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포항 '첨단소재 특구' 지정 총력전

    포항 '첨단소재 특구' 지정 총력전

    ▶ 지난 10일 포항시청 민원실에서 시민들이 ‘포항 첨단소재 특구’ 지정을 촉구하는 서명을 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첨단소재 연구개발(R&D) 특구'지정을 위해 포항시가 팔을

    중앙일보

    2004.10.18 20:27

  • 포항공대에 국립암센터

    포항공대에 국립암센터 분실이 생긴다. 포항공대는 23일 국립암센터와 '포항공대-국립암센터 상호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대학에 '국립암센터 포항공대 분실'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2004.07.22 20:49

  • 포항에 나노기술센터 들어선다

    국책사업인 '나노기술집적센터'가 포항에 들어선다. 11일 경북도에 따르면 산업자원부는 지난 9일 나노.반도체위원회를 열고 나노기술집적센터(이하 나노센터) 사업자로 경북도 컨소시엄(

    중앙일보

    2004.07.11 20:22

  • [사이언스 브리핑]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 外

    [사이언스 브리핑]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 外

    ◆21세기 프런티어연구개발사업단의 하나인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은 지난 9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청계천 유역 물순환 해석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

    중앙일보

    2004.03.10 15:22

  • '발기' 단백질 제대로 작동 시키는 신물질 단서 찾아

    "훌륭한 인적자원, 방사광가속기와 같은 좋은 인프라, 신약개발 노하우, 그리고 벤처정신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조중명(55.사진) 크리스탈지노믹스 대표는 모든 공을 직원들에게

    중앙일보

    2003.09.04 10:25

  • '발기' 단백질 제대로 작동 시키는 신물질 단서 찾아

    "훌륭한 인적자원, 방사광가속기와 같은 좋은 인프라, 신약개발 노하우, 그리고 벤처정신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조중명(55.사진) 크리스탈지노믹스 대표는 모든 공을 직원들에게

    중앙일보

    2003.09.04 06:30

  • e-실험실이 열린다

    생명공학자들은 단백질의 정밀한 입체 구조를 분석하려면 포항 방사광가속기를 찾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밝은 빛을 내는 거대 연구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시료를 싸들고 가 며칠을 현지에

    중앙일보

    2003.07.30 16:03

  • [이슈] 대형 공동연구시설 첨단기술 산실로

    앞으로 3~4년 뒤면 거대 공동연구시설이 대대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연구 환경도 그 어느 나라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가동 중인

    중앙일보

    2003.07.23 15:42

  • 세계 최정밀 반도체 표면 검사기 개발

    국내 연구진이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반도체 표면 검사장치를 개발했다. 주인공은 연세대 염한웅(물리학과) 교수 연구팀.'광전자분광장치'라는 종래의 표면 검사기기를 크게 개량했다. 물

    중앙일보

    2003.04.09 16:06

  • [과학과 미래] IT·BT 분야마다 기술융합 바람

    올해는 어떤 기술이 주목받을까. 전문가들은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을 비롯한 각 기술의 융합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 대표적인 초소형화 기술로 떠오른 마이크로 다기능 칩(L

    중앙일보

    2003.01.08 16:47

  • 금강산 댐이 샌다면…

    한국원자력연구소 RI·방사선응용연구팀장인 진준하 박사는 남북한이 금강산댐의 누수 여부를 공동 조사한다면 방사성 동위원소를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

    중앙일보

    2002.05.23 00:00

  • 지놈 입체구조의 비밀 '양성자 가속기'가 푼다

    DNA와 인슐린 등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것이 포스트 지놈 시대를 여는 열쇠 중 하나다. 신약 개발이나 유전자 치료, 장기 복제 등이 훨씬 쉽고 정교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슐

    중앙일보

    2001.11.12 09:42

  • 지놈 입체구조의 비밀 '양성자 가속기'가 푼다

    DNA와 인슐린 등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것이 포스트 지놈 시대를 여는 열쇠 중 하나다. 신약 개발이나 유전자 치료, 장기 복제 등이 훨씬 쉽고 정교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슐

    중앙일보

    2001.11.12 00:00

  • 박테리아 `SurE' 단백질 구조 규명

    국내 연구진이 내열성 박테리아인 `써모토가''(thermotoga maritima)균이 생존을 위해 분비하는 단백질인 `SurE''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포항가속기

    중앙일보

    2001.09.25 11:38

  • [세계 지식인 지도] '거대과학' 의 기수들

    20세기 물리학이 이룬 성과로 가장 눈부신 것 중 하나는 우주 만물의 구성 요소를 찾는 소립자 물리학이며 이 연구에 필요한 장치가 가속기다. 발명 초기 실험실 책상에 놓일 정도로

    중앙일보

    2001.04.19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거대과학' 의 기수들

    20세기 물리학이 이룬 성과로 가장 눈부신 것 중 하나는 우주 만물의 구성 요소를 찾는 소립자 물리학이며 이 연구에 필요한 장치가 가속기이다. 발명 초기 실험실 책상에 놓일 정도로

    중앙일보

    2001.04.18 17:26

  • 4월부터 연구비 카드제 도입

    기업이나 대학연구소의 연구비 지출내역이 유리알처럼 투명해질 전망이다. 과학기술부는 그동안 현금으로 사용했던 소액 지출 연구비를 신용카드 형태의 연구비 법인카드로 집행하는 연구비 카

    중앙일보

    2001.03.22 13:14

  • 유전자 구조 수초만에 알아낸다

    포항 방사광가속기로 연구하려는 과학자들은 이 가속기 사용 신청서를 쓸 때부터 바짝 긴장한다. 워낙 경쟁이 치열해 각종 사례를 들어가며 연구과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래도 마음이 안

    중앙일보

    2000.11.07 00:00

  • 유전자 구조 수초만에 알아낸다

    포항 방사광가속기로 연구하려는 과학자들은 이 가속기 사용 신청서를 쓸 때부터 바짝 긴장한다. 워낙 경쟁이 치열해 각종 사례를 들어가며 연구과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래도 마음이 안

    중앙일보

    2000.11.06 19:12

  • 단백질결정 실험 국내서도 가능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의 결정구조를 밝히는 실험이 국내서도 가능해진다. 빛을 만들어내는 공장인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白聖基) 는 30일 오후 2시 단백질의 결정구조를 밝히는데 활용

    중앙일보

    2000.10.30 19:32

  • 포항가속기연구소 '단백질결정학' 빔라인 완공

    포항가속기연구소(소장 백성기.白聖基)는 30일 국내 처음으로 단백질의 결정구조를 밝히는데 활용되는 ''단백질 결정학'' 빔라인 준공식을 갖고 올 연말까지 시운전을 거쳐 내년부터 국

    중앙일보

    2000.10.30 10:46

  • 단백질결정실험 국내서도 가능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의 결정구조를 밝히는 실험이 국내서도 가능해진다. 빛을 만들어내는 공장인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白聖基) 는 30일 오후 2시 단백질의 결정구조를 밝히는데 활용

    중앙일보

    2000.10.30 09:54

  • 포항공대, 고교생 현장학습 등 인기

    포항공대가 여름방학중 고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현장학습.학과탐험 등이 고교생과 교사들로부터 인기다. 서울 과학고와 한성과학고 2학년생 1백70여명, 교사.학부모 등은 각각 11~

    중앙일보

    2000.07.10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