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설악산 조난 시체발견

    【설악산=임시취재반】설악산 조난자 10명을 찾는 군경민합동수색대는 1일 하오 「죽음외계곡」남쪽 1백미터 빙폭아래 8미터 깊이의 눈속에서 시체 2구를 발굴했다. 수색대는 이날 낮1시

    중앙일보

    1969.03.01 00:00

  • 「텐트」속에서 잠자다 날벼락

    【설악산=임시취재반】「히말라야」등반의 꿈을 안고 설악산에서 훈련중 실종됐던 한국한악회 등반대원 10명은 실종죈지 16일만인 1일 하오 합동수색대에 의해 시체2구가 발굴되어 「텐트」

    중앙일보

    1969.03.01 00:00

  • 눈바람속에 발굴계속

    【설악산=감시취재반】설악산조난 합동수색본부는 검찰지휘로 28일 발굴작업을 재개했다. 경찰과 군·민합동수색대는 28일 상오9시30분 조난현장에 도착, 심한 눈바람을 무릅쓰고 눈을 파

    중앙일보

    1969.02.28 00:00

  • 작업진행에 혼선도

    【설악산=임시취재반】설악산조난대원의 수색작업은27일 각 산악회·민간인·군·경찰이 계통이 서지않고 일부민간인들의 공명심으로따로 작업을 진행하는등 혼선을빚고있다. 26일 「죽음의 계곡

    중앙일보

    1969.02.27 00:00

  • 설악산조난자 발굴작업 이틀째 계속

    【설악산=임시취재반】한국산악회 설악산조난수색본부는 26일에이어 27일상오에도「죽음의계곡」현장에서이틀째 발굴작업을 계속했다. 수색본부는 이날 단독으로 발굴작업을 강행하기위해 본부를

    중앙일보

    1969.02.27 00:00

  • 설악산조난 오늘부터┃발굴시작

    【설악산=임시취재반】군·경 및 산악대원으로 구성된 설악산수색대는 26일 아침 「죽음의 계곡」에 묻힌 조난자들의 시체발굴작업에 나섰다. 수색대는 이날 하루종일과 27일 상오중에 발굴

    중앙일보

    1969.02.26 00:00

  • 잔류대원들도 현양도착

    【설악산=임시취재반】설악동주민들의 현장발견소식이 전해지자 이곳 수색본부관계자들은 침통한 표정으로 선뜻 납득이 가지않는 눈치들이었다. 수색본부는 이소식을 전해듣고도 일절 입을열지않고

    중앙일보

    1969.02.25 00:00

  • 서독등반대 9명 히말라야산 도전

    【뮌헨24일 로이터동화=본사특약】9명으로조직된 서독등반대가 오는3월 최초로 「히말라야」산「아나푸르나」봉(8천미터)에 오르기위해 출발할 예정이라고 이곳에서 알려졌다. 서독산악회 창설

    중앙일보

    1969.02.25 00:00

  • 설악산조난자 장비발견

    【설악산=임시취재반】설악산등반대원들이 조난한 현장과 그들이 가졌던「자일」·무전기등이 24일새벽 산악회수색대원이아닌 설악동주민들에의해 발견됐다. 문동수(34) 전하식(41) 엄성일(

    중앙일보

    1969.02.25 00:00

  • 한가닥 희망 안고

    조난자의 수색을 포기하고 수색대가 철수한다는소식이 전해진 23일하오「파고다·호텔」5층 산악회사무실에는 조난자남궁기씨의 부인등 20여명의 가족들이 몰려와 철수를 항의하는소동을 벌였다

    중앙일보

    1969.02.24 00:00

  • 구조작업일지

    ▲17일하오3시10분=생존자8명이 하산, 구조요청. ▲17일하오4시=현지산악인·경찰출동. ▲18일=한국산악회 설악동신흥사에 구조본부설치, 한국산악회원 22명, 경찰20명, 육군「스

    중앙일보

    1969.02.24 00:00

  • 현장가보지도 못한채|설악산조난구조대철수안팎

    설악산조난자 수색작업은 23일 미군「헬리콥터」편으로 대청봉에 가있던 9명의 수색대원이 하룻만에 철수함으로써 사실상손을떼게됐다. 이번 사고는 우리나라에서 처음만난 눈사태로 생긴조난사

