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지개간에 부작용

    서울시내 변두리 고지대마다 마구파헤치고있는 개간공사에대한 서울시의 관리가 소홀하여 풍치미관은 고사하고 흙사태가 나는등 부근주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서울시는 고지대개간이 ①도시건

    중앙일보

    1969.09.09 00:00

  • 산사태막기 개간도 불허

    서울시는 장마 때의 산사태를 막고 서울 주변 산들의 자연미를 살리기 위해 앞으로는 개간허가를 일체 해주지 않기로 하는 한편 이미 허가했던 개간장도 7월30일 현재의 상태에서 그치도

    중앙일보

    1969.08.12 00:00

  • (213)물에 잠긴 강산…「연예」에 시달린다

    「상전이 벽해』가 되었다는 고장 그대로의 수해지대. 8일 상오 무섭게 깔린 먹구름사이로 햇빛은 물바다가 된 금강상류일대를 비웠다. 수해는 공주·부여·오치원 일대만이 아니다. 강원도

    중앙일보

    1969.08.09 00:00

  • 42시간만에 살아나

    【화천】58명이나 떼죽음을 당한 화천군의 폭우산사태속에서도 흙속에 42시간이나 묻혔다가 살아난 12세소년이 있다. 화천군화천면사리8반 큰어머니 고영숙여인(58·압사)집에서 화천국민

    중앙일보

    1969.08.02 00:00

  • 영동수해 구호늑장

    【화천=조성각·이해범·양정희기자】수마가 할퀴고 간 화천군을비롯 영동지방일대 6천8백56명의 이재민은 복구는커녕 긴급구호조차 제대로 되지않아 2일상오 산사태로 주저 앉은 폐허위에서

    중앙일보

    1969.08.02 00:00

  • 수해

    지난30일부터31일까지 서울을 비롯한중부와 영동지방을 강타한 집중폭우는 곳곳에서 많은 참사를 빚어냈다. 30일 강원도화천군에서는 산사태로 55명이 참사한 사건이 발생했으며 같은날

    중앙일보

    1969.08.01 00:00

  • 통신 거의 두절

    【춘천】30일밤 강원지방에 집중호우가 내려 15명이 죽고 5명이 실종, 4명이 부상, 가옥침수3백29동, 이재민2천95명을 냈다. 또한 춘천∼서울을 제외한 대부분의 육록 두절됐다.

    중앙일보

    1969.07.31 00:00

  • 강변도로 통금

    31일 상오2시부터 불어난 한강물로 한강철교 부근 유료고속도로가 물에 잠겨 31일상오 현재까지 차량통행이 금지되고 있다. 철교부근 유료도로는 한강수위가8m20cm가 되면 침수로 불

    중앙일보

    1969.07.31 00:00

  • 전국에 물난리

    중앙재해 대책본부는 이번 장마로 19일 정오현재 사망18명, 부상7명, 실종5명등 인명피해와 1천2백78명의 이재민, 그리고 4억7천만윈의 재산손실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피해내용

    중앙일보

    1969.07.19 00:00

  • 수방대책

    우리나라전역은 계절적인 장마철에 접어들었다. 이미 지난 6월중에 제주와 남부지방에 상륙했던 장마전선은 점차 발달해가면서 북상하여 이제 전국적으로 장마철에 들어선것이다. 장마철과 더

    중앙일보

    1969.07.18 00:00

  • 맨주먹대결 60년|충북 괴산면 자갈면 모래리|식목일에 빛을 받는 마을|벌거숭이 모래산을 피와 땀으로 정복한「푸른역사」

    충북괴산군사리면소담리-글자그대로 「자갈면 모래리」란 별명이 붙었던 이마을에는 식목일이 따로없다. 1년3백65일이 내내 식목일이라는 것이다. 60여년전 풀 한포기 찾아볼수 없었던 불

    중앙일보

    1969.04.05 00:00

  • 「해빙기위험」경계

    치안국은 날씨가 갑자기 풀리면서 얼음이 녹는데대비, 강가나 저수지, 웅덩이 얼음위에서 어린이들이 놀지못하도록 위험장소마다 경고판을 세우고 산사태 및 축대붕괴위험장소에 대한 사고예방

