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양미술 400년'전 랭스미술관 리오 관장

    '서양미술 400년'전 랭스미술관 리오 관장

    ▶ 다비드 리오(45)▶ 앙리 마티스가 1946년 77세에 제작한 가위 그림 '재즈-어항에서 수영하는 여자'. 선과 색의 충돌을 절묘하게 조화시켰다. '서양미술 400년-푸생에서

    중앙일보

    2004.12.27 17:23

  • '영화로운' 156편 모였다

    '영화로운' 156편 모였다

    ▶ 개막작 ‘털스루퍼의 가방’, ‘반액요금’, ‘기계적 발레’, ‘레고와 영화가 만났을 때’(사진위에서부터) 그림이나 사진을 넘어서는 새로운 이미지를 담은 매체로 한세기 전엔 뉴미

    중앙일보

    2004.09.13 18:53

  • [책꽂이] 미술 읽기 外

    [책꽂이] 미술 읽기 外

    파블로 피카소는 쓱쓱 해치우는 듯 보이는 자신의 그림 솜씨가 하늘에서 떨어진 것이 아니라며 한마디 했습니다. “사람들은 내가 이런 데생을 5분 만에 그려낸다고 말하지. 하지만 내

    중앙일보

    2004.04.30 21:09

  • [인문·지성] “백의민족이여, 이젠 안녕”

    [인문·지성] “백의민족이여, 이젠 안녕”

    ▶ 분위기와 맛에서 대조를 이루고 있는 일본(左)과 한국의 미인도(일본 오쿠라 콜렉션 소장) 문화평론가 강영희씨는 지난 주말 나온 『금빛 기쁨의 기억』 한 권을 가슴에 품고 최완수

    중앙일보

    2004.04.23 17:42

  • [프리뷰&리뷰] "한국엔 자생적 미술이론이 없다"

    [프리뷰&리뷰] "한국엔 자생적 미술이론이 없다"

    "한국에는 자생적인 미술이론이 없다." 미술평론가이자 미학자인 강성원(49.계원조형예술대 겸임교수.사진)씨가 조용하고 느른한 한국 미술계를 향해 한마디를 던졌다. 미술판에서 생각

    중앙일보

    2004.03.02 17:25

  • [인문/지성] 난해한 '~이즘'을 쉽게 현대미술 길잡이

    [인문/지성] 난해한 '~이즘'을 쉽게 현대미술 길잡이

    지난 1백년은 미술사에서 '주의(主義)'의 시대였다. 20세기 현대미술은 이론에 크게 의존했고 새로운 이즘(ism)과 운동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이론의 힘이 너무 세져 그림과

    중앙일보

    2003.12.12 17:20

  • ['이우환-만남을 찾아서' 展] 이어령 중앙일보 고문과의 만남

    16일까지 서울 순화동 호암갤러리와 태평로 로댕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이우환-만남을 찾아서'는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과 유럽에서 활동하며 화가.조각가.이론가로서 우뚝 선 이우환(6

    중앙일보

    2003.11.02 17:42

  •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 순례] 1. 경기 광주 금사리 '백자 달항아리' 가마터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 순례] 1. 경기 광주 금사리 '백자 달항아리' 가마터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로 온 국민에게 국토와 문화유산의 의미를 감동적으로 서술한 유홍준 교수가 이제 '국토박물관 순례'라는 제목 아래 "우리나라는 전 국토가 박물관"이라는 그의 주

    중앙일보

    2003.10.16 17:43

  • [지식계의 새 물결] 6. '오리엔탈리즘'과 그 이후

    [지식계의 새 물결] 6. '오리엔탈리즘'과 그 이후

    사이드가 떠났다. 그러나 경계를 초월하고 사고(思考)와 분석의 장기적 결과를 기대하던 그의 정신은 죽음의 물리적 경계를 넘어서 오랫동안 이 세상에 남아있으리라. 20개가 넘는 언

    중앙일보

    2003.10.05 16:32

  • [200자 서평] '아동의 탄생' 外

    [200자 서평] '아동의 탄생' 外

    '아이'라는 단어에 담긴 의미는 ◇아동의 탄생(필립 아리에스 지음, 문지영 옮김, 새물결, 2만5천원)=중세까지만 해도 아이들은 귀여움의 대상이 아니었다. 단지 작은 어른 정도로만

    중앙일보

    2003.10.01 09:47

  • 5월 타계한 佛미술비평가 추모제 열려

    12일 오후, 자르디니 공원 안에 있는 프랑스 국가관 앞에서 눈길을 끄는 행사 하나가 열렸다. 지난달 28일 일흔 세살로 타계한 프랑스의 미술비평가 피에르 레스타니의 추모제였다.

