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생활환경」 개선급하다(열린 세계 뛰는 서울:4)

    ◎공해·교통난 심한 「공룡도시」/대기오염 심각… 도로는 흡사 주차장/공공도선관 100만명에 불과 한곳반꼴/공원면적은 90년대들어 오히려 줄어 「공룡도시」 서울­. 서울에 사는 시민

    중앙일보

    1994.02.02 00:00

  • 인재 국제화에 사활건다-세계속의 한국 일구는 대기업

    지난해 10월 중순 일본 東京에서 열린 동경 모터쇼의 입장객대여섯명 중의 한명은 한국 사람이었다.한국어로 전시품 설명회를갖는 코너도 있었고엑스포와 행사기간이 겹치는 바람에 김포~동

    중앙일보

    1994.01.05 00:00

  • 동경모터쇼 지상중계-첨단.소형화..세계차 흐름한눈에

    지난 10월23일부터 15일동안 지바(千葉)縣 마쿠하리(幕張)에서 열린 제30회 東京모터쇼-. 2년전 버블경기말기의 미래형 초호화판 차종전시때와는 사뭇 다른 풍경이다.금방 내다팔

    중앙일보

    1993.11.04 00:00

  • 찬반 갈리며 업종선정 고심/주력업종제를 보는 재계의 반응

    ◎차·전자확정… 화학·기계 저울질/현대/전자·기계·화학 골격 유지할듯/삼성/유통·전자·자동차·기계로 압축/대우 국내 대기업그룹들은 정부가 27일 발표한 업종전문화 정책에 대한 반대

    중앙일보

    1993.10.28 00:00

  • 실명제시대 주식.채권 관리와 투자요령

    실명제시대를 맞이해 주식투자에 있어 유의해야할 점은 무엇인가. 또 어떻게 하면 이익은 많이 보고 세금은 적게 낼 수 있을까.실명제가 시행됐다고 해서 증시의 모든 제도가 달라지는 것

    중앙일보

    1993.09.15 00:00

  • 엑스포 '93 개막 축포만 남았다|한달 앞으로…미리 가본 「한밭벌」

    「D-31일」-. 개도국에서는 처음 개최하는 것이어서 정부와 기업들이 혼신의 힘을 쏟아온 대전엑스포(세계박람회)가 한달 앞으로 다가왔다. 대전 도룡동 갑천벌 27만3천평에 지난 9

    중앙일보

    1993.07.07 00:00

  • 외국관|개발도상국(하)|역사유물·관광자원 "자랑"

    대전엑스포에서 선진국들이 첨단기술 위주로 환상의 미래세계를 보여준다면 개발도상국들은 과학기술 품과 함께 전통적인 역사유물·관광자원들도 많이 소개할 예정이어서 명실상부한 세계박람회가

    중앙일보

    1993.07.06 00:00

  • 공정93%… 대전엑스포 순조/앞으로 100일… 땀흘리는 현장

    ◎백13국 첨단기술·예술잔치/한빛탑·시도관·국제관 등 잇따라 완공/천만명 유치목표… 교통·숙박대책 분주 「D­100」­. 대전엑스포 개막을 꼭 1백일 앞둔 29일 대전 갑천벌 27

    중앙일보

    1993.04.29 00:00

  • 21세기를 여는「꿈의 세계」

    오는 8월7일부터 93일간 대전 한밭벌은 미래에 대한 경이와 흥분으로 한껏 달구어지게 된다. 개도국에서는 처음으로 우리나라가 개최하는 93 대전엑스포(세계박람회)의 불이 댕겨지는

    중앙일보

    1993.04.03 00:00

  • 8월 개막 앞두고 준비 바쁜 오명 조직위원장(일요인터뷰)

    ◎“대전엑스포 선진국 진입 토대로”/세계 최첨단 과학·문화 총집합/공사순조… 사상최다 백13국 참가 8월7일부터 93일간 대전에서 열릴 엑스포 93은 28일 현재 무려 1백13개국

    중앙일보

    1993.03.28 00:00

  • 2000년대 「노인산업」 최대 각광/일 과기청 전문가 설문조사

    ◎노화방지 식품·간호사업 등 번성/인공지능 이용 자동번역·통역도 □미래기술연보 연 도 미 래 기 술 1998년 CFC대체물질 완전실용화 1999 장거리 광통신시대 개막 2000 과

    중앙일보

    1993.01.21 00:00

  • 아태평화 위한 기술동맹 전략/김진현(시평)

