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6.청산리전투보고서 작성 李仲實

    대한독립군 북만주 통신부원으로 이승만(李承晩)박사에게『청산리전투 보고서』를 제출한 이중실(李仲實)의 본명은 용화(容華)다.그는 1890년(고종 27년)9월9일에 태어나 1980년

    중앙일보

    1995.07.18 00:00

  • 36.靑山里전투보고서

    1920년 10월 독립군이 일본군과 싸워 커다란 승리를 거둔청산리전투에 참전했던 한 독립군 대원이 직접 작성한 『청산리전투 보고서』가 최초로 발견됐다.김좌진(金佐鎭)과 홍범도(洪範

    중앙일보

    1995.07.18 00:00

  • 청산리전투 참가 李雨錫옹 별세

    청산리전투 최후의 생존자인 독립운동가 李雨錫옹이 26일 오후5시 서울보훈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97세.함북경원태생인 李옹은 1919년 만세운동후 북로군정서에 가담,1920년10

    중앙일보

    1994.06.28 00:00

  • 보훈처,독립유공자 묘소실태 중국 현지조사

    국가보훈처가 지난달 26일부터 약 2주 동안 중국 吉林省.遼寧省 일대 30여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독립유공자 묘소실태 조사」결과 이들의 묘소는 한결같이 억새만 무성한,쓸쓸하고 초라

    중앙일보

    1993.11.11 00:00

  • 오늘의 소사

    ◇서일·김좌진, 만주에 북로군정서(북로군정서)수립(1919) ◇학술원 창립(1952) ◇북한, 박헌영 숙청 발표(1953) ◇엑스플로러 6호 위성, 우주에서 찍은 지구 모습 첫 전

    중앙일보

    1993.08.07 00:00

  • 기억하나요

    ◇청산리전투 승리(1920)=김좌진 장군이 이끄는 북로군정서의 2전5백 독립군이 만주 화룡현·청산리 백운평·천수평·마록구의 3차에 걸친 싸움에서 5만의 일본군을 대파. 이 싸움에서

    중앙일보

    1992.10.20 00:00

  • 홍범도 "「청산리 승리」주도적 역할"|독립운동사연 장세윤씨 논문

    「백두산 호랑이」로 불리는 독립운동의 영웅 홍범도 장군의 활동을 재조명하는 학계의 노력이 활발하다. 홍 장군은 전설적 영웅으로 칭송돼 왔지만 그의 활동은 체계적으로 정확하게 알려지

    중앙일보

    1992.01.28 00:00

  • 김좌진=1930년 만주에서 공산주의자의흉탄에 쓰러져 순국. 독립운동가로 13년 대한광복단에 가입했고 15년 독립군 자금을 모금하다 3년간 투옥. 17년 만주로 망명, 독립군을 조직

    중앙일보

    1992.01.24 00:00

  • 항일투쟁 서일 대종교 종사 손자 서경섭씨/광복후 고국땅에 첫발

    ◎“독립유공자 유족대우 기쁘다” 1920년대 만주에서 무장 항일투쟁의 구심체였던 북로군정서 총재로 청산리전투 승리를 뒷받침했고 민족종교 대종교 종사였던 백보 서일선생의 후손이 광복

    중앙일보

    1990.12.23 00:00

  • 청산리대첩 70돌… 유일한 생존 이우석옹

    ◎5백여 독립군이 3천 일본군 몰살/동지들의 제사상도 차리지 못하니… 『5백여명의 독립군이 3천여명의 일본군과 싸워 2천2백여명을 몰살시켰지요. 아군 피해는 50여명의 사상자에 불

    중앙일보

    1990.10.24 00:00

  • (8)박영석 국사편찬위원장의 정변|청산리 전투 그 날의 백골 아직도 증언

    중국 땅에서 맞은 광복 44돌 아침에는 광복절의 기쁨과 의의를 되새겨본다는 뜻에서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과 청산리 전투의 유적지률 답사하기로 했다. 나와 연변대학의 박창욱 교수, 김

    중앙일보

    1989.10.05 00:00

  • 교단창립 80돌 맞아 대종교 부흥 움직임 활 발

    대종교(총 전교 권태훈)는 올해로 중광 80주년을 맞아 민족종교로서의 위상을 새로이 정립하고 위축되었던 교단을 중흥시키기 위해 각종 기념행사와 사업을 펼치고 있다. 지난달 20일

