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주지가「국보」도굴

    20일하오 서울시경 형사과는 국보급으로 평가되는 금동불상4개를 파내 팔아먹은 경북청송군부동면 상의동200 대전사주지 김기양씨(44)와 총무김성주씨(44)를 문화재보호법위반및 특수절

    중앙일보

    1969.03.21 00:00

  • 3백년전 정화발견

    【상주=이종석기자】불가에서 미래세계의 모습을 나무판에 조각해 나타낸 3백년전 탱화(정화)2점이 경북상주에서 발견됐다. 두껍게 목각하여 부조된 이탱화는 불상 뒷면에 장식삼아 거는 그

    중앙일보

    1969.01.27 00:00

  • 김유신 묘 시비 정설 들고 반론-이홍직·김양선·황수영씨 주장

    보물 제21호 「전 김유신 묘」에 대한 시비는 금년에 학계 최대의 논쟁. 지난11월 이병도 박사가 원고지 1백장의 논문을 조선일보지상에 7회 연재, 발표하자 고고학협회 및 미술사학

    중앙일보

    1968.12.28 00:00

  • 신라 구문선산의 하나|흥녕사터발견|중앙일보·동양방송주관|학술조사단서 영월답사

    강원도 영월의 깊은 산중에 자리잡고 있던 신라구문선산의 한불교 유적이 처음으로 조사돼 햇빛을 보게됐다. 중앙일보·동양방송이 공동으로 파견한 학술조사단은 지난주 사자산 흥녕사 옛터를

    중앙일보

    1968.12.10 00:00

  • 「백제문화」를 찾아서|슬기로운 조상의 유산을 좇는 회기적 대사업

    1천 3백년전 이전의 백제예술은 지금 전하는 것이 극히 적다. 일본에까지 큰 영향을 끼친 백제임에도 불구하고 소상한 기록조차 없고 또 유물·유적도 아리송한 채 흙 속에 묻혀있다.

    중앙일보

    1968.11.12 00:00

  • 통일신라 거찰|성주사지

    충남 보령 숭암산 깊은 계곡 속에 숨겨 있던 성주사 옛터의 신비가 최근 동국대 황수영 교수의 조사에 의해 풀려지고 있다. 황교수는 기록을 모으고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유물을 가다듬

    중앙일보

    1968.10.29 00:00

  • 금불상 발견에 보상 백20만원

    홍종철 문화공보부장관은19일하오 지난해 1월28일 금불상을 발견, 신고한 박용출씨 (서울성북구미아동837의408)에게 보상금1백20만원을 지급했다. 박씨는 자기집 돌담을 고치다 국

    중앙일보

    1968.08.19 00:00

  • 두 불상 국보로 지정

    10일 문화재위원회는 삼국시대의 걸작불상2점을 전격적인 전차를 밟아 각각 국보로 지정했다. 불상은 6세기때의 백제불상인 금동관음보살입상과 신라말 8세기초에 걸치는 금동보살입상. 이

    중앙일보

    1968.07.11 00:00

  • 잘못이 백여군데 엉터리 중학 국사 교과서

    단국대학교 정영호교수는 지난해 전국의 각 중학교에 공급된 「사회생활」 교과서 11개종목에서 국사부분을조사, 그릇된점을 1백여군데 지적하고 『심지어 사진이 거꾸로 놓인』 예도 있음을

    중앙일보

    1968.02.27 00:00

  • 신라불교발상의 땅|선산고분군

    신라불교의 발상지경북선산이 거기 찬란하게 꽃피었던 옛모습을 처음으로 세상에 드러냈다. 단국대박물관고적 조사대는 1월하순의 12일간, 선산군내산과 계곡을 샅샅이 뒤져 40여점의 유물

    중앙일보

    1968.02.01 00:00

  • 신간

    신라불상의 집대성 황수영편「유점사오십삼불」 사료로찬 위당사상 정인보문집「담원문록」 개성살린 시·화동조 박두진 제6시집「하얀날개」

    중앙일보

    1968.01.20 00:00

  • 돈키호테

    국보도난사건의 전말은 유쾌한 단편이라도 읽는 기분이다. 굳이 「단편」에 비유한 것은 일말의 「모럴」같은 것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우선 범인이 남겨놓은 쪽지부터 「픽셔널」하다. 『1

    중앙일보

    1967.10.25 00:00

  • 또 금불상 발견

    【충주】신라 후기의 유물로 보이는 금부처가 충북 중원군 노은면 연하동에서 발굴됐다. 지난 21일 이곳 보련리 절골에서 조부 산소를 벌초하던 신유석(59·중원군 노은면 연하동181)

    중앙일보

    1967.05.26 00:00

  • 신라 불상도 회수|용화사 도둑 체포

    5일 서울 종로서는 전남 담양군 용화사에서 신라시대의 불상을 훔쳐 달아났던 박동준(31)을 특수절도 혐의로 구속하고 장물을 압수했다.