    아시아­태평양지역은 당분간 세계의 성장센터요,세계제조업의 기지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동시에 유럽처럼 안보에 대한 동질적 관심과 관계국간 힘의 균형장치가 없어 평화를 지키기에는

    중앙일보

    1993.01.21 00:00

  • "기술만이 살길" 미래희망 한눈에

    차세대 교통수단의 개발·운행은 대전 엑스포의 많은 행사중에서 조직위측이 가장 비중을 두고있는 주요 행사며 우리 과학기술의 가능성에 대해 국민적 자부심을 갖게하는 계기도 될 것으로

    중앙일보

    1992.08.08 00:00

  • “국제화시대 특정기업 지원 무의미”

    자유무역을 주장하고 교육 및 사회 간접자본에 대한 투자를 강조한 미국 하버드대 로버트 리치(Robert B Reich)교수의 저서 『국가의 과제』(The Work of Nation

    중앙일보

    1992.07.22 00:00

  • (1)-먹고싶은 음식 말하면 재료응답 술술 컴퓨터가 요리 지도

    인간은「미래의 동물」이다. 지난날에 연연하거나, 오늘에 안주하는 것보다 내일의 꿈을 안고 살아가는 것을 보다 가치있는 삶으로 평가하는 것도 그래서다. 달라지는 미래를 예측해보고 이

    중앙일보

    1992.05.27 00:00

  • CD라디오 시대가 다가온다

    미래의 전파로 불리는 CD라디오는 아직 국내에선 생소하게 들릴지 모른다. 재미교포 방송인 김병우 씨(52·전 동아방송 프로듀서·로스앤젤레스 라디오코리아 초대사장)가 최근 미국 내

    중앙일보

    1992.04.17 00:00

  • 2030년에 「로보트인간」나온다|사고·판단능력갖춘 고성능컴퓨터 장착

    21세기 초반의 의학·과학기술은 어느정도 발달할까. 일본의 과학전문지 『트리거』최근호는 의학·과학기술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국가발전기반이라고 보고 일본경제기획청이 밝힌 자료를 토대로

    중앙일보

    1991.12.20 00:00

  • 국가 차원서 지식 산업 육성을|유희열

    우리는 지금 어느 시대에 살고 있나. 10년마다 세기의 변화를 예단해 우리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는 앨빈 토플러가 적절히 지적한 바와 같이 현재 기계에 기초한 제3차 산업혁명

    중앙일보

    1991.07.22 00:00

  • 무공해·무소음…21세기 자동차 운전도 필요 없다|20년내 실용화…선진국 개발한 창

    본격적인 마이카시대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첨단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하고 있는데 비해 실용화된 자동차의 발달은 상대적으로 더딘 편이다. 이는 기계공학과 신소재기술이 뒤떨어졌기 때문이

    중앙일보

    1991.05.25 00:00

  • 우주·공룡 과학관-신비의 세계 열린다|4월16일 올림픽공원에 2,400평 규모 개관

    국내 최초의 우주·공룡 과학관이 16일 올림픽공원 (서울 방이동)에서 문을 연다. 올림픽문화센터 (회장 정상해)가 순수 민간 자본 1백억원을 투입해 세운 연건평 2천4백평 규모의

    중앙일보

    1991.04.01 00:00

  • 『2,000년대 한국의 선택』펴낸 이은복씨

    사람이 나이 들게 되면 이것저것 궁리가 많아진다. 대개 지나온 길을 돌아봄에 그리 말고 저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많아서 일 터이요, 한 뼘도 채 안됨 직한 남은 그림자를 끌고 더는

    중앙일보

    1991.03.03 00:00

  • 재계 2세시대

    김회장은 지난80년 선친이자창업주인 고김두식회장이 암으로 타계(당시 55세)하면서 31세의 젊은 나이로 대권을 이어받았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후견인이없는 상태에서 2세 층수로 재

    중앙일보

    1991.02.26 00:00

  • 한국청소년 과도한 성적욕구로 갈등

    우리사회가 후기산업사회로 이행해 가는 과정에서 겪게 될 청소년 문화의 양상은 어떨까. 또 이는 지역별·국가별로 어떤 차이와 공통성을 갖고 있을까. 이런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명해 보

    중앙일보

    1990.10.24 00:00

  • 중앙동에 대단위 아파트 단지

    송탄시는 81년7월 시로 승격됐다. 인구는 1만9천4백62가구에 7만3천명. ◇주택 건설=서해안시대 개막에 대비, 92년까지 10만 이상의 인구수용을 위해 지산·송정동 지역에 15

    중앙일보

    1990.10.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