    중앙일보

    1989.03.11 00:00

  • 사회·교양

    KBS 제1TV 『다큐멘터리』 (1일 밤 9시50분)=「독립군 병사 이우석 옹」. 청산리 전투 등 항일 무장 투쟁에 투신했던 독립군 병사 이우석 옹의 체험을 통해 북만주 일대의 독

    중앙일보

    1989.03.01 00:00

  • 조완구-임정·한독당의 마지막 "보루"

    『백범만 죽이지 말고 우리도 다 죽여서 같이 파묻어라!』 49년6월26일 낮 경교장에서 김구가 안두희의 흉탄 4발을 맞고 서거하자 조완구는 이렇게 절규했다. 이 절규는 해방 정국의

    중앙일보

    1989.03.01 00:00

  • 청산리대첩 때 첫 전술 도입

    제43회 광복절과 함께 개관 1주년을 맞은 독립기념관 측은 부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신용하)주최로 일제치하 당시 무장독립투쟁에 대한 국내 첫 학술심포지엄을 5일 오전 10시

    중앙일보

    1988.08.04 00:00

  • (글 문병호기자 사진 양원방기자) 나주나씨

    우리나라의 나씨는 모두 7본이다. 나주·금성·안정·군위·의성·비안·정산등 7본 .나씨 가운데 금성을 제외한 나머지는 나주나씨에서 갈라져간 분적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금성은

    중앙일보

    1983.11.12 00:00

  • 잃어버린 36년(18)-3·1운동(1)

    ○…『l일은 평양·진남포에 소요가 있어 평양부대를 출동시켰음. 2일엔 군원에서 폭도가 주재소를 파괴하고 경찰을 포박했기 때문에 구원을 위해 장교이하 약간명이 출동,…방금 입수한 정

    중앙일보

    1983.07.18 00:00

  • 청산리대첩 최후의 증인 이우석옹.

    『청산리전투가 있은 지 62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묻혀있던 책산리대첩이 이렇게 햇빛을 보게 되니 정말 감격스러워 눈물이 납니다』 24일 한국독립유공자협회(회장 조경한)와 민족발전

    중앙일보

    1982.11.25 00:00

  • (3565)|제79화 육사졸업생들(18)|북로군정서-장창국

    김좌진·이범석 장군의 생애는 나라를 잃고 쫓기던 우리 애국지사들의 비극적 이력을 대변하는 모델이라 할만하다. 3·1운동 후 30세 때에 김장군은 북로군정서의 총사령관이 되어 당시

    중앙일보

    1982.11.16 00:00

  • 홍범도의 독립군, 일 헌병대 기습

    □…KBS제1TV 『기록드라머』 (4일 밤8시30분)= 「우등불」제1부 밤에만 흐르는 두만강. 홍범도가 이끄는 독립군이 두만강을 건너 온성의 헌병대를 기습, 2명의 일본헌병을 처단

    중앙일보

    1982.11.04 00:00

  • "청산리 항일전투의 「큰뜻」을…"-본사에 줄잇는 독립기념관 성금

    ○…『만주벌 청산리 큰싸움에서 적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할아버지의 항일정신과 기개를독립기념관에 담고 싶습니다.』 1920년9월 청산리전투에서 북로군정서 총사령관으로 일본군을 대파,

    중앙일보

    1982.09.17 00:00

  • 연주 현씨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소월의 명시 「진달래꽃」으로 널리 알려진 평안북도 영변의 옛 이름은 연주. 연주 현씨는 바로 이곳 영변에서 8백여 년

    중앙일보

    1982.02.20 00:00

  • (2)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나|백야 김좌진 장군 손자 김경민-현성씨

    청산리 전투에서 북로군정서 총 사령으로 일본군을 대파한 재만 독립운동의 최고지도자였던 백야 김좌진 장군의 후손들이 서울 상도1동48 백운암 위 산꼭대기에서 그것도 10평도 채 안

    중앙일보

    1981.08.18 00:00

  • (613)제28화 북간도(33)

    25년 고비로 북간도서의 독립군의 기세는 차차 시들어갔다. 독립군들은 하나둘 검거되거나 아예 「러시아」로 망명, 돌아오지 못하게 되었다. 20년 초기엔 돈화를 근거지로 했던 독립

    중앙일보

    1972.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