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풍 맞고 쓰러진 400살 소나무 ‘깁스’하고 일어섰다
지난 6일 경북 구미시 선산읍 ‘구미 독동리 반송’에 받침대가 설치돼 있다. 김정석 기자 지난 6일 경북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언뜻 보기엔 평범한 농촌 마을처럼 보이지만 이곳에
-
'깁스'한 환자처럼…태풍에 꺾인 400살 소나무는 다시 일어섰다
지난 6일 경북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구미 독동리 반송(천연기념물 제357호)' 모습. 김정석 기자 지난 6일 경북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 언뜻 보기엔 평범한 농촌 마을처럼 보
-
[시(詩)와 사색] 아름다운 관계
아름다운 관계 박남준 바위 위에 소나무가 저렇게 싱싱하다니 사람들은 모르지 처음엔 이끼들도 살 수 없었어 아무것도 키울 수 없던 불모의 바위였지 작은 풀씨들이 날아와 싹을 틔
-
폭우로 부러진 횡성 ‘수호신 나무’ 예술품으로 환생한다
지난달 8일 강원 횡성군 둔내면 두원리에서 마을 주민들이 느릅나무의 영원한 안식의 의미를 담은 꽃잠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횡성군] 오래된 마을에는 커다란 나무가 한 그루씩
-
결국 비바람에 쓰러졌다...410년 마을 지킨 수호신의 재탄생
느릅나무의 영원한 안식의 의미를 담은 ‘꽃잠식’이 거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 횡성군] ━ 1982년 보호수로 지정된 '횡성 느릅나무' 오래된 마을엔 커다란 나무가 한
-
[아이랑GO] 서울에서 떠나는 선사시대로의 시간 여행
아이가 “심심해~”를 외치며 꽁무니를 따라다닌다고요? 일기쓰기 숙제를 해야 하는데 ‘마트에 다녀왔다’만 쓴다고요? 무한고민하는 대한민국 부모님들을 위해 '소년중앙'이 준비했습니다
-
1m 폭우 쏟아져도 끄떡없다…신이 제주에 준 선물, 곶자왈 유료 전용
지난 어린이날 연휴 사흘 동안 한라산 삼각봉에 1m(1023㎜)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졌다. 서귀포 지역 강수량은 376.3㎜였다. 제주도에서 5월에 내린 비로는 가장 많다.
-
[소년중앙] 자연과 문화적 가치 뛰어난 국립공원 어떻게 지정·보전할까요
1967년 1호 지리산부터 전국 22개 국립공원이 간직한 보물 보따리 잘 지키려면 유정현(서울 목동초 5)·추승찬(서울 역촌초 5)·왕희재(서울 마포초 5)·김민솔(서
-
지리산 산행중 '심봤다' 그것도 15뿌리...추정 가격은 얼마?
경남 하동군 지리산에서 수십 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삼 15뿌리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약초 전문가 A씨가 산행 중 발견했다. 사진 독자 제공 지리산에서 수십 년 된 것으로 추정
-
동화 같은 '엄마나무 가설' 틀렸다…영양분 나누기? 냉혹한 숲
식물 뿌리에 침투해서 자라는 곰팡이인 균근의 균사체. 균근은 식물과 곰팡이의 공생이다. [위키피디아] 식물 뿌리에 침투해 매우 가는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곰팡이(균류)를 근균
-
피라미드보다 오래된 '5000살' 칠레 나무…세계 최고령 등극 코앞
세계 최고령 나무로 추정되는 칠레 남부의 알레르세 나무. AFP=연합뉴스 칠레 남부에서 5000살이 넘은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 나무가 새로운 '세계 최고령 나무'로 인증 과정에
-
바위틈 용케 꽃피운 생명력…북한산 진달래, 또 살아냈다 유료 전용
추적추적 비 오는 날, 북한산을 찾았습니다. 진달래를 볼 요량이었습니다. 온 산 그득한 진달래가 아니라 흙 한 줌 드문 바위틈에서 천신만고 끝에 살아내어 꽃을 틔운 진달
