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려수도 봄의 전령 철새들 20여일 앞당겨와

    한려해상 국립공원에 봄의 전령 철새들이 예년보다 20여일이나 앞당겨 날아들었다. 경남통영군도산면도선리 앞바다의 무인도 학섬은 천연기념물 231호로 지정된 백로·왜가리들의 서식처.

    중앙일보

    1976.02.20 00:00

  • 신화적 괴물·신앙의 대상……용-동물학자가 말하는 용

    오는 새해는 용의 해라고 한다. 병진은 12간지가운데 용에 해당하는 것이다. 용은 동서양에서 모두 괴물로 여기는 상상적인 동물로서 머리는 기린과 같이 길쭉한데다 돌기가 나있고 사지

    중앙일보

    1975.12.30 00:00

  • 인류 생존에 관련된 자연 환경 보존 문제-삼성문화재단 주관 한국 경제 「세미나」

    우리나라의 자연은 예로부터 조상들에 의해 아끼고 보호돼 왔다. 근래 인구의 증가, 수차의 전란, 최근까지 계속되고 있는 근대화의 물결은 자연의 개발과 그에 따른 파괴를 결정적으로

    중앙일보

    1975.12.05 00:00

  • 일본뇌염 증세 환자

    【대구】20일 경북 대구 동산기독병원에 심한 고열과 두통 등으로 입원, 가료 중인 원종부군(13·경북 월성군 양북면 구길리485)이 도내에서 첫 번째 의사일본뇌염환자로 진단이 내려

    중앙일보

    1975.08.21 00:00

  • 1/6평 양어장서 7kg잉어 양식|부산수대 김인배박사 고밀도양어 성공

    【부산】부산수산대학교수 김인배박사 (양식학)는 넓이가 6분의1평밖에 안 되는 함지박에서 4개월만에 7kg의 잉어를 생산하는데 성공, 양어강 면적이 좁아 양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앙일보

    1975.07.31 00:00

  • 35년간 전서구에 비상훈련|부산 성동국민학교교사 정무련씨

    35년동안 전서구(전서구) 훈련을 시켜온 부산성동국민학교교사 정무련씨(48·부산시 부산 진구 대연동 1346의5)는 요즘도 토·일요일이면 쉬지 않고 하늘을 향해 빨간 수건을 흔들고

    중앙일보

    1975.07.19 00:00

  • 『북극의 흰기러기』

    KBS-TV 15일 하오6시5분 동물의 왕국은『북극의 흰기러기』(원명 Trail of the snow)편. 야생동물중 가장 희귀하고 낭만적인 조류인 흰기러기의 생태를 관찰하고 서식

    중앙일보

    1975.07.15 00:00

  • 백로·왜가리 집단 농약공해사

    【수원】천연기념물(209호)로 지정, 보호를 받고있는 백로(백로)·왜가리가 농약에 오염된 먹이를 먹고 죽는 수가 해마다 늘고있어 농약공해로부터 조류 등 야생동물의 보호대책이 시급하

    중앙일보

    1975.06.21 00:00

  • 송충 천적 불개미 멸종위기

    【진주】송충이의 천적인 불개미가 수년 전부터 일부몰지각한 사람들이 신경통·정력제에 특효라고 마구 잡아 멸종위기에 있음이 밝혀졌다. 28일 진주 경상대학교 김진교 교수(48·농화학과

    중앙일보

    1975.05.29 00:00

  • 하수시설 보급율 낮아 영동지구 건축부진

    서울시가 신시가지로 개발 중인 영동 지구의 하수 시설 보급율이 15.8%에 머물러 주택 건립 등 개발이 늦어지고 있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영동 지구 토지 구획 정리 사업 지구

    중앙일보

    1975.02.26 00:00

  • 낙동강 하구서 발견된 홍학은 창경원서 달아난 것인가

    지난 26일 낙동강 하류에서 발견된 홍학이 71년11월 창경원에서 방사도중 날아간 것일지도 모른다는 추정과 외지에서 날아와 야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등 조류학계의 의견이 엇갈려

    중앙일보

    1975.01.31 00:00

  • 동시다발 일본뇌염 맨손 든 방역

    올 여름 일본뇌염이 소독 끊긴 당국의 방역 무방비 속에 전국적으로 10여일 째 동시다발의 맹위를 보이고 있다. 특히 뇌염은 서울에서도 발생, 확산의 기세를 보였는데도 방역은 맨손

