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0세기 나의 송사] 김윤식 서울대 교수

    알게 모르게 세대마다 좋아하는 아포리즘 하나쯤은 품고 살아가고 있지 않겠는가.어떤 세대에 있어 그것은‘도이치 이데올로기’(1888)의 저자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말한‘사람은 가슴마다

    중앙일보

    1999.12.14 00:00

  • 조선조 유일의 '여성군자' 정부인 안동장씨

    “아내로서 세상을 지키고 어머니로서 더 나은 세상을 준비했다.” 조선조 유일의 ‘여성君子’ 貞夫人 안동 張씨 여성君子’. 후대인들은 貞夫人 안동 張氏를 가리켜 이렇게 부른다. 이름

    중앙일보

    1999.11.15 16:36

  • [채널톱] 독일 문호 괴테의 연인-KBS2 'TV문화기행'

    □…TV문화기행 (KBS2 밤12시5분) = '괴테만의 사랑' .올해로 탄생 2백50돌을 맞은 독일의 대문호 괴테. 역작 '파우스트' 1, 2부에 바친 시간이 60여년에 이를 정도

    중앙일보

    1999.08.31 00:00

  • 이시대의 큰스승 김흥호 조명…동학들, 전집발간 나서

    사람들은 아침.점심.저녁 밥을 먹는다. 삼시 세때 먹고 하루를 그렇게 나누며 살아간다. 일식주야통 (一食晝夜通) .그러나 한끼만 먹어 낮밤을 트고, 즉 시간을 초월해 사는 우리시대

    중앙일보

    1999.06.03 00:00

  • 데뷔 30년 맞은 방송작가 김수현

    TV 화면에서 그대로 날아와 퍽, 퍽, 퍽 거침없이 안방에 꽂히는 말. 그 말들은 하고 싶었던, 또는 들키고 싶지 않았던 너와 나의 사연, 심정들이 되어 가슴 속에 쌓인 것들을 통

    중앙일보

    1998.12.11 00:00

  • [문화가 위험하다]4.스스로 무덤파는 비평

    "빈 껍데기인데도 잘 나가는 작품에 대해서 절대 비판해서는 안된다. 오로지 좋다는 칭찬만 해야 된다. 좋고 나쁨을 가리는 분별력이나 줏대가 있어서는 이 바닥의 돈과 권력을 쥘 수

    중앙일보

    1998.06.02 00:00

  • 영국 찰스 핸디 著 '헝그리 정신'

    자본주의가 복지증진에 크게 기여했지만 그 체제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인간성을 메마르게 한 것도 사실이다.런던대 교수 출신의 영국 경제평론가이자 작가인 찰스 핸디가 쓴 '헝그리 정

    중앙일보

    1998.04.10 00:00

  • [한주를 열며]인연 받아들이는 주체로

    불교인들은 죽지 않아도 될 석가가 죽었다고 믿는다. 석가는 부처가 돼 삶과 죽음의 굴레로부터 완전히 벗어났지만 혼자만 영원히 살아 있으면 중생들이 인생무상을 모르고 불도를 닦는데

    중앙일보

    1998.02.09 00:00

  • 요절작가 김소진 부인 함정임씨 소설 '동행' 발표

    "입덧으로 핼쑥해진 나를 더욱 미안스레 바라보는 그의 시선이 참기 어려워 나는 그 앞에서 구역질을 하지않으려고 안간힘을 썼다. 메스꺼움을 가까스로 안으로 삭이며 내 몸이 그의 딱딱

    중앙일보

    1997.08.19 00:00

  • '영화장면인가 현실인가' 공포物의 흐름이 달라진다

    귀신 이야기는 허구다.어쩌면 그것은 공포 소비자들의 믿음인지도 모른다.만일 그 약속이 깨진다면 어떻게 될까.허구의 경계선을 벗어나고 있는 귀신 이야기의 자극에 솔깃하지만-.돌아서서

    중앙일보

    1997.07.07 00:00

  • 22. 멕시코의 마야.아즈텍 문명

    태양과 정열의 나라,마야와 아즈텍의 고대문명과 스페인 문화가 복합된 다양한 문화를 갖고 있는 나라,산악에서부터 사막,정글,그리고 아름다운 해안에 이르기까지 완벽한 자연을 만날 수

    중앙일보

    1997.06.28 00:00

  • 문민시대 소시민의 삶 질타 - 이대환 소설집 '생선 창자 속으로 들어간 詩'

    “1회성 스트레스 해소의 수준에도 형편없이 미달한 채 오히려 관객들의 엔돌핀을 파괴한 문민(文民)의 극(劇)이 막을 내렸다.공허한 말의 성찬과 뺀질뺀질한 거짓의 연기.정말 지겨운

