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특별초대석] “이제 글로벌 외식기업으로 간다”

    외식 프랜차이즈 (주)놀부가 5월로 창립 20주년을 맞았다. 사람으로 치면 약관에 불과하지만 놀부의 외형은 벌써 가맹점 610여 개, 연매출액 5,500억 원을 기록하며 업계 리

    중앙일보

    2007.04.29 04:06

  • 거리의 학문 복권시킨 ‘미신업계 박사’

    거리의 학문 복권시킨 ‘미신업계 박사’

    사주팔자, 풍수, 점(占)을 주특기로 가진 강호(江湖) 동양학자 조용헌. 조선시대와 일제와 근대를 거치며 탄압받아온 우리 이야기들을 오늘에 되살린다. 제도권의 눈으로 보자면 미신

    중앙선데이

    2007.04.15 06:48

  • "외국인 전임교수 고작 10명 영어 강의 적어 들을 게 없다"

    "외국인 전임교수 고작 10명 영어 강의 적어 들을 게 없다"

    "영어 강의가 너무 적어 원하는 주제가 아니라도 영어로만 하면 무조건 수업을 들어야 할 판이다."(독일 출신 자연대 교환학생) "고시생들이 도서관에 아주 살림을 차렸다. 자리가

    중앙일보

    2007.02.01 04:50

  • 2007년 한반도 정세를 전망한다

    2007년 한반도 정세를 전망한다

    2006년은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한반도 주변 안보환경뿐 아니라 동북아시아 지역 국제관계에 지각변동적 변화가 일어난 불행한 한 해였다. 국제사회가 인정하든 안하든 북한이 사실상

    중앙일보

    2007.01.01 04:31

  • [월요인터뷰] 취임 100일 맞은 이장무 서울대 총장

    [월요인터뷰] 취임 100일 맞은 이장무 서울대 총장

    서울대 제24대 이장무 총장이 취임한 지 100일을 맞았다. 그는 언론과의 첫 인터뷰를 중앙일보와 했다. 때마침 올해는 서울대 개교 60주년이다. 인생으로 치면 서울대는 이제 한

    중앙일보

    2006.11.06 04:28

  • 리커창 등 '공청단' 출신이 주력

    리커창 등 '공청단' 출신이 주력

    1990년대 중국 정계를 주름잡았던 상하이방(上海幇)이 천량위(陳良宇) 상하이 당서기의 전격 해임으로 몰락하면서 차세대 정치 지도자 그룹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중앙일보

    2006.09.27 05:16

  • 대학, 이래야 살아 남는다 ②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대학, 이래야 살아 남는다 ②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지난달 16일 오후 2시 중국 베이징대 경영전문대학원(MBA)인'광화관리학원(光華管理學院)'강의실. "'좋은 남자는 여자와 논쟁하지 않는다(好男不和女鬪)'는 중국 속담이 있어요.

    중앙일보

    2006.06.27 04:51

  • [World@now] 7일부터 대입 '수능' 치리는 중국

    [World@now] 7일부터 대입 '수능' 치리는 중국

    지난해 6월 중국 베이징 81중학교에서 수능시험 격인 가오카오가 치러지는 동안 정문 앞에서 수험생 부모들이 자녀의 고득점을 기원하고 있다. [출처=시나 닷컴] 7, 8일 중국에선

    중앙일보

    2006.06.07 05:22

  • '포스트 후진타오' 뜬다

    '포스트 후진타오' 뜬다

    중국 지도층 내부에서 실력과 인맥으로 무장한 차세대 그룹이 부상하고 있다. 홍콩의 시사지 광각경(廣角鏡)과 중국의 남방주말(南方周末)은 최근 후진타오(胡錦濤·63)국가주석의 세대를

    중앙일보

    2005.12.28 04:54

  • [아시아 人] '부패관리 파면운동' 리바이광

    [아시아 人] '부패관리 파면운동' 리바이광

    지난해 12월 17일 오전 9시20분 중국 푸젠(福建)성 푸저우(福州)시 창산(倉山)구 인민법원 앞. 영하 16도의 삭풍이 살을 에는 날이었다 . 그 혹한 속 법원 정문 앞 길바닥

    중앙일보

    2005.06.27 05:41

  • [사람 사람] "중국, 알고 가야 실패 안합니다"

    [사람 사람] "중국, 알고 가야 실패 안합니다"

    '위협'이자 '기회'인 나라 중국. 하지만 한.중 수교(1992년) 이후 꿈에 부풀어 달려간 한국 기업 3만여 개 중 60%가 실패를 맛봤다. 중국에 대한 무지와 성급함 탓이다.