    중앙일보

    1967.05.05 00:00

  • 영상요법 실험전

    서울대 교수회관에서는 요즘 「영상요법 실험전」이라는 이색적인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불상사진 1백50여 점과 산길·갈대·개울 등을 찍은 「칼라」사진 30여 점이 전시품목. 그러나

    중앙일보

    1967.04.25 00:00

  • 기구한 문화재 편역|개인 소유가 된 신라 때 불상 3구

    6·25때 잃었던 신라통일기의 귀한 불상 3구가 법의 판가름 끝에 17년만에 국가소유로부터 주인의 손에 되돌려지게 되었다. 서울 민사지법 15부(재판장 원종백 부장판사)는 현 감사

    중앙일보

    1967.04.15 00:00

  • (57) 희망의 단계(2) 전화

    「득율풍」이라는 좀 괴상한 이름으로 전화기가 우리나라에 첫 선을 보인 것은 1893년. 그로부터 9년 후인 1902년 3월 20일 한성과 인천사이에 공중(일반)용 전화가 개통되고

    중앙일보

    1967.03.18 00:00

  • 세계에 심는 「한국의 얼」

    가득한 정취 담아 현판은 「백약산방」 - 정부서 13「톤」의 자재 대고 「덴마크」수도「코펜하겐」에 있는 국립박물관에 한국 정부가 보낸 우아한 「한국의 집」이 작년 10월에 완성돼

    중앙일보

    1967.01.14 00:00

  • 「세계 최고」의 인쇄물|목판 다라니경의 학적 의의|김양기·김두진 두 권위는 말한다

    석가탑의 사리함 속에서 나온「다라니」경에 대하여 문화재 위원장 김상기 박사(서울대 명예교수·동양사)와 서지학 김석학의 권위자 김두진 박사(서울대 명예교수·의사학)는 그 학적 의의를

    중앙일보

    1966.10.18 00:00

  • 국보급 사리도난

    【경주】경주일대의 문화재피해상황을 살피고있는 문화재관리국파견 문화재조사단은 12일 경주남산일대에 산재한 탑과 탑지를 조사한 뒤 도굴범들의 검찰에서의 진술이 일부위증이라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1966.10.13 00:00

  • (8)경남 합천군

    북으로 가야산을 이고 남으로 뻗은 황매산줄기따라 해발1천 「미터」가넘는 웅봉속의 분지l합천은 경남의 지붕이다. 그옛날 신라와 백제의 처절한 싸움터이기도했던 이곳에 호화롭던옛 문화의

    중앙일보

    1966.09.29 00:00

  • 속은텅빈 사리함|이병각씨 소장품 감정결과

    피해문화재수석대책위원장 이홍직씨는 26일 경찰이 이병각씨로부터 압수한 문화재를 감정한 결과 사리를 넣었던 함은 발견되었으나 알맹이는 하나도 없었다고 발표했다. 이위원장은 이씨소장문

    중앙일보

    1966.09.26 00:00

  • 이병각씨 소장품 2백점 감정 착수|피해 문화재 대위

    24일 피해문화재 수습대책위원회(위원장 이홍직 고대 교수)는 경찰에서 압수한 전 삼각유지 사장 이병각씨 개인소장 문화재 2백 26점을 모두 국립박물관에 옮겨 감정에 착수했다. 이들

    중앙일보

    1966.09.24 00:00

  • 사방불엔 불상 스물

    【곡성=본사 이종석 기자】전남 곡성에서 고려와 이조 때의 불교문화재 10점이 발견되었다. 지난 13일부터 4일간 곡성군 일대의 옛 절터를 답사한 문화재 관계자는 신라 구문선산의 하

    중앙일보

    1966.01.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