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희망의 인문학 - 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6) 미술사학자 유홍준

    [희망의 인문학 - 정재승이 만난 사람들] (6) 미술사학자 유홍준

    서울 종로 YMCA 인근 카페 민들레영토에서 만난 유홍준 명지대 교수(왼쪽)와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유 교수에게 우리 땅과 문화재는 세상을 바라보는 창문과 같다. 베스트셀러 작

    중앙일보

    2011.08.08 03:00

  • 왕이 전폭 지원 ...도자기는 고려.조선의 최대 벤처산업

    왕이 전폭 지원 ...도자기는 고려.조선의 최대 벤처산업

    1,우리 옛 도자기의 아름다움(2007)2,아름다운 우리 찻그릇(2011) 세계 정상의 화랑 혼치 오브 베니슨(런던)에서 최근 개인전을 연 작가 신미경은 비누로 전통 도자기를 재

    중앙선데이

    2011.06.04 01:38

  • 서경배 사장, 다산다인상 받아

    서경배 사장, 다산다인상 받아

    7일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유적지 실학박물관에서 열린 제 2회 다산다인상 시상식에서 수상자인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사장을 대리해 김찬회 전무(왼쪽)가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과 기념

    중앙일보

    2011.04.08 00:08

  • “정주영의 미덕은 용기와 모험, 직관과 돌파력”

    “정주영의 미덕은 용기와 모험, 직관과 돌파력”

    3월 21일 아산(峨山)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10주기를 앞두고 중앙일보와 현대경제연구원은 18일 서울 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아산이 21세기에 남긴 유산’이라는 주제로

    중앙일보

    2011.03.19 00:27

  • 강변길·호숫길·숲길 … 다산을 만나니 역사가 정겹구나

    강변길·호숫길·숲길 … 다산을 만나니 역사가 정겹구나

    팔당호변은 옛 소내나루터에 정박한 황포돛배를 벗 삼아 평탄한 흙길이 이어진다. 도심역∼어룡마을∼연대농장∼팔당역∼마재마을(다산유적지)을 잇는 14.5㎞ 구간의 다산길은 다산 정약용

    중앙일보

    2010.11.29 14:27

  • [남양주 트레일 코스] “한번 걸으면 누구나 매료 … 추억의 걷기 명소 될 것”

    [남양주 트레일 코스] “한번 걸으면 누구나 매료 … 추억의 걷기 명소 될 것”

    사릉 인근 천마산 줄기에 오르면 아파트가 숲을 이룬 깨끗한 신도시 형태의 호평·평내동 일대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남양주시 제공] “천혜의 자연경관을 갖춘 남양주시를 전국적

    중앙일보

    2010.11.29 00:27

  • [중앙시평] 한강을 살리자

    [중앙시평] 한강을 살리자

    “한강 위에서 보냈던 다섯 주일 동안, 매일매일 생활은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단조로움은 전혀 없었다. 새로운 나라의 낯선 사람들이었지만 우리들은 자유롭게, 지나칠 정도로 자유롭게

    중앙일보

    2010.10.20 00:20

  • 한강, 상·하류 탐사길에서 만나는 역사·생태

    한강과 더불어 사는 사람들이 강을 하나로 통합하는 문화를 지향하며 마련한 2010 한강살가지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한강살가지문화제는 사단법인 북한강생명포럼, 서울의 중랑천 사람들

    중앙일보

    2010.10.19 00:35

  •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성균관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성균관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이 인기입니다. 여장 남자인 김윤희가 ‘김윤식’이란 이름으로 성균관에 입학한 뒤 겪는 사건을 다뤘습니다. 원작 소설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역시 베스트셀

    중앙일보

    2010.10.15 05:01

  • 한강엔 재즈 선율 … 고궁선 전통놀이

    한강엔 재즈 선율 … 고궁선 전통놀이

    추석 연휴를 맞아 문화 공연과 민속놀이 체험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수도권 곳곳에서 펼쳐진다. 선선한 가을바람을 맞으며 흥겨운 추석을 보내기에는 한강공원이 제격이다. 서울 여의

    중앙일보

    2010.09.17 00:22

  • 지금 강진에 가면 온통 청자 빛

    지금 강진에 가면 온통 청자 빛

    윤석남 작, 황보복례 디자인, ‘조각배’, 고려자기. [청자 아트 프로젝트 조직위원회 제공] 옛 청자의 고장으로 이름난 전남 강진이 올 여름, 오늘을 아우른 청자 고을로 거듭났다.

