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일보 창간 50년 행사 참석한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정계 원로▶이명박 전 대통령 류우익 전 통일부 장관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고흥길 전 특임장관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백용호 전 청와대 정책실장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

    중앙일보

    2015.09.23 00:01

  • 중앙일보 창간 50년 행사 참석한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정계 원로▶이명박 전 대통령 류우익 전 통일부 장관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고흥길 전 특임장관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백용호 전 청와대 정책실장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

    중앙일보

    2015.09.22 21:53

  • “더 늦기 전에 … ” 칠순에 테너 음반

    “더 늦기 전에 … ” 칠순에 테너 음반

    “음악회는 무슨… 내가 좋아했던 흔적을 남기자는 생각에서 한 거에요.”  최근 테너 음반을 낸 성병욱(72·인터넷신문심의위원회 위원장·사진) 전 중앙일보 주필의 말이다. 이번 음반

    중앙일보

    2012.02.08 00:05

  • 한국신문윤리위, 성병욱씨 독자불만처리위원 겸 윤리위원 위촉

    한국신문윤리위, 성병욱씨 독자불만처리위원 겸 윤리위원 위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이사장 김대성 제주일보 회장)는 15일 이사회를 열고 성병욱(사진) 전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장을 독자불만처리위원 겸 윤리위원으로 위촉했다. 성 신임 위원은 중앙

    중앙일보

    2009.01.16 01:12

  • “편파 방송 바로잡겠다” 공정언론 시민연대 출범

    보수 성향의 언론인, 시민단체가 잇따라 조직을 구성하며 세 결집에 나섰다. 29일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 바른시민옴부즈만,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 등 28개 중도 보수 시민단체가

    중앙일보

    2008.09.30 03:52

  • [사랑방] 세미나 外

    ◆세미나  ▶김대성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장은 11월 2일 대전 호텔리베라유성에서 ‘신문기사의 저작권-침해 및 피해보상 사례’를 주제로 지역일간신문 발행인 세미나를 연다. 성병욱

    중앙일보

    2007.10.31 05:30

  • "지금 정치 시스템 고장" 고건, 싱크탱크 '미래와 경제' 발족

    "지금 정치 시스템 고장" 고건, 싱크탱크 '미래와 경제' 발족

    고건(사진) 전 국무총리의 싱크탱크인 '미래와 경제'모임이 1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발족했다. 고 전 총리의 전문가 인맥 150여 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이들은 앞으로

    중앙일보

    2006.03.14 05:06

  • 성병욱 전 중앙일보 주필 세종대 석좌교수로

    성병욱 전 중앙일보 주필 세종대 석좌교수로

    성병욱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28일자로 교수직에서 정년퇴직하고, 다시 석좌교수로 위촉돼 새 학기에도 강의를 계속한다. 성 교수는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중앙일보에 입사

    중앙일보

    2006.02.28 06:04

  • 편협 '송년의 밤' 행사

    편협 '송년의 밤' 행사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송년의 밤' 행사에 참석한 전·현직 언론인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앞줄 왼쪽부터 최규철 편협 고문, 성병욱 세종대 언론홍보대학원장, 안병훈 LG상남언론재단 이

    중앙일보

    2005.12.14 05:57

  •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에 이창우씨

    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에 이창우씨

    노무현 대통령은 24일 뉴스통신진흥회(아래 진흥회) 이사장에 이창우 전 부산일보 논설고문을 임명했다. 이 이사장은 1935년 경남 통영 출신으로 부산일보 편집국장과 전무,신문방송

    중앙일보

    2005.10.25 02:46

  • 신문방송편집인협회기금 신임 이사장에 성병욱씨

    신문방송편집인협회기금 신임 이사장에 성병욱씨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기금은 2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이사회를 열고, 신임 이사장에 성병욱 세종대 언론홍보대학원장을 선출했다. 성 이사장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했으며, 중앙일보 정

    중앙일보

    2005.05.27 04:10

  • 중앙일보 성병욱 상임고문 퇴임

    성병욱(成炳旭.63) 중앙일보 상임고문이 26일 오후 중앙일보사 6층 대회의실에서 퇴임식을 하고 38년3개월간 근무했던 중앙일보를 떠났다. 成전고문은 퇴임 후 세종대 언론홍보대학원

    중앙일보

    2004.02.26 18:23

  • [옴부즈맨 칼럼] 권력 감시에 순발력과 끈기를

    옴부즈맨 칼럼을 쓴 것이 오늘로 1년째다. 만 38년이 넘는 기자생활 중 가장 신문을 꼼꼼히 읽은 한 해였다. 타사 동료 언론인들로부터 "그렇게 내놓고 자기 신문 기사를 비판해도

