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春陽木이 되살아난다-천연보호林 솔잎혹파리로 중병신음

    솔잎혹파리 피해로 고사위기에 놓여 있던 천연보호림 春陽木(일명 春陽소나무)숲이 되살아나고 있다. 태백산을 중심으로 경북봉화.울진과 강원도태백.삼척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며 예부터 풍

    중앙일보

    1994.07.31 00:00

  • 백두산 8경

    민족의 聖山인 白頭山에는 갖가지 전설과 풍광이 어우러진 절경이 많지만 북한은 그중에서도 8景을 꼽는다. 內外통신에 따르면 북한이 선정해 두고 있는「白頭山 8景」은▲리명수폭포▲백두영

    중앙일보

    1994.03.15 00:00

  • 2천년 된 나무 전국에 2그루-산림청 조사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는 울릉도의 향나무와 경남 울산군의 떡갈나무로 나이가 무려 2천년쯤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1월25일까지 전국

    중앙일보

    1994.01.28 00:00

  • 해외자원개발「환경벽」높다

    우리 회사는 러시아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동쪽으로 7백㎞ 떨어진 벽지인 스베틀라야에서 연해주 산림청과 합작으로 원목벌채 사업을 하고 있다. 가문비나무·전나무·낙엽송등 수령

    중앙일보

    1993.05.26 00:00

  • 고사 판정에 “봄볕받아 새순 돋았으면…”

    6순의 할머니가 수령6백년을 자랑하는 서울통의동 백송(천연기념물 제4호)이 지난90년7월 돌풍에 쓰러진 이후 사재 2천7백여만원을 털어「백송살리기운동」을 펴온 사실이 밝혀져 훈훈한

    중앙일보

    1993.03.27 00:00

  • 창덕궁이 죽어간다/서울시립대 이경재교수 조사

    ◎토양산성화­대기오염에 생태계 파괴/전나무·서어나무 멸종,곤충 사라져 창덕궁이 죽어가고 있다. 서울시립대 이경재교수(조경학과)가 문화재 관리국의 의뢰로 조사한 창덕궁의 토양산성도에

    중앙일보

    1993.03.24 00:00

  • 금강 물길 굽이도는 곶감마을

    충청북도영동군 읍내를 들어서면 약 2천 그루나 되는 감나무 가로수가 색다른 느낌을 준다. 청명한 가을 날씨와 어우러져 검푸른 빛을 띠고 있는 감나무 잎사귀들과 여염집 옥상이나 처마

    중앙일보

    1992.11.07 00:00

  • 공민왕사당 2백50년생보호수/소나기돌풍에 부러져 대피소동(주사위)

    ○…2일 오후 4시20분쯤 서울 창전동 402 고려 공민왕 사당옆에 있던 회화나무고목(사진)이 폭우와 함께 갑자기 불어온 돌풍에 쓰러지면서 인근 연립주택을 덮치는 바람에 주민 20

    중앙일보

    1992.08.03 00:00

  • (42) 조광조의 개혁 의지 숨쉬는 심곡서원|못다 이룬 「도덕 정치」의 꿈 되새김질

    정치가 바로서야 나라가 융성하고 백성이 편안한 삶을 누리게 된다. 그러자면 누대로 쌓여온 낡은 제도와 인습을 깨뜨리고 정의롭고 합리적인 새 정치로 탈바꿈해야 한다. 조선 전기 일찍

    중앙일보

    1992.04.26 00:00

  • 임란 4백주년 한·일·중 관계 재조명

    전쟁직전의 정세 임진왜란은 분명 일본의 일방적인 침략으로 시작된 전쟁이다. 그러나 임진왜란은 국제 전이었던 만큼 일본만으로 설명될 수는 없다. 동아시아 3국을 뒤흔든 대 사건이니

    중앙일보

    1992.04.10 00:00

  • 14개학부에 재학생 1만2천명/김일성종합대(북녘의 문화ㆍ예술:9)

    ◎학술도별로 정원 배정… 경쟁률 평균 3대 1/사회과학은 5년ㆍ자연과학은 6년제 지난달 22일 북한 대학문화의 중심지라 할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을 찾았을 때 무엇보다 인상적이었던 것

    중앙일보

    1990.11.08 00:00

  • 해변 시인학교|시인과 독자가 만난 「정서적 합숙소」

    월간 시지 『심상』이 해마다 개최하는 「해변시인학교」가 올해에도 동해안의 사천진리 해수욕장에서 개설되고 있다. 같은 시기에 부산지방의 시인들이 중심이 되어 남해안에서 개설하는 해변

    중앙일보

    1989.07.29 00:00

  • 제2부(4) 하원에서 발해까지…동양사 5천년의 베일을 벗긴다

    감숙성 임하회족 자치주 화정현 남쪽27㎞의 깊은 산중에 있는 송명암에서 1년마다 대화아라 불리는 소수민족의 노래잔치가 벌어진다. 화아란 청해 감숙을 비롯해 황하상류 유역 각지에 사

    중앙일보

    1986.10.09 00:00

  • "단 한번만의 생명을 던져 해 볼만한 일을 찾아야지"

    주문진과 양양 사이, 행정구획 상으로는 강원도 양양군 현남면 남애리, 이곳은 작은 포구다. 이 포구의 지형은 어느 거대한 신검으로써 육지를 말굽쇠 모양으로 도려낸 것처럼 보인다.

