앙일보

    2001.01.23 00:00

  • [21세기 세계 파워게임] 미국 신보수

    조지 W 부시 미 차기 행정부의 국방.외교정책이 강성 일변도로 흐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딕 체니 부통령을 필두로 특히 국방장관과 부장관 인사를 통해 그런 구도가 등장했다. 그러나

    중앙일보

    2001.01.14 00:00

  • 미국 신보수-러·중 신연대 파워게임

    조지 W 부시 미 차기 행정부의 국방.외교정책이 강성 일변도로 흐를 조짐을 보이고 있다.딕 체니 부통령을 필두로 특히 국방장관과 부장관 인사를 통해 그런 구도가 등장했다. 그러나

    중앙일보

    2001.01.13 19:43

  • 부시, 국방장관 지명놓고 고심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국방장관을 임명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워싱턴 정가의 화제다. 국방문제는 선거 때 부시 캠프의 핵심 전략이었다. 그런 맥락에서라면 부시 당선자는

    중앙일보

    2000.12.29 00:00

  • [시론] 워싱턴이 변하고 있다

    크리스마스 캐럴이 울려 퍼지는 워싱턴 정가는 합참의장 헨리 쉘턴의 발언으로 술렁이고 있다.쉘턴은 내셔널 프레스 클럽 연설에서 중국이 곧 구소련과 같은 슈퍼 파워가 될 것이며,자본주

    중앙일보

    2000.12.26 00:00

  • 미 국방장관 인선 지연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 당선자의 내각 인선작업이 예상보다 순조롭지 않다. 부시 당선자는 21일(현지시간)까지 열네 자리인 각료 가운데 네 명만을 임명했다. 당면한 가장 큰 갈등은

    중앙일보

    2000.12.23 00:00

  • [부시의 대외정책] 분쟁개입 '좁게 그러나 깊게'

    "붉은 쪽과 파란 쪽이 제3세계를 놓고 다투던 옛날의 세계지도는 사라졌다. 새 지도는 여러개의 다른 조각과 다양한 색깔의 모자이크다. " 조지 W 부시 정권의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중앙일보

    2000.12.19 00:00

  • [부시정부 한반도 정책 전문가 좌담회]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결로 조지 W.부시가 미국의 제43대 대통령으로 사실상 확정됐다.중앙일보는 14일 전문가들로부터 새로 출범할 부시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을 전망하는 특별좌담을

    중앙일보

    2000.12.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