    중앙일보

    2003.12.19 18:06

  • [옴부즈맨 칼럼] 생생한 이라크 호텔 피격 르포

    지난 2주간은 눈이 가는 뉴스가 많았다. 대통령 측근 비리 특검법안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와 압도적인 국회 재의결까지의 숨가쁜 갈등 과정이 그 중 하이라이트였다. 한국 근로자 테러에

    중앙일보

    2003.12.05 19:33

  • [옴부즈맨 칼럼] '럼즈펠드 반응' 왜 혼선인가

    지난 17일 열린 한.미 안보협의회는 예년에 비해 여론의 큰 주목을 받았다. 현안인 이라크 추가 파병이 집중 논의됐기 때문이다. 특히 재건.지원 부대 중심으로 3천명을 추가 파병하

    중앙일보

    2003.11.21 17:59

  • [옴부즈맨 칼럼] '野 죽이기' 논란 없애려면

    노무현 정부 들어 검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기대가 어느 때보다 드높다. 약자에는 강하고 강자에는 약하다는 눈총을 받던 검찰이 살아 있는 권력 주변에 대해서도 사정의 칼날을 들이대

    중앙일보

    2003.11.07 18:05

  • [옴부즈맨 칼럼] 일관성 돋보인 재신임 報道

    재신임을 묻겠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난 10일 선언은 국민에게 놀라움과 충격을 안겨줬다. 더구나 정치권의 표변하는 반응이 놀라움과 혼선을 배가시켰다. 대통령의 재신임 발언이 나오자

    중앙일보

    2003.10.24 18:13

  • [옴부즈맨 칼럼] '송두율 美化' 엄정히 따져야

    지난 2주간 뉴스의 중심은 단연 송두율 독일 뮌스터대 교수 수사 소식이다. 한때 일각에서 남북문제를 놓고 새로운 시각에서 고뇌하는 선각자요, 해외 민주인사로 떠받들어지던 그가 지금

    중앙일보

    2003.10.10 18:26

  • [옴부즈맨 칼럼] '해외민주인사' 표현 적절한가

    지난 3주간 중에는 신문 지면을 오래 차지한 중요 기사가 많았다. 그 중에서도 태풍 '매미', 이라크 추가 파병 문제, 위도 원전 수거물 관리시설 문제는 끊임없이 기사거리를 양산했

    중앙일보

    2003.09.26 19:47

  • [옴부즈맨 칼럼] 아쉬움 남은 '해임 건의' 보도

    이번 국회의 행정자치부 장관 해임 건의는 대통령의 수용 여부가 주목을 끌고 있다는 점에서 유별나다. 우리 헌정 사상 '해임건의'란 이름의 국무위원 해임안 가결은 이번이 네번째다.

    중앙일보

    2003.09.05 18:08

  • [옴부즈맨 칼럼] 대법관 제청·임명 어느쪽이 우선?

    대법원장의 신임 대법관 제청 문제를 놓고 사법부가 미증유의 진통을 겪었다. 그 과정에서 한때 청와대에서 대법원장이 제청하는 대법관 후보의 임명을 거부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왔

    중앙일보

    2003.08.22 18:35

  • [옴부즈맨 칼럼] 언론 압수수색 보도 문제없나

    청와대 제1부속실장의 향응과 관련된 몰래카메라 원본 테이프의 압수수색영장 집행을 둘러싸고 언론자유와 취재원 보호 문제가 날카롭게 제기되고 있다. 사건을 수사 중인 청주지검은 지난

    중앙일보

    2003.08.08 18:22

  • [옴부즈맨 칼럼] 아쉬움 남긴 '일자리…'시리즈

    18년 전 연수차 반년간 영국에 머문 적이 있다. 그때 BBC 저녁뉴스에 하루도 빠지지 않고 나오는 뉴스가 있었다. 그날 하루 일자리가 구체적으로 몇개 생기고 몇개가 사라져 총 몇

    중앙일보

    2003.07.25 18:42

  • [옴부즈맨 칼럼] 원로들의 경륜을 끌어내라

    경제 전망이 점점 어두워지고 안보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민의 불안감도 커지고 국론 분열도 심각하다. 이런 때일수록 신뢰받는 원로들의 경륜 높은 방향 제시와 쓴소리가 소중하다.

    중앙일보

    2003.07.04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