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굴원의 시(분수대)

    공자는 일찍이 충성스러운 신하가 임금에게 간하는 방법을 네가지로 들었다. 첫째는 자기의 뜻을 속여서라도 간하는 것,둘째는 자기가 어리석게 보이더라도 간하는 것,셋째는 자기 몸을 낮

    중앙일보

    1990.08.22 00:00

  • 의롭지 않은 부귀는 뜬구름과 같다|홍재룡

    산간 초막을 짓고 살면서도 의가 아니면 절대로 행하지 않는 옛 선비들이 한없이 그리운 요즘이다. 한 평의 땅도 소유하지 않으면서 초막의 동창을 열어 시야에 가득 들어오는 산야의 풍

    중앙일보

    1990.08.20 00:00

  • 되찾는 남산(분수대)

    남산은 우리 토박이 말로 「마뫼」라고도 한다. 「마」는 남쪽이라는 뜻 말고도 앞쪽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 뜻으로 보면 서울의 남산은 서울의 앞산으로 정원이나 다름없다. 그 남산이

    중앙일보

    1990.08.18 00:00

  • (11) 이이의 생가-강릉 오죽헌|시인 이근배

    어떻게 태어나면 나면서 세상의 이치를 깨닫게 되고, 어떻게 공부하면 나라에 큰 일을 하는 재목이 되고, 어떻게 살아가면 만인이 우러르는 성인이 되는가. 율곡 이이에게서 우리는 그것

    중앙일보

    1990.08.12 00:00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

    고려가 망하고 이성계가 태조로 등극하자 왕씨 성을 가신 사람들은 단지 구왕조의 왕족이었다는 한가지 이유 때문에 모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이것만해도 억울한데 다시 구멍 뚫린 배로

    중앙일보

    1990.08.05 00:00

  • (10) 김시습 시혼의 「고향」 만수사 무량사

    나라가 바로 서지 못하고 왕도가 하늘을 거스를 때 시인은 어찌해야 하는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참 시인의 삶인가. 바람인듯 구름인듯 세상을 훨훨 떠돌다가 돌아간 매월당 김시습.

    중앙일보

    1990.07.29 00:00

  • 죽부인

    우리 나라 민속 여름용품들은 대나무로 만든 죽세공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부채와 평상·베개·발·죽석 등은 대나무의 차가운 감촉을 살러 만든 이른바 여름용 아이디어 상품인 셈이다.

    중앙일보

    1990.07.27 00:00

  • 사회·교양

    MBC-TV「 인간시대 」(23일 밤8시5분)=「속 권씨 부자 전」. 사친을 주제로 6월18일 방송된「권씨 부자 전」의 속편. 상황에 따른 선비들의 행동지침서인「경재잠」의 가르침을

    중앙일보

    1990.07.23 00:00

  • 전주 합죽선

    『잠자리 날개 같은 한산모시로 조촐하게 차려입은 여인이 옥 같이 희고 고른 치열을 태극선으로 살짝 가리고 얘기를 주고받는 모습도 우아하려니와 구절오십시의 합죽선을 가끔폈다 접었다

    중앙일보

    1990.07.20 00:00

  • 황현선생 유품 11점 도난 당해

    【구례=구두훈기자】 매천 황현선생(1855∼1910)의 귀중한 유품인 병풍(10폭) 1점,연적 1점,송명실록 1조 등 관련서적 9권 등 모두 11점이 도난당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중앙일보

    1990.07.17 00:00

  • 조순형 민주당부총재/13대 고배… 외곬 선비형(프로필)

    11,12대 의원으로 고 조병옥박사의 3남이자 조윤형국회부의장의 실제. 술ㆍ담배를 전혀 못하는 선비형으로 형과는 대조적. 서울대 법대 ㆍ미 조지타운대를 졸업. 11대때 서울 성북구

    중앙일보

    1990.07.03 00:00

  • (8)|아리랑의 발원지-정선 거칠현동|시인 이근배

    아리랑은 우리네 역사다. 아리랑은 금수강산이다. 아리랑은 우리네 삶이다. 아리랑으로 해가 뜨고 아리랑으로 달이 오르고 아리랑으로 꽃이 피고 아리랑으로 산이 솟고 아리랑으로 물이 흐