    중앙일보

    2010.08.09 00:28

  • [조우석 칼럼] ‘남양주의 아들’ 다산 정약용

    [조우석 칼럼] ‘남양주의 아들’ 다산 정약용

    왕년의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쓴 유홍준은 남도 답사 1번지로 전라도 강진 땅을 꼽았다. 그곳이 시인 김영랑의 고향이자, 조선 후기의 지적(知的) 거인 다산 정약용의

    중앙일보

    2010.07.02 00:38

  • 천안 ‘거꾸로 가는 엄마 모임’

    천안 ‘거꾸로 가는 엄마 모임’

    15년 전 그림책을 통해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들을 이해하자고 만든 ‘거꾸로 가는 엄마 모임’ 회원들. 이제는 동·서양사와 미술까지 토론하며 만물박사가 됐다. 아래 사진은 화가 다비

    중앙일보

    2010.04.13 03:50

  • 종교와 과학의 인간화 이뤄져야 이상 사회 열려

    종교와 과학의 인간화 이뤄져야 이상 사회 열려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류승국 박사는 “봉건시대에도 언로(言路)가 강조됐으며 국가의 흥망이 언로가 막혔느냐 열려 있느냐에 달렸다”고 강조한다. 신동연 기자 개방은

    중앙선데이

    2010.03.29 13:07

  • 종교와 과학의 인간화 이뤄져야 이상 사회 열려

    종교와 과학의 인간화 이뤄져야 이상 사회 열려

    류승국 박사는 “봉건시대에도 언로(言路)가 강조됐으며 국가의 흥망이 언로가 막혔느냐 열려 있느냐에 달렸다”고 강조한다. 신동연 기자 관련기사 갑골학 공부할 땐 침구도 제대로 펴지

    중앙선데이

    2010.03.28 00:51

  • 연암의 친필 ‘칠사고’ 발견

    조선 후기 실학자 연암 박지원(1737∼1805)이 친필로 쓴 목민서 ‘칠사고’가 발견됐다. 단국대 연암문고 소장 자료 가운데서 이를 찾아낸 김문식 단국대 사학과 교수는 “재야인사

    중앙일보

    2010.02.02 02:27

  • 한형조 교수의 교과서 밖 조선 유학 : 實學, 안팎의 도전에 흔들리는 성채

    한형조 교수의 교과서 밖 조선 유학 : 實學, 안팎의 도전에 흔들리는 성채

    지난주 동아시아 실학을 두고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 벌써 10회째라고 한다. 다산의 생가 앞 남한강 가에 실학박물관을 개관한 후라 의미는 더했고 열기는 뜨거웠다. 이틀간의 대회를

    중앙선데이

    2009.11.07 15:10

  • 남양주 ‘실학박물관’ 오늘 개관

    조선 후기 실학(實學)사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실학박물관이 23일 문을 연다. 경기문화재단이 설립·운영하는 박물관은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다산 정약용 선생 유적지 인근 부지 4

    중앙일보

    2009.10.23 01:14

  • 오며 가며 즐길거리 풍부하니…

    오며 가며 즐길거리 풍부하니…

    내년 6월 천안에 국내 최대 규모의 물놀이 시설이 문을 연다. 이에따라 교통요충지 천안이 이젠 관광요충지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워터파크와 콘도로 구성되는 ‘천안리조트’는 경부고속도

    중앙일보

    2009.09.08 09:25

  • [오며 가며 즐길거리 풍부] 천안, 이젠 관광허브로 뜬다

    [오며 가며 즐길거리 풍부] 천안, 이젠 관광허브로 뜬다

    경부고속도로 천안 목천IC 옆에 천안리조트 공사가 한창이다. 3만㎡ 규모의 워터파크와 251실 콘도가 들어선다. 콘도 현장 앞에 중앙공원이 이미 조성돼 있다. 조영회 기자 내년 6

    중앙일보

    2009.09.07 18:09

  • 아아! 충무공 가문의 內亂 ③

    지병을 앓던 ‘15대 종손’을 보살피던 여인 15대 종손 이재국(1937~2002) 씨. 그의 삶은 불운했다. 어린 시절 그는 소문난 수재였다. 경기고 52회 졸업생으로 고건 전

    중앙일보

    2009.04.24 11:37

  • 이황 “글씨는 마음의 표현” 이광사 글씨엔 ‘실학’ 담겨

    “글씨 똑바로 써라.” 이 말은 연필을 잡기 시작한 때부터 귀가 따갑도록 들어왔다. 물론 마음이 발라야 글씨 조형도 바름을 암시하는 우리의 뿌리 깊은 심성론적 글씨관을 대변하는

    중앙선데이

    2009.03.10 11:21

  • [사진] 세로 6.7m 가로 3.8m, 김정호 대동여지도의 전모

    [사진] 세로 6.7m 가로 3.8m, 김정호 대동여지도의 전모

    고산자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다. 개인이 지도를 만드는 것은 하늘의 뜻을 거스르는 것이라는 인식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그는 일생을 지도와 지리서를 만드는 데 바쳤다. 3

    중앙선데이

    2009.02.22 00:32

  • [2009 종가 이야기] 500년 세월 차례상 변했어도 '우리 할아버지'그대로

    [2009 종가 이야기] 500년 세월 차례상 변했어도 '우리 할아버지'그대로

    설을 맞아 ‘민족의 대이동’은 올해도 어김없이 시작됐습니다. 설 차례는 가족의 뿌리인 조상들에게 올리는 새해 첫 인사입니다. 설을 앞두고 중앙SUNDAY가 ‘명문 종가’들을 찾아

    중앙선데이

    2009.01.25 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