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라이프 트렌드] 한국 근대사 흔적 고스란히 남아 있는 예향으로 가보자

    [라이프 트렌드] 한국 근대사 흔적 고스란히 남아 있는 예향으로 가보자

    올해의 관광도시 광주 남구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은 호남 근대 역사·문화의 발상지로 유명하다. 주민 9000여 명이 거주하는 이 작은 동네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독립·사회운동

    중앙일보

    2017.09.26 00:02

  • ‘사랑의 원자탄’ 손양원 목사

    9월 28일은 서울 수복 60주년이었다. 또한 손양원(1902~50·사진) 목사가 세상을 떠난 지 60년이 되는 날이기도 했다. 손 목사는 1938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한센병

    중앙선데이

    2010.10.03 06:12

  • ‘사랑의 원자탄’ 손양원 목사

    ‘사랑의 원자탄’ 손양원 목사

    9월 28일은 서울 수복 60주년이었다. 또한 손양원(1902~50·사진) 목사가 세상을 떠난 지 60년이 되는 날이기도 했다. 손 목사는 1938년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한센병

    중앙선데이

    2010.10.02 22:30

  •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한국 문학 스테디셀러 7권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한국 문학 스테디셀러 7권

    출판 불황의 시대에도 꾸준히 팔리는 책이 있습니다. 스테디셀러입니다. 문학 분야의 스테디셀러를 훑어봤습니다. 독자 입장에서 스테디셀러는 믿을 만한 나침반 또는 지도 같은 겁니다.

    중앙일보

    2009.04.30 00:01

  • [성적이쑥] 책을 펴면 겨울이 따뜻해져요

    [성적이쑥] 책을 펴면 겨울이 따뜻해져요

    다른해보다 유난히 추운 올 겨울, 방학기간 중 따뜻한 방에 앉아 한 권의 책을 읽으며 사색의 세계에 빠져 보는 게 어떨까. ◆ 철학=조성오의 '철학 에세이'는 자칫 어렵게만 느껴

    중앙일보

    2005.12.27 15:17

  • 100만명 1주일간 '자원봉사 물결'

    중앙일보가 펼치는 제9회 전국자원봉사대축제가 14일 전국에서 일제히 시작돼 20일까지 1주일간 진행된다. 이번 행사는 행정자치부·보건복지부·문화관광부·교육부·여성부 등 5개 부처

    중앙일보

    2002.10.14 00:00

  • 내용 풍성해진 EBS '정운영의 책으로 읽는 세상'

    각 방송사들이 독서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관련프로그램을 신설 또는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공중파 TV의 유일한 독서프로그램이었던 EBS「정운영의 책으로 읽는 세상」도 5월부터 더욱

    중앙일보

    2001.04.25 15:13

  • [우리아파트 최고] "입주민 웃음꽃에 힘든 줄 몰라요"

    지난 1월부터 부녀회를 이끌고 있는 박호신(朴好信.43)회장은 "내 한 몸 희생해서라도 우리 아파트가 살기 좋아진다면 더 바랄 게 없다" 고 말했다. 朴회장은 아파트 주민들 사이에

    중앙일보

    2000.06.28 00:00

  • [설립 50주년 '성 라자로마을'을 가다]

    2일은 나환자들의 낙원인 성 라자로 마을이 세워진지 반백년이 되는 날. 가족에게 버림받고 마을에서 쫓겨나 돌팔매를 맞으며 구걸로 연명하던 환자들이 사랑 속에 안긴 날이다. 피고름진

    중앙일보

    2000.06.02 00:00

  • [사람 사람] 곽상필 전 제민일보 사진부장

    그의 카메라는 언제나 장애인을 향하고 있다. 스스로가 몸의 반쪽을 제대로 가눌 수 없는 장애인이지만 그런 장애인만을 고집스럽게 렌즈에 담고 있다. 사진작가 곽상필(郭尙弼.45)씨는

    중앙일보

    2000.05.16 00:00

  • 대전대 사회봉사·효행우수자 등에 장학금 지급

    '장학금은 성적순이 아닙니다. ' 대전대가 성적을 기준으로 장학금을 지급하는 관행을 깨고 사회봉사와 효행 우수자, 수해.실직가정 자녀에게 장학금을 지급한다. 대전대는 학생들의 잠재

    중앙일보

    1998.09.09 00:00

  • [사설]'소록도'에 관심갖자

    우리나라 최초의 나환자 전문병원으로 17일 개원 82주년을 맞은 국립 소록도병원은 낙후된 시설에 예산.인력마저 크게 부족해 진료시설이기 보다 수용시설이라고 해야 적절할 정도다. 그