    중앙일보

    2005.04.04 18:46

  • 갈루치 전 북핵대사 "미국, 북핵 유출 땐 군사적 대응"

    갈루치 전 북핵대사 "미국, 북핵 유출 땐 군사적 대응"

    빌 클린턴 미 행정부에서 북핵 협상을 이끌었던 로버트 갈루치 전 북핵대사(조지타운대 국제대학 학장)가 29일 방한했다. 조지타운대 한국 동문회 초청으로 방한한 갈루치 전 대사를 3

    중앙일보

    2005.03.31 07:02

  • 서울대 '미국 박사' 배출 미국대학 제외 세계 1위

    서울대가 미국에 있는 대학을 제외하고는 미국 박사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해외 대학으로 조사됐다. 한국대학신문은 10일 미국 고등교육 전문 주간신문인 '크로니클 오브 하이어 에듀케이

    중앙일보

    2005.01.10 18:35

  • [CEO!] 현대차·SK 리더학

    [CEO!] 현대차·SK 리더학

    ▶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왼쪽)이 지난달 미국 앨라배마 공장을 방문에 현지에서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살펴보고 있다. *** KIA 올해 현대자동차 그룹은 자동차 업계에서 탁월한

    중앙일보

    2004.12.07 15:21

  • [아시아 강소기업에 배운다] 6. DNA칩의 캐피탈바이오칩

    ▶ 캐피탈바이오칩은 지난달 24일 칭화대, 국가지정 바이오칩개발센터, 중국 과학기술부와 공동으로 '국제 바이오칩 포럼'을 열었다. 회사 로비에 전시해 놓은 캐피탈바이오칩 제품들을

    중앙일보

    2004.10.31 17:35

  • [세계는 한국어 공부중] 2. 한국어를 배우러 찾아오는 외국인들

    [세계는 한국어 공부중] 2. 한국어를 배우러 찾아오는 외국인들

    ▶ 서강대 한국어교육원에서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어 교사와 함께 토론 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서강대 한국어교육원] "한가이마! 옥사나! 응웬! 왕단롄!…." 지난달 14

    중앙일보

    2004.10.07 18:04

  • [위기의 이공계] 3. 산업 현장의 엇박자

    [위기의 이공계] 3. 산업 현장의 엇박자

    ▶ 이공계 인력은 넘치는데 입맛에 맞는 사람이 없다는 기업들의 불만이 많다. 사진은 대전에 있는 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가 채용한 러시아 기술자들이 한국인 직원과 일하는 모습. [대

    중앙일보

    2004.07.07 18:23

  • 中 최초 냉동난자 시험관아기 출산

    중국에서 처음으로 냉동 난자를 이용한 인공수정 아기가 지난 4월 29일 태어났다고 베이징청년보(北京靑年報)가 11일 보도했다. 베이징대학 제1병원 생식.유전 센터 리샤오훙(李曉紅)

    중앙일보

    2004.05.12 15:52

  • [서울 라운지] '정보 첨병' 주한 외교관

    [서울 라운지] '정보 첨병' 주한 외교관

    이젠 서울이 아시아의 외교 중심이다. 6자회담 이후 뚜렷해진 변화다. 한 일본 외교관은 "서울을 통해 평양.베이징(北京), 그리고 워싱턴을 본다"고 말할 정도다. 그뿐만 아니다.

    중앙일보

    2004.04.01 18:48

  • [사람 사람] "이름 뿐인 박사보다 전문대가 실속 있어"

    [사람 사람] "이름 뿐인 박사보다 전문대가 실속 있어"

    "전문대 졸업장이 이름뿐인 박사학위보다 더 실속있을 것 같았습니다." 국내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던 중국인 유학생이 전문대에 입학해 눈길을 끌고 있다. 올 입시에서 대덕대

    중앙일보

    2004.03.18 17:42

  • '한국전쟁 종전 50년 의미와 과제' 한미 세미나

    '한국전쟁 종전 50년 의미와 과제' 한미 세미나

    ▶ 23일(현지시간) 통합신당 김덕규 의원이 미국 미주리주 켄사스시티에서 열린 한국전쟁 종전 5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미국과 우리의 동맹군이 한국에 대해 한

    중앙일보

    2003.10.24 08:53

  • 美서 핵폭탄 제조 참여說

    호주의 일간지 주말판 '위크엔드 오스트레일리언'이 미국으로 망명했다고 19일 보도한 경원하 박사에 대해 국내에서는 그가 핵과학자인지와 과연 망명했는지에 대해 엇갈리는 주장들이 제기

    중앙일보

    2003.04.20 21:27

  • [중국 칭화대총장 초청 좌담]"중국 파워 엘리트는 理工系 출신"

    수많은 이공계 인재들을 배출함으로써 중국의 발전을 이끌고 있는 칭화(淸華)대 왕다중 총장이 한국에 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연구·교육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王총

    중앙일보

    2002.10.31 00:00

  • '책읽는 중국'13억 시장 문이 열린다

    중국의 출판계도 세계의 중심으로 떠오를 것인가. 5월 24일부터 28일까지 열린 제9회 베이징(北京)국제도서박람회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이후 열린 첫 대규모 국

    중앙일보

    2002.06.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