    중앙일보

    2003.06.17 17:19

  • [삶과 추억] 고 김영기 화백

    전통 한국화단의 마지막 적자(嫡子) 중 한사람으로 손꼽히는 청강(晴江) 김영기(金永基)옹이 지난 1일 오후 9시30분 경기도 용인 수지읍 자택에서 타계했다. 92세. 근대화단의 거

    중앙일보

    2003.05.02 17:57

  • [행복한 책읽기 4월의 추천도서]

    [행복한 책읽기 4월의 추천도서]

    중앙일보 출판팀은 지난 3월 8일부터 29일까지 북섹션에서 소개했던 책 가운데 4월의 추천도서 12권을 골랐습니다. 서평자문위원회와 함께 선정한 추천도서는 북새통 제휴서점, 교보문

    중앙일보

    2003.04.11 16:57

  • [문화 단신] 현대미술 수강생 모집 外

    *** 현대미술 수강생 모집 국립현대미술관은 제23기 현대미술아카데미 수강생을 모집한다. 모집인원은 미술이론과 실기교육 분야 4백40명. 미술이론의 경우 미술사 등을 배우며, 실기

    중앙일보

    2003.02.09 19:17

  • [북 카페] 'SXE-잃어버린 자유, 춘화로 읽는 성의 역사'

    SXE-잃어버린 자유, 춘화로 읽는 성의 역사/스티븐 베일리 등 지음/안진환 옮김, 해바라기, 3만8천원 1996년 모 미술재단이 제작한 고급 수제본 춘화집(春畵集)이 비매품 형태

    중앙일보

    2003.01.10 16:23

  • 2003 대입 정시모집 학과.학부별 정원

    순천향대 어문학부 107 교육과학부 46 특수교육과 10 연극영화학 40 무용전공 38 애니메이션 30 경영학부 77 경제금융보험 48 법정학부 63 신문방송·사회복지 52 수학

    중앙일보

    2002.12.03 00:00

  • 單色調 평면회화 '뜯어보기'

    '모노크롬'이란 단어는 1970년대 한국 화단을 주도했던 집단적 회화 양식을 부르는 이름이다. 흔히 '단색조'라 옮기지만 '평면적인 흰색 화면'이라 간단히 치워버리기에는 만만치

    중앙일보

    2002.11.20 00:00

  • "일제가 뿌리내린 美學 한국적 美感 단절시켰다"

    한국에 미학과 미술사의 씨를 뿌린 건 일제 강점기 일본 학자들이었다. 1924년 조선총독부가 서울에 경성 제국대학을 설립해 미학 강의를 시작한 지 78년. 지난 11일부터 14일

    중앙일보

    2002.10.23 00:00

  • 원시성, 그 단순한 아름다움

    미술사학자 에른스트 곰브리치가 지난해 타계하기 몇 개월 전에 탈고한 원고가 『원시성 선호』 (The Preference for the Primitive·파이돈 출판사)라는 제목으

    중앙일보

    2002.09.30 00:00

  • 책꽂이

    ◇장자평전(왕꾸어똥 지음, 신주리 옮김,미다스북스, 1만5천원)=지금까지 나온 연구서들과 달리 과학성과 진보성에 초점을 맞춰 시대에 앞서가는 계몽사상가, 산문문학의 새로운 장을

    중앙일보

    2002.09.28 00:00

  • 제작과정 시연 관심집중 엄마와 동참 프로도 인기

    note:미술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실기와 이론 공부로 나눌 수 있다. 그림이나 조각· 판화·서예 등을 직접 배우는 실기 과정은 국립현대미술관 현대미술관회(02-502-5670)·예

    중앙일보

    2002.08.16 00:00

  • 확 뜯어고쳐야 할 '한국적 美 = 슬픔'공식

    3·1운동 직후인 1919년 5월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당시로선 극히 이례적인 글이 실리게 된다. 일본 문화는 조선의 은혜를 입었다는 파격적 주장이었다. 나라(奈良)박물관의 전시품

    중앙일보

    2002.08.03 00:00

  • 야나기 '民藝論'엔 인간이 없다

    민예론의 주창자 야나기 무네요시는 우리에게 두 얼굴을 가지고 있다. 한국 미술의 조형미를 알아본 심미안의 소유자이자, 한국 미술의 미적 특징을 '무기교의 기교''자연에의 순응'

    중앙일보

    2002.07.27 00:00

  • [덕수궁 미술관]5대가 회화전근·현대 中國畵 60점 서울 나들이

    '서양미술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는 동아시아 화가들이 근대에 들어서며 맞닥뜨렸던 가장 큰 고민거리였다. 동양 회화의 뿌리 구실을 해온 중국도 이 문제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중앙일보

    2002.07.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