    중앙일보

    1997.06.17 00:00

  • 13. 보리수 그늘에서

    불교 4대 성지 중에서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얻은 부다가야의 보리수가 나는 가장 좋습니다.그의 탄생지인 룸비니 언덕의 아침해도 좋고 최초의 설법지인 사르나트의 잔디밭도 좋고,그가 열

    중앙일보

    1997.04.19 00:00

  • 각계 전문가 5人이 권하는 신년초 권장도서

    내일이면 정축년(丁丑年)첫날. 연말의 들뜬 감정을 가라앉히고 차분한 마음으로 새해를 맞이할 때다. 느릿느릿 하지만 믿음직스런 황소 발걸음처럼 한해를 시작하는데는 무엇보다 독서가 제

    중앙일보

    1996.12.31 00:00

  • 3.시인 오규원

    언어를 만든 것이 인간이었으므로 인간은 인간 마음대로 사물에이름을 붙이고 의미를 정하고,그리고 체계화했다.이 세계에서 인간이 아닌 어떤 존재도 그것을 방해할 수는 없었다.인간이 만

    중앙일보

    1996.04.08 00:00

  • "불멸과 소멸" 최수철

    93년 『얼음의 도가니』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던 문제작가 최수철(38)씨가 신작장편 『불멸과 소멸』을 펴냈다. 지난해말 범우사에서 상.하 2권으로 나온 이 소설은 생명의 탄생과 삶

    중앙일보

    1996.01.13 00:00

  • 평론 가작 당선소감

    주님께 감사드린다.그간의 내 삶은 그 분에 대한 길고 반복되는 배반과 돌이킴의 연속이었다.마음 속에서 들끓던 거짓「나」를놓아보내고 이제는 그분의,그분에 의한,그 분에 대한 사랑을

    중앙일보

    1996.01.05 00:00

  • 여든에 새시집"폭양에 무릎꿇고"낸 시인朴斗鎭

    조지훈(趙芝薰).박목월(朴木月)과 함께 우리 시사(詩史)에 청록파라는 서정의 시봉(詩峰)을 뚜렷이 올린 혜산(兮山) 박두진(朴斗鎭).목월과 지훈은 가고 없지만 그는 남아 우리나이

    중앙일보

    1995.11.20 00:00

  • "계몽의 변증법" 호르크하이머.아도르노 共著

    「진보」와「발전」,「이성」과 「실천」-.이 용어들은 근대 이후 인간의 삶과 사유에 필수적 전제를 이루어왔던 개념들이다. 이성으로 자연과 사회를 포착할 수 있으며,주체적 실천에 의해

    중앙일보

    1995.10.29 00:00

  • "아프면 낫는다" 공동철

    『병은 아파야 낫습니다.아픔은 병이 치료되는 신호지요.진통제를 먹고 아픔을 피해가는 것은 일시적인 도피가 될수는 있어도 완전히 병을 고치려면 삼가야 합니다.아픔을 몸으로 느끼는게

    중앙일보

    1995.06.04 00:00

  • 朴壽根 30주기展

    『김장철 소스리 바람에 떠는 나목(裸木).그러나 보채지 않고늠름하게,여러 가지들이 빈틈없이 조화를 이룬 채 서있는 나목,그 옆을 지나는 김장철 여인들.여인들의 눈 앞엔 겨울이 있고

    중앙일보

    1995.05.21 00:00

  • "블루"

    『블루(Blue)』의 주인공 줄리(줄리엣 비노쉬扮)역은 어느여배우라도 탐낼만하다.절망에 빠지고 혼자 감당하기 벅찬,아리도록 슬픈 인성(人性)을 가진 줄리는 연기자들에게 무척이나 매

    중앙일보

    1995.02.10 00:00

  • 프롬 遺稿集 "인간에 대한 믿음"출간

    심리분석학자이자 철학자인 에리히 프롬이 만년에 남긴 글을 모은 유고집"인간에 대한 믿음"(원제 Humanismus als reale Utopie)이 이달말께 도서출판 자작나무에서

    중앙일보

    1994.11.26 00:00

  • 서울연극제 감상포인트-"바라나시"김상열(극단 신시대표)

    인도 동북부에 위치한 바라나시는 가장 인도적인 도시.갠지스강을 끼고 있는 힌두성지의 하나로 인도각지의 병자와 불구자 노인들이 죽음을 앞두고 이곳에 몰려든다.화장후 갠지스강에 그 재

    중앙일보

    1994.09.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