-
"아이고 세상에, 다 탔네" 화마 덮친 강릉 집 찾은 모친은 '털썩'
"어머니가 60년 넘게 살며 저와 4남매를 키운 곳이었습니다. 그 남매가 장성해서 아이들을 데려와 추억을 공유하던 자리였고요. 그런데 하루아침에 모든 게 사라졌습니다." 12
-
100년 솔향 뿜던 소나무 껍질이 ‘뚝’…쑥대밭된 경포 송림[르포]
11일 발생한 강릉 산불로 난곡동 등산로에 있던 소나무 숲이 검게 탔다. 최종권 기자 ━ 경포 자랑 소나무 숲 쑥대밭 12일 오전 강원 강릉시 난곡동 시루봉. 10~15
-
폭격 맞은 듯 불에 탄 마을…지붕 덮은 철판도 바람에 날아가
11일 강원도 강릉시 난곡동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경포호 인근 펜션 밀집 지역을 덮쳐 큰 피해가 났다. [뉴시스] ‘쿠와아아앙, 쾅쾅.’ 강릉 산불 발생 5시간이 지난 11
-
"폭격 맞은 듯 다 불탔다" 전쟁터 된 강릉… 8시간의 사투 [르포]
11일 강원 강릉시 난곡동에서 발생한 산불이 주변 주택가로 번지자, 주민들은 망연자실하며 불길을 바라봤다. 이날 화재로 이재민 557명이 발생했다. 주민들은 순식간에 불길을 옮기
-
[소년중앙] 옛날 짚신·가방·옷부터 요즘 갈대빨대까지, 만능 재료 짚풀로 만드는 생활 속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생활용품은 주로 플라스틱·스테인리스·철 등으로 만듭니다. 농경사회였던 옛날에는 어땠을까요. 돌이나 흙은 물론, 곡식을 추수하고 남은 식물 줄기와 산과 들에 널린
-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자연의 이치는 공생…활엽수 남벌이 화마 키워
━ 2022년 울진 산불과 인간경영 김정탁 노장사상가 한국인에게 친숙한 나무를 꼽으라면 단연 소나무다. 애국가에도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으로 등장할 뿐
-
"큰 지진 또 온다" 12년 전 2만명 숨진 日의 '국토강인화 대책'
7일 오전 일본 도쿄(東京) 지요다(千代田)구의 '기적의 소나무 뿌리(奇跡の一本松の根)' 전시장. 1층 전체에 직경 13m의 거대한 나무뿌리가 자리를 잡았다. 12년 전인 지난
-
[지구촌 뒤흔드는 ‘재난 리스크’] 2011년 쓰나미 같은 재해 다시 없게…일, 국토강인화법 만들어 본격 추진
━ SPECIAL REPORT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안쪽에 오염수를 담은 탱크들이 보관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 7일 오전 일본 도쿄 지요다구 ‘기적의 소나무 뿌
-
한 폭의 수묵화, 친구들 초상화같은 나무
━ ‘솔섬’ 사진작가 마이클 케나 1‘철학자의 나무’ 시리즈, 일본 홋카이도, 2004년. [사진 마이클 케나] “천년 동안 한곳에 살고 있는 나무는 분명 우리의 위대한
-
일, 항일 토비 ‘홍창회’ 머물던 촌락 주민 3000명 도살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52〉 1930년대 푸순의 노천 광산. 일본은 러·일 전쟁 승리 후부터 40년 동안 석탄 2억t을 일본으로 반출했다. [사진
-
지방 아니라 로컬이다…‘문화 사막’ 대구의 반란 유료 전용
지난 7월, 대구에 이색적인 공간이 들어섰습니다. 정겨운 논밭과 비닐하우스 사이에서 단연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내는 이곳의 이름은 mrnw. ‘미래농원’이라고도 불리는 이곳은 갤
-
천연기념물 6그루 모여 있다…YS·클린턴 12바퀴 달리던 곳 유료 전용
청와대 나무 6그루가 천연기념물이 됐다. 9월 29일 문화재청에서 결정하고 10월 7일 관보에 고시했다. 반송 1그루(나이 약 170년), 회화나무 3그루(약 230년), 용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