    중앙일보

    1974.09.05 00:00

  • 쓰레기 분진

    서울시내의 쓰레기 적환장의 분진이 공해 방지법에 규정된 법정배출기준의 평균 1백60여 배나 된다는 사실이 최근에 연세대 공해연구소의 조사에 의해 밝혀졌다. 서울시내 7개 적환장을

    중앙일보

    1974.06.03 00:00

  • 삼천포 학섬 백학떼 줄어

    【삼천포】천연기념물 제208호인 학섬의 백학 떼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해마다 3월 초순에 수천 마리씩 몰려와 4월에 산란, 5월부터 11월까지 서식하는 학은 3년 전부터 줄기

    중앙일보

    1974.03.21 00:00

  • 「로버트·테일러」의『최후의 총격』KBS

    KBS-TV「명화극장」(27일 하오9시30분)은「로버트·테일러」「스튜어트·그랜저」가 주연하는 56년도 MGM사 작품의 서부극『최후의 총격』을 방영한다. 1883년께의「다코나」주는

    중앙일보

    1974.01.25 00:00

  • 희귀조「너새」한 마리 생포 백령도서 서식처 이동하다 낙오

    【백령도=김진성 지국장】천연기념물 206호로 희귀조인 너새 1마리가 지난 12일 백령도 가을리 해변에서 서식을 위한 이동 중에 잡혔다. 「너새」·「느시」·「들 칠면조」라는 이름을

    중앙일보

    1974.01.17 00:00

  • 설악산에도「까막 딱다구리」

    【동?=장창영 기자】지난 여름 경기도 용인에서 처음 발견됐던 까막딱다구리 1마리가 강원도 설악산 소토왕성계곡의 비경속에도 서식 중인 것이 확인됐다. 외설악 소토왕성계곡의 천연정적

    중앙일보

    1973.12.17 00:00

  • 꼬리문 멸종 세계의 동물

    자연은 태고이래 1억종에 달하는 생명체를 만들어 냈었는데 그중 9천8백만종은 이미 멸종했고 아직 남아있는 2백만종 가운데도 다수가 희귀종이 되었거나 멸종의 위기에 직면해있다. 「애

    중앙일보

    1973.08.03 00:00

  • 주댁가 멸강충 극성

    볏논에서 자라는 멸강충나방이 요즘 서울도심지「빌딩」과 주택가로 몰려들어 극성을 부리고있다. 벼의 속잎 등 볏과식물을 갉아먹고사는 이 멸강충은 한동안 계속된 가뭄과 농약살포 등으로

    중앙일보

    1973.06.05 00:00

  • 세계적 희귀조 「까막딱다구리」 발견

    【용인=김인석기자】지난 4일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가실리 산10 백로암 입구 고목나무에서 발견된 새는,우리나라 중부 이북지역에서만 매우 드물게 서식하는 텃새인 까막 딱다구리임이 경

    중앙일보

    1973.02.19 00:00

  • 20일은 바퀴벌레 잡는날

    서울시는 오는 20일을 바퀴벌레 구제일로 정하고 바퀴벌레가 창궐하는 업소 및 기관과「아파트」 및 일반 가정에서 이날 하오 5시를 기해 일제히 살충제를 뿌리도록 각 보건소에 지시했다

    중앙일보

    1972.12.16 00:00

  • 낙동강하류 겨울철새 보호작전

    [부산] 부산시는 천연기념물 179호로 지정된 낙동강 겨울철새가 독약이나 총포류에 의해 마구 잡혀 멸종위기에 있다고 들고 관할 구청과 경찰 합동으로 단속반을 짜 철새보호작전을 펴고

    중앙일보

    1972.11.29 00:00

  • 설악산 반달가슴곰 보호진정.

    【속초=장창영기자】설악산에 서식하고 있는 반달가슴곰 5마리와 산양 2마리가 사냥철을 맞아 포수들에게 쫓기고 있다고 19일 설악산 천연자원 보호위원회 등에서 긴급한 보호를 요로에 진

    중앙일보

    1972.11.20 00:00

  • 향토문화재·조류서식지 보호토록

    내무부는 18일 향토문화재, 조류서식지, 자연경관지, 보호수 등의 보존관리지침을 전국 시·도에 시달했다. 이 지침은 『향토문화재의 보수와 관리는 그 지방자치단체와 그 고장사람들이

    중앙일보

    1972.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