    중앙일보

    1969.02.24 00:00

  • 설악산구조대 일단철수

    【설악산=임시취재반】설악산「죽음의 계곡」에서 실종된 한국산악회 이희성씨(43·중령·육사병참참모)등 10명의등반대원들은 악천후를 무릅쓴 수색대원들의 1주일에걸친 수색활동도 보람없이

    중앙일보

    1969.02.24 00:00

  • 현장 접근 아직도 난관

    【설악산=임시취재반】설악산 조난자 10명을 찾는 수색은 21일 하오 눈이 멎어 헬리콥터에 의한 지형 정찰을 시작했으나 정찰 결과 비선대∼귀면암∼양폭까지의 꼴짜기에 20여개소의 눈사

    중앙일보

    1969.02.22 00:00

  • 눈에 묻힌「정상에의 도전」|「히말라야」정복의 꿈은 꺾이나

    【설악산=장창형·임병돈기자】 「히말라야」를 정복하려던 우리나라 산악인들의 꿈은 눈보라가 휘몰아친 설악산「죽음의 계곡」에서 18명중 10명이 조난, 첫시련에 부딪혔다. 한국산악회

    중앙일보

    1969.02.18 00:00

  • 등반일지

    ▲6일상오10시일설악산신흥사에서 이은상산악회장을비룻, 설악산악회장 이기섭박사, 당지 경찰간부참석아래 5개조로 분단 결단식. ▲6 일하오2시-B조 (박수명 변명수 박명강) 가 선발대

    중앙일보

    1969.02.18 00:00

  • 설악의 비극|등반대 조난화보|사진제공=안광옥씨

    눈이없을때는 앞사람의 발아래쯤에서 폭포가 시작되는데, 눈이 길길이 쌓여 폭포가 비스듬한 비탈길이 되었다. 여기쯤이 조난예상지점이아닌가 보는측도 있고.

    중앙일보

    1969.02.18 00:00

  • '설악산등반대 조난|10명 구조절망상태

    【설악산=장창영·임병돈기자】한국산악회 설악산등반대(대장 이희성중령·43·육사병참 참모) 18명이 설악산 「죽음의 계곡」서 해외등반 훈련을 하다가10명이 실종, 18일하오 3시현재

    중앙일보

    1969.02.18 00:00

  • 설악산 등반대의 조난

    구정을 전후하여 또다시 전국을 뒤덮은 폭설로 말미암아 각지에서 걷잡을 수 없는 희비쌍곡선이 빚어지고 있다. 중부·영남·호남일대에 내린 대설은 어른들에게는 보리풍년을 약속해 주는듯

    중앙일보

    1969.02.18 00:00

  • 산악사진 공모

    서울산악회는 산악사진을 공모하고 있다. 흑백사진은 무제한, 「칼라」사진은 3점이내로 명년1월31일까지 서울산악회(수표동 56의15)에서 접수한다.

    중앙일보

    1968.12.14 00:00

  • 산에 오르는 마음가짐 홍 종 인

    「가톨릭」읫과대학 산악부학생들이 설악산등반중 내설악계곡에서 때아닌 폭우를만나 7명의생명을 잃고 두명만이 겨우 사경을 빠져나왔다는 사건은 너무도 충격적이다. 해방직후로 수년전까지 한

    중앙일보

    1968.11.02 00:00

  • 설악산서 대학생조난

    【인제=정천수·김정찬기자】서울「가톨릭」대 등반대원9명이 설악산십이선녀탕(인제군북이면 용대리)에서 조난, 4명이 죽고 3명이 실종되었다. 2명은 구조되어 용대리부락 민가에서 가료를

    중앙일보

    1968.10.28 00:00

  • 등산대학생 조난

    18일하오3시30분 서울성북구도봉산 선인봉꼭대기를 동반하던 4명의 대학생 등반대원중 서울 문리대중문과3년 구명서군(23)이 「로프」를 놓쳐 높이 20미터되는 절벽사이에 떨어져 머리

    중앙일보

    1968.10.19 00:00

  • 성대생 11명이 조난

    【제주】24일 하오2시30분쯤 한라산에 올랐던 성균관대학생 사학과 4년생 18명중 11명이짙은 안개와 강풍에 갇혀 25일 낮까지 소식이 끊어졌다. 성균관대학교생 18명은 이날 상오

    중앙일보

    1968.09.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