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금강산 斷想

    # 카메라 對 연날리기 DMZ를 건너 금강산 가는 길. 관광버스들이 갑자기 멈춰섰다. 한 버스에 인민군이 올라타 어느 관광객의 카메라를 노려봤다. "창밖을 촬영하는 걸 봤습네다."

    중앙일보

    2004.03.08 18:39

  • [문창극 칼럼] 박정희의 틀, 毛澤東의 틀

    전철을 탈 때마다 물밀듯이 밀려 오는 인파를 보면 중국이 떠오른다. 13억의 인구도 저렇게 살려고 몰려 나올 텐데 우리가 과연 그들보다 무엇이 나은가? 땅덩어리는 말할 것도 없고

    중앙일보

    2004.03.08 18:21

  • '통일문예인협회' 출범

    '통일문예인협회'(통문협)가 6일 오후 서울 안국동 느티나무 카페에서 공식 출범식을 열고 탈북자동지회 회보인 '탈북자들' 편집부장 장해성씨를 초대회장으로 추대했다. 문학.예술.출판

    중앙일보

    2004.03.07 19:42

  • [삶과 문화] 어느 학부모가 보낸 편지

    목화 솜털 같은 눈이 부소산을 소담스럽게 감싸던 날, 2000년 역사의 영화를 강물에 깊이 간직한 백마강은 소리없이 흐르고 있었다. 꽃꿩이 숨어 있는 백사장 갈대숲은 눈의 무게가

    중앙일보

    2004.02.27 18:44

  • [문창극 칼럼] '실미도' '태극기… ' 유감

    '실미도'가 1천만명을 돌파했고 '태극기…'가 5백만명을 돌파했다. 이 영화들의 영화사적 의미를 밝히는 일은 영화평론가들의 영역이다. 영화에 대해 별로 아는 것이 없는 사람이 특정

    중앙일보

    2004.02.24 09:36

  • [문창극 칼럼] '실미도' '태극기… ' 유감

    '실미도'가 1천만명을 돌파했고 '태극기…'가 5백만명을 돌파했다. 이 영화들의 영화사적 의미를 밝히는 일은 영화평론가들의 영역이다. 영화에 대해 별로 아는 것이 없는 사람이 특정

    중앙일보

    2004.02.23 18:35

  • [글로벌 아이] 속마음도 통역이 되나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라는 우리말 제목을 달고 외국영화 하나가 개봉됐다. 영화계의 거장 프랜시스 코폴라의 딸 소피아가 감독을 맡았다. 영화 제목은 물론, 평론가 대부분이 일본이란

    중앙일보

    2004.02.23 09:35

  • [글로벌 아이] 속마음도 통역이 되나요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라는 우리말 제목을 달고 외국영화 하나가 개봉됐다. 영화계의 거장 프랜시스 코폴라의 딸 소피아가 감독을 맡았다. 영화 제목은 물론, 평론가 대부분이 일본이란

    중앙일보

    2004.02.22 18:37

  • 佛 르 몽드紙 "'실미도' 한국軍 금기 깨뜨려"

    한국영화 초유의 흥행을 기록중인'실미도'가 한국 군(軍)의 금기를 깨뜨렸다고 프랑스 일간 르 몽드가 20일자로 보도했다. 르 몽드는 영화기사로는 이례적으로 국제면(4면) 4단을 할

    중앙일보

    2004.02.20 14:15

  • '태극기 휘날리며' '실미도'…'용공 영화' 공방

    '태극기 휘날리며''실미도''살인의 추억' 등 최근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한국 영화들이 19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논란이 됐다. 한나라당 김용균 의원은 이 영화들이 '좌경.용공적

    중앙일보

    2004.02.19 18:51

  • 영화 '실미도' 관객 1천만명 돌파

    영화 '실미도' 관객 1천만명 돌파

    편당 관객 1천만명이라는 한국 영화 초유의 기록을 세운 '실미도'의 성공 요인은 무엇보다 관객의 감동을 끌어낸 영화 내용에서 찾아야 한다. 하지만 한편의 영화가 전국민 4명 중 1

    중앙일보

    2004.02.19 18:23

  • "비전향 장기수와의 우연한 만남이 꼬박 12년 찍게 해"

    "비전향 장기수와의 우연한 만남이 꼬박 12년 찍게 해"

    제목:다큐멘터리 '송환'. 제작 기간:12년. 총 촬영 시간:8백여시간. 촬영에 쓰인 비디오 테이프:5백여개. 여기서 12년이란 말 그대로 12년이다. 제작비가 모자라는 등 사정