    중앙일보

    1969.02.10 00:00

  • 정선에도 폭설 탄광작업 중지

    【정선】 24일 하오8시쯤부터 정선에내린 눈비로 정선과 외계와의 교통(기차제외)통신망이 완전마비되었으며 정전으로인해 완전히 암흑에 싸여있다. 25일 정선지방엔 70밀리의 비가내린

    중앙일보

    1968.10.26 00:00

  • 원시적 수화의 원시적 수화의 접종

    23일 상오 0시부터 중부일원에 걸쳐내린 폭우로 서울·인천지방은 또다시 엄청난 수화를 입었다. 인명피해만도 24명이 참사하고 4명이 실종되었으며 1천6백여명이 집을 잃었다는 소식은

    중앙일보

    1968.08.24 00:00

  • 델로스의도시

    서울이 얼마나 「약체도시」인가는 23일의 수재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불과 173·1밀리의 비에 못 이겨 곳곳에서 산사태·침수소동이 일어났다. 봉천동선 한마을 18명이 떼죽음을 당

    중앙일보

    1968.08.24 00:00

  • 장마철 대비한 위험제거대책

    앞으로 장마철의 도래와 더불어 각종 건설공사 및 축대붕괴·산사태·가옥침수등의 위험이 크게 닥쳐올 것이 예상된다. 올해에는 특히 서울을 비롯한 전국도처에서 성급하게 벌여놓은 각종 건

    중앙일보

    1968.03.21 00:00

  • 중부 - 침수에 철로도 끊겨

    【청주】15일 하오부터 16일 상오9시까지 사이에 청주시내의 1백29밀리를 비롯, 도내 각 지역에 집중폭우가 내려 제방이 유실되고 축대가 무너지는 등 많은 피해를 내고 있다. 이날

    중앙일보

    1967.08.16 00:00

  • 화천·춘천댐 위험수위 육박

    【원주】산사태로 길이 무너져 춘천∼서울, 춘천∼원주간 교통이 20일 정오 현재 두절. 화천「댐」은 20일 정오 현재 수위가 1백70.25미터로 위험수위 1백81미터를 육박하고 춘천

    중앙일보

    1967.07.20 00:00

  • 동두천·가평 등지서 5백가구 침수

    【동두천】19일 하오 11시부터 20일 상오 2시30분 사이에 동두천지방에 폭우가 쏟아져 생연3·4·5리와 보산리 등지의 5백여 가구가 침수, 한밤중에 대피하는 등 소동을 벌였다.

    중앙일보

    1967.07.20 00:00

  • 「브라질」에 대홍수

    【리오데자네이로19일UPI동양】이곳에서 서쪽 3백52「킬로」떨어진 휴양도시 「카라구아타투바」에서 19일 홍수로 인한 산사태가 일어나 1백명 이상이 사망했다.

    중앙일보

    1967.03.20 00:00

  • 2도시를 유실 「브라질」홍수 "지도상 위에서 말살됐다'

    【리오데자네이로24일 UPI·AFP】「브라질」의 「리오데자네이로」주 정부 관리들은 24일 약 5백 명 내지 8백명이 지난 주말 수 개 지방을 휩쓴 호우와 홍수 및 산사태 등으로 사

    중앙일보

    1967.01.25 00:00

  • 절시타냐…아니냐|수입쿼터폐지

    현행 수입「쿼터」제를 전면 폐지로한 정부의 무역정책전환은 관련업계에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져 경제계에 찬반논쟁의 불씨를 던졌다. 박상공부장관은 「쿼터」제의 철폐원칙만을 명백히 했을뿐,

    중앙일보

    1966.11.15 00:00

  • 이에 최악의 홍수

    【런던4일로이터동화】「유엔」대륙과 북미대륙에 성급한 동장군이 휘몰아쳐 「이탈리아」에는 홍수, 「스위스」에는 산사태, 그리고 「캐나다」와 미국에는 눈보라를 갖다 주었다.

    중앙일보

    1966.11.05 00:00

  • 역광선

    경찰의 날, 톱으로 썰고 대패로 다듬어서 몽등일 지팡이로 만드는 날 되길. 민중당 전당대회, 민중은 무엇을 갈망하는가 묵도로 시작하시지. 원조불 집중방출, 포화량 50겸회수 목표.

    중앙일보

    1966.10.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