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5만 개 별 케플러우주망원경 추적 … ‘제2 지구’ 54개 후보 행성 중 첫 확인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인간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Earth 2.0)’의 조건을 제시해왔다. 일단 목성처럼 가스로 이뤄지지 않고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뤄져야 한다. 지구처럼 중심

    중앙일보

    2011.12.07 00:52

  • [NIE] 지구 역사 온전히 간직한 극지, 온난화 해결 열쇠 묻혀 있다

    [NIE] 지구 역사 온전히 간직한 극지, 온난화 해결 열쇠 묻혀 있다

    “지금껏 북극에 여덟 번 다녀왔어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얼음 위에 있는 북극곰을 봤는데, 요즘에는 바다에 떠내려오는 곰들을 주로 보게 되네요.” 극지연구소 남승일 박사의

    중앙일보

    2011.10.05 03:20

  • [세설(世說)] 휴경농 활용한 인공댐 만들자

    [세설(世說)] 휴경농 활용한 인공댐 만들자

    전성군농협안성교육원 교수 가뭄은 아무리 심해도 농사 피해에 그치지만 홍수가 나면 모두 씻겨가 남는 것이 없고 인명 피해도 엄청나다. 그래서 3년 가뭄에는 살아도 석 달 장마에는

    중앙일보

    2011.08.09 00:27

  • PREVIEW

    PREVIEW

    코코 샤넬저자 에드몽드 샤를-루역자 강현주 출판사 디자인이음가격 2만5000원여성을 코르셋에서 해방시키고, 바지를 입혀 자유롭게 만든 코코 샤넬. 디자이너로서는 성공했지만 사생활

    중앙선데이

    2011.05.28 00:04

  • [취재일기] ‘어뢰 붉은 멍게’ 진실 밝힌 이주

    [취재일기] ‘어뢰 붉은 멍게’ 진실 밝힌 이주

    김수정정치부문 기자 천안함 폭침 1주년인 지난달 말 난데없이 멍게 논란이 불거졌다. 인터넷 매체인 서프라이즈의 대표 신상철씨가 “천안함 어뢰추진체에 붉은 물체가 묻어 있는데 이는

    중앙일보

    2011.04.08 02:09

  • NASA가 중대 발표한 ‘비소 박테리아’의 의미

    NASA가 중대 발표한 ‘비소 박테리아’의 의미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스’가 2일(현지시간) 공개한 신종 박테리아 ‘GFAJ-1’의 모습. 이 박테리아는 캘리포니아주 모노 호수에서 발견됐다. [AP=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중앙일보

    2010.12.04 00:36

  • 중국인 영혼의 고향,신비로운 천하 명산

    중국인 영혼의 고향,신비로운 천하 명산

    1 황산을 상징하는 소나무·바위·운해가 어우러진 풍경. 중국 산수화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하다 모든 것을 갖춘 명산2003년과 2007년에 이어 얼마 전 다시 황산을 찾았다. 가랑

    중앙선데이

    2010.09.05 01:06

  • 손가락 절단할 위기, 거머리 덕분에 살았다

    구더기·벌·거머리 등 살아있는 생명체를 이용해 병을 치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수술보다 통증이 적고 마취가 필요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중앙포토] 고대 그리스의 의성(醫聖) 히포

    중앙일보

    2010.02.08 00:08

  • [e칼럼] 쥬라기 공원이 현실로…(3)

    [e칼럼] 쥬라기 공원이 현실로…(3)

    최근 과학자들이 멸종된 동물에서 추출한 DNA를 소생시키는데 성공함에 따라 공룡을 부활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공상과학영화가 현실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내용이다.그러

    중앙일보

    2010.01.05 09:44

  • 해변에 떠밀려온 괴물체에 관광객 혼비백산

    해변에 떠밀려온 괴물체에 관광객 혼비백산

    “어, 저게 뭐야? 오마이갓!” 영국 웨일스의 한 해변을 찾은 관광객들이 해변에 떠오른 괴물체를 보고 술렁였다. 괴물체에는 뱀처럼 생긴 촉수가 무수히 붙어 있었고 물결이 일렁일

    중앙일보

    2009.08.05 14:31

  • [사진] 신고합니다, 1068종 메콩강 식구들

    [사진] 신고합니다, 1068종 메콩강 식구들

    1. 굼프레히트 녹색 독사(Trimeresurus gumprechti)의 암컷은 눈이 노란색이다. 수컷의 눈은 짙은 빨간색이다. 2. 신종 늑대뱀(Lycodon cardamome

    중앙선데이

    2008.12.21 00:46

  • “화성에도 눈 내린다”

    “화성에도 눈 내린다”

    화성에 눈이 내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화성 탐사선 피닉스호가 화성 표면 협곡에서 토양을 채취하고 있는 사진을 미 항공우주국(NASA)이 지난달 29일 공개했다. NASA는 화성의