    중앙일보

    1984.07.13 00:00

  • 5월의 산-소백산

    소백산은 소백이란 이름그대로 장중 우아하면서도 소담한 미를 지닌 소백산맥의 모산이다. 우리나라 12명산중의 하나로 최고봉인 표고 1,439m의 비로봉을 비롯해서 연화봉(1,394

    중앙일보

    1984.05.03 00:00

  • 삼림욕, 바람없는 날이 좋다|애호가들 부쩍 늘어····알아본 적지7곳

    삼림욕에대한 일반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과 유럽등지에서 최근 각광을 받고있는 삼림욕을 중앙일보(5월20일자)가 국내에 처음 소개한이후 이에대한 일반의 호응은 의외로 컸다.

    중앙일보

    1983.08.26 00:00

  • 새모습 보일 전국해수욕장|일부는 벌써 개장…어떻게 달라졌나

    1일을 기해 남·서해안과 제주도의 해수욕장들이 일제히 개장했고 동해안해수욕장들은 10일부터 개장한다. 동해안의 경우 올해 처음으로 8개 해수욕장이 시·군이 직영하는 시범해수욕장으로

    중앙일보

    1983.07.01 00:00

  • 남하하는 단풍전선

    단풍전선이 점차 남하하고 있다. 설악산단풍은 지난 9,10일 설악산을 고비로 서서히 내림세. 더구나 올해는 가을 가뭄이 심해 예년에 비해 단풍시즌이 짧았다. 이제부터 각광을 받는

    중앙일보

    1982.10.21 00:00

  • (88)김해군 진영읍 부곡리

    『단단하면서도 떫은맛이 전혀 없고 시원한 단맛이 야생감과는 비교가 안되지요. 해방전에는 부자가 아니면 맛보기 힘들다고「부자감」이라고 불렀답니다.』 경남 김해군 진영읍은 우리나라 단

    중앙일보

    1981.10.28 00:00

  • (82) 400여년째 대를 이어 성심껏 가꾼|국내 최대의 팽나무 터널|북제주군 한림읍 명월리|잎사귀만 따도 혼나|마을이 잘 사는 건 나무 사랑한 덕분

    물 좋고 지세(지세)수려한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명월리. 몽고의 침략, 임진왜란 등 숱한 수난을 이겨낸 조상들의 의기심과 더불어 4백년을 고수m 마을나무 팽나무를 가꾸고 있는 전

    중앙일보

    1981.09.10 00:00

  • |제72화 비규격의 떠돌이 인생(46)|영변약산

    「하르빈」서 돌아오는 길에 맹중리에서 기차를 내려 영변항「버스」를 탔다. 그 전년 동경의 어느 친구와 동행해서 영변까지 온 일이 있었고, 그 연분으로 영변정화여고가 청해와서 그 학

    중앙일보

    1981.02.27 00:00

  • 나무와 대화하며 소자연을 가꿔|분재가꾸기 30년···이강수씨의 농장

    파란 이끼, 천년풍상을 아로새긴 괴석틈에 한그루 노송이 용틀임하듯 뿌리를 내렸다. 구불구불 오르다가 휘돌아 가지를 뻗고 청청한 푸른 잎새는 바람이라도 스치면 「쏴아」 청아한 솔바람

    중앙일보

    1980.08.02 00:00

  • 주문생산으로 명맥 잇는 「울산은장도」

    파란 칼날 위에 옛 여인들의 한이 서릿발처럼 서린다. 여인들의 정절을 지켜준 은장도. 우리 조상들은 시집가는 딸에게 말없이 장도를 옷고름에 매달아 주었다. 이때 새색시는 가문의 명

    중앙일보

    1979.11.15 00:00

  • 산림 관리관

    「프랑스」에는 만년 인기 직업이 하나 있다. 군인도, 재무성의 관리도, 세리도 아닌 너무나 수수한 직업. 그것은 뜻 밖에도 산림 관리관이다. 우리 나라로 치면 산림청의 주사쯤 될

    중앙일보

    1977.11.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