    중앙일보

    1990.07.01 00:00

  • 시의 양산

    최근 한시전문지가 기획한 우리 시의 정체성(아이덴티티)을 추구하는 자리에서 시단의 대선배 한분과 이야기를 함께 나누다가 그만 슴이 뜨끔한 적이 있었다. 그 기획자체가 요즈음 우리

    중앙일보

    1990.06.14 00:00

  • (6)일? 삼국??·??의 생가 ??「???」

    한국인은 누구인가, 나는 어디서 왔는가. 이런 물음 앞에서 맨 먼저 우리가 펼치는 책이 곧 금국유사」 다. 이 책이 없었던들 이 나라 5천년역사를 어떻게 내세울 수 있겠으며 432

    중앙일보

    1990.06.03 00:00

  • 농사에는 파업이 있을 수 없다|「전농련」에 거는 농심의 기대

    다산선생은 일찍이 농촌문제에 대해 대우가 선비만 못하고, 이익이 상업만 못하며, 편안하기가 공업만 못하다고 농업의 근본구조상 문제점을 쾌히 지적했다. 때문에 우리조상들은 「농자천하

    중앙일보

    1990.05.22 00:00

  • (5) 퇴계학·도산시의 본산 안동 「강산서원」

    하늘이 푸르다 하나 구름 낀 날이 많고 강물이 맑아도 물결에 흔들리게 마련이다. 이 나라의 역사에 그 이름이 높은 고학대덕들이 빽빽하지만 임금을 섬기는 가운데서, 혹은 시대적 어둠

    중앙일보

    1990.05.20 00:00

  • 강의와 함께 전통국악 연주

    원로 국악학자 이혜구 박사〈사진〉의 강의와 한국전통음악 연주로 진행되는렉처 콘서트(Lecture Concert)가 3회에 걸쳐 이어진다. 예음문화재단이 한국전통음악시리즈로 마련하는

    중앙일보

    1990.05.16 00:00

  • 위정의 요체(분수대)

    『채근담』에 이런 구절이 있다. 『사람을 망치는 것에 여러가지 큰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나치게 사리사욕을 좇기 때문에 망하는 것이다. 사람이 한번 사리사욕에 사로 잡히면 억

    중앙일보

    1990.05.14 00:00

  • 세한도|-완당노인

    1 바람이 세다 산방산 너머로 바다가 몸을 틀며 기어오르고 있다 볕살이 잦아지는 들녘에 유채 물감으로 번지는 해묵은 슬픔 어둠보다 깊은 고요를 깔고 노인은 북천을 향해 눈을 감는다

    중앙일보

    1990.04.08 00:00

  • 시가 있는 국토기행 |시인 이근배

    한 폭의 그림속에 시를 담고 있는 일은 예사롭다. 그러나 완당 김정희의 세한도만큼 그림과 시가 완벽하게 짝을 짓고 있는 작품은 동서고금에서도 찾기 어려울 것이다. 세한도는 인사동

    중앙일보

    1990.04.08 00:00

  • 국내첫목판본소설 「기재기리」 햇빛

    우리나라 최초의 목판본 소설인『기재기리』가 발굴돼 학계에 소개됐다. 1553년7월18일 간행된 『기재기리』는 기재 신광한이 지은 4편의 소설 「안빙몽유녹」「서재야회녹」「최생우진기」

    중앙일보

    1990.04.06 00:00

  • 김용진 회고전 |예술의 전당 서예관

    ○…「조선조 마지막 선비 서화가」로 평가받는 고 영운 김용진 회고전이 4월22일까지 예 술의 전당 서예관에서 열린다. 이 전시회에는 영운의 서예 및 문인화 작품 1백20여점이 내걸

    중앙일보

    1990.03.13 00:00

  • 동학운동 북한·중·일 자료 모아 재조명

    우리 역사에서 최대의 민중항쟁으로 평가되고 있는 동학농민운동 1백주년(1994년)을 앞두고 역사연구단체인「역사문제연구소」(소장 정석종·영남대사학과교수)가 5개년에 걸친 대규모 기념

    중앙일보

    1990.02.22 00:00

  • 겨울산행, 설악에 만발한 눈꽃이 장관|폭설내린 명산 4곳 등산가이드

    다음주 전국의 초·중·고교가 일제히 봄방학에 들어가 올 겨울도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주말은 환상적인 설경을 만끽할 수 있는 올 겨울산행의 마지막 기회다. 그러나 설악산등

    중앙일보

    1990.02.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