    중앙일보

    2008.10.01 01:57

  • [과학] 화성에서 지하 물길 흔적 발견

    화성의 적도 부근에서 수십억년 전 지하수의 물길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작은 지표면 균열들이 수백 개 발견됐다고 스페이스 닷컴이 보도했다. 미항공우주국(NASA) 과학자들은 화성탐사선

    중앙일보

    2008.09.29 09:19

  • ‘세계 환경 명소’ 꿈 부푼 우포늪

    ‘세계 환경 명소’ 꿈 부푼 우포늪

    환경부가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한 가시연꽃 잎 위에 앉아 먹이를 찾고 있는 우포늪의 백로. 백로는 긴 부리로 물속의 물고기를 낚아챈다. 아래 사진은 우포생태교육원을 찾은 초등학생들이

    중앙일보

    2008.09.24 03:26

  • 지리산 기행 ① - 숲길을 탐사하는 사람들

    지리산 기행 ① - 숲길을 탐사하는 사람들

    둘레둘레 느릿느릿 지리산의 가장 깊은 그곳으로… 전북 남원시 산내면 백일리. 그곳에 아주 특별한 건물이 한 채 있다. 언뜻 일반 주택 같은 그 건물은 이른바 ‘지리산의 숲길’을 탐

    중앙일보

    2008.07.28 16:26

  • [노트북을 열며] 공짜가 없는 세상

    제5회 환경영화제가 22일 서울 상암동 CGV상암에서 시작된다. 1주일간 30여 개국 160여 편이 상영된다. 영화제에 앞서 영국 BBC방송이 만든 다큐멘터리 ‘갈라파고스-불의 연

    중앙일보

    2008.05.22 00:44

  • [대한민국 구석구석] 갈대는 외롭지 않아, 새들이 있으니까

    [대한민국 구석구석] 갈대는 외롭지 않아, 새들이 있으니까

     대한민국이 좁다고 합니다. 변변한 볼거리가 없다고 합니다. 정말일까요? week&이 ‘그렇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과 함께 대한민국 구석구석을 찾아갑니다. 격주에 한 번, 세계

    중앙일보

    2007.11.01 14:39

  • 한강생태체험

    한강생태체험

    한강은 더 이상 성장과 발전만을 상징하지는 않는다. 이제 한강은 환경과 생태를 지향한다. 이를 위해 수목원처럼 아늑하고, 동물원이나 식물원처럼 온갖 생명체들이 살아 숨쉬는 자연의

    중앙일보

    2007.10.12 11:41

  • 中, TV 리포터 '괴물 네스' 사진 담았다

    中, TV 리포터 '괴물 네스' 사진 담았다

    15일자 중국 스테이트 프레스 측은 현직 기자인 Zhuo Yongsheng 텔레비전 리포터가 괴물 네스를 발견했다고 보도해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보도에 따르면 지방 저널

    중앙일보

    2007.09.18 09:20

  • [me] "돌아온 태권v … 한강의 활약 기대하세요"

    [me] "돌아온 태권v … 한강의 활약 기대하세요"

    1970년대를 주름잡았던 로봇 태권브이. 지구 정복을 꿈꾸는 붉은별 제국 말콤장군의 계략에 맞선 그의 활약은 전 국민을 열광케 했다. 태권브이는 물론 조종사인 훈과 영희 역시 국민

    중앙일보

    2007.05.07 21:52

  • [꿈나무] 뱀이 어떻게 생겼나 제대로 본적 있니?

    [꿈나무] 뱀이 어떻게 생겼나 제대로 본적 있니?

    개구리와 뱀 도토리 글, 이주용 그림, 보리, 92쪽, 2만5000원 그림책에 관심이 많은 엄마라면 '세밀화로 그린 보리 아기 그림책' 시리즈에 대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중앙일보

    2006.05.05 20:42

  • [과학칼럼] 더 이상 갈 곳 없는 야생동물들

    이웃 나라 일본 규슈 남단 이즈미시에는 매년 11월 중순부터 이듬해 3월까지 월동하기 위해 아시아 동북부에서 한반도를 경유해 날아오는 1만2000여 마리의 국제적 보호 조류 흑두

    중앙일보

    2005.11.24 21:02

  • [과학 칼럼] 조류독감과 불안 신드롬

    [과학 칼럼] 조류독감과 불안 신드롬

    가축을 포함한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질병을 일반적으로 인축공통전염병(人畜共通傳染病)이라 부른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축공통전염병으로는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중앙일보

    2005.10.14 11:07

  • [과학 칼럼] 조류독감과 불안 신드롬

    [과학 칼럼] 조류독감과 불안 신드롬

    가축을 포함한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파되는 질병을 일반적으로 인축공통전염병(人畜共通傳染病)이라 부른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축공통전염병으로는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중앙일보

    2005.10.13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