    중앙일보

    2004.02.18 17:57

  • [책꽂이] 인문.사회 外

    [책꽂이] 인문.사회 外

    ▨ 인문.사회 ◆ 사유의 열쇠(박이문 지음, 산처럼, 1만5천원)=언어.존재.형이상학.일원론.이원론.실재론.진리.합리성 등 철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설명한다. 인식의 문제와 철학사

    중앙일보

    2004.02.13 17:31

  • "북한 영화 서구진출 늘 것"

    "베를리날레 출품을 계기로 북한 영화의 서구 진출이 본격화할 것입니다." 3대 세계영화제의 하나인 베를린 영화제(베를리날레)에 사상 처음으로 북한 영화가 상영되도록 산파역을 맡았던

    중앙일보

    2004.02.12 10:26

  • [문화] '사마리아' 베를린영화제 호평 김기덕 감독

    [문화] '사마리아' 베를린영화제 호평 김기덕 감독

    "제 목표는 영화제에서 상을 타지 않는 것입니다. 영화제 수상작 감독이 된다는 것은 규격화된다는 것입니다. 그건 다른 감독에게 맡기고 난 지금처럼 논쟁적인 감독으로 남고 싶습니다

    중앙일보

    2004.02.11 18:38

  • "북한 영화 서구진출 늘 것"

    "베를리날레 출품을 계기로 북한 영화의 서구 진출이 본격화할 것입니다." 3대 세계영화제의 하나인 베를린 영화제(베를리날레)에 사상 처음으로 북한 영화가 상영되도록 산파역을 맡았던

    중앙일보

    2004.02.11 18:08

  • [삶과 문화] 영화평- 그 허튼소리들

    월남에서 영화 한편을 찍고 돌아온 이만희 감독은 경부고속도로가 무슨 색깔로 보이느냐고 물었다. 나는 카메라의 노출인 줄 알고 맑은 날은 하얗게, 흐릴 땐 검게 찍힌다고 했더니 자기

    중앙일보

    2004.02.10 18:40

  • 베를린 영화제에 北영화 출품

    북한이 제작한 영화가 베를린 국제영화제에 첫 출품돼 9일 관객들에게 선을 보였다. 조선예술영화 촬영소가 제작한 '푸른 주단 우(위)에서'란 제목의 영화는 매년 5월 1일 김정일 국

    중앙일보

    2004.02.10 18:09

  • 태극기 휘날리며

    태극기 휘날리며

    장동건·원빈 이라는 꽃미남 배우들이 출연하고 우리나라 영화사상 엄청난 물량을 퍼부어 만들어낸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가 승승장구 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꽃미남 딱지를 떼어

    중앙일보

    2004.02.09 11:33

  • [문화] 한국서 회고전 연 재일교포 영화감독 최양일

    "모국에서 회고전을 연다는 말을 듣고 '어느덧 내가 그런 나이가 됐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맙긴 하면서도 한편으론 노인이 된 것 같아 괴로웠지요. 그래도 젊은 관객과 함께 대

    중앙일보

    2004.02.09 08:44

  • 강원도의 힘!!! "거시기는 가라"

    지난해 개봉한 영화 의 최고 흥행요소는 영호남의 걸쭉한 사투리였다. 퓨전코믹사극을 표방한 이 영화 는 '거시기 신드롬'을 만들어 낼 만큼 특정지역민의 이심전심 사투리가 재미를 더했

    중앙일보

    2004.02.08 11:38

  • [ZOOM IN] 스크린 데뷔 김정화

    [ZOOM IN] 스크린 데뷔 김정화

    그녀를 모르면 간첩 ★★☆ (만점 ★ 5개) 감독:박한준 주연:김정화.공유 장르:코미디 등급:12세 홈페이지:www.spygirl.co.kr 20자평:'동갑내기…'를 능가하는 청춘

    중앙일보

    2004.02.05 15:38

  • 축구에도 '684부대'있었다

    축구에도 '684부대'있었다

    벌써 8백만명 가까운 사람들이 본 영화 '실미도'. 북한 무장공비들의 청와대 습격기도(1968.1.21)를 보복하려고 만들어진 비공식 특수부대의 비극이 36년이 지나 대박흥행의 소

    중앙일보

    2004.01.30 06:38

  •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미리 가 본 대보름 명소

    [체험 테마가 있는 여행] 미리 가 본 대보름 명소

    최근 달을 본 게 언제였더라. 뭐가 그리 바빴을까. 고층 빌딩 사이에 갇혀 아예 달을 잊고 있었나. 오랜만에 달마중 한번 나가자. 정월대보름(음력 1월 15일.올해는 2월 5일)이

    중앙일보

    2004.01.29 1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