    중앙일보

    1998.05.18 00:00

  • 장애인 강희종씨,복지시설 돌며 자장면 대접 7년째

    15일 오전 10시 경기도 포천군 군내면 중복장애인 수용시설 '남사랑선교재활원' 에 강희종 (姜熙鐘. 47. 서울 양천구 신정5동) 씨가 모는 봉고차가 들어서자 아이들의 얼굴엔 환

    중앙일보

    1998.05.18 00:00

  • [소록도와 사람들]한하운·이청준 절규어린 고도

    새끼 사슴의 형상을 하고 있는 아름다운 섬 소록도 (小鹿島) 엔 나환자들의 애환에 얽힌 많은 사연들이 숨쉬고 있다. 육지로부터 배로 불과 5분거리에 있는 소록도병원은 일제치하에서

    중앙일보

    1998.05.16 00:00

  • [오늘의 중앙일보]5월 16일

    印尼사태 亞경제 휘청 5면 인도네시아 사태로 아시아 경제가 휘청거린다.자카르타 금융시장이 마비되고 미.유럽 자본이 아시아에 투자하기를 꺼린다. 한국.태국 등의 외자조달 금리도 올라

    중앙일보

    1998.05.16 00:00

  • 오병용 사장·조창용 박사 봉사 인생 수필집 출판

    평생을 조건없는 사랑을 실천해 온 이의 인생이야기를 담은 수필집 두 권이 잔잔한 감동을 자아내고 있다. 30여년동안 염습 (殮襲) 봉사활동을 펴온 중소기업사장 오병용씨가 죽은 사람

    중앙일보

    1998.02.20 00:00

  • [주사위]정연씨 소록도로 복귀

    병역기피 의혹에 시달렸던 한나라당 이회창 (李會昌) 후보의 장남 정연 (正淵) 씨의 소재와 행보를 둘러싸고 PC통신에서 논란. 정연씨는 체중을 줄여 병역을 면제받았다는 의혹이 일자

    중앙일보

    1997.12.22 00:00

  • "일제 나환자 불임시술은 사실" 미국 교포의사 참회 증언

    "일제때 한국인 나병 남성환자에 대한 반강제적 불임시술은 사실이었습니다. " 80년에 도미 (渡美) , 현재 로스앤젤레스 동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김원달 (85) 씨는 1936년부

    중앙일보

    1997.11.15 00:00

  • [분수대] 수녀

    수녀가 되기 위한 조건은 까다롭기로 정평이 나있다. 나라.교회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20세 이상 30세 미만으로 고졸 이상의 미혼이어야 하며, 세례받은 뒤 2년

    중앙일보

    1997.09.08 00:00

  • [모임] 롯데복지재단 창립3주년 축하연

    롯데복지재단 (이사장 盧信永.전국무총리) 은 2일 오후6시30분 서울소공동에서 창립 3주년 기념축하연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선 올 여름 국립소록도병원에서 나환자들을 위해 봉사를 한

    중앙일보

    1997.09.03 00:00

  • 노신영, 소록도 무료치과진료활동 격려

    ◇盧信永롯데복지재단 이사장은 서울대 치과대의 소록도 병원과 나환자에 대한 여름 무료치과진료 봉사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盧이사장은 15일 소록도를 방문, 나환자들과 이들에게 의치 장

    중앙일보

    1997.07.15 00:00

  • 나환자 恨을 화폭에 담는 병원장

    “나환자들이 간척사업을 벌였던 오마도(五馬島)를 아십니까?나환자의 한이 서린 오마도 이야기를 알리려다 지난 93년부터 화필을 들게 됐습니다.” 63년과 70년 두차례나 국립 소록도

    중앙일보

    1997.01.31 00:00

  • 6.여천 신풍-'애양원' 김인권 원장

    꼬막.총각김치.미역줄기.무국. 애양원 직원식당의 점심 반찬이다.한끼 6백원.그중 3백원은 이용하는 직원이 내고 나머지 3백원은 병원이 부담한다. 김인권(46)원장과 함께 한 식사.

    중앙일보

    1996.12.10 00:00

  • 롯데복지재단,소록도 나환자 100명에 '틀니'선사

    국내 외국인 근로자의 보호.지원에 힘쓰는 롯데복지재단(이사장盧信永)이 최근 소록도의 늙은 나환자 1백명에게 틀니를 선사했다.다른 감각은 무뎌져도 미각(味覺)만은 마지막까지 남는 나

    중앙일보

    1996.09.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