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세 징용피해자 “일본엔 화나지만…국가발전 위해 화해, 어쩔 도리 있나”
안봉상 “일본을 생각하면 화가 나지만 이제 우짜겠능교.” 정부가 일제 징용 피해자 배상을 ‘제3자 변제’ 방식으로 추진키로 한 데 대해 울산 지역 징용 피해자 중 한 명인 안
-
"日 화나지만 이제 우짜겠능교" 100살 징용 피해자의 당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인 1923년생 안봉상 옹이 오사카 지역 조선소에서 근무할 당시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 독자 "일본을 생각하면 화가 나지만 이제 우짜겠능교." 정부 일제
-
[사설] 로봇에 맡긴다는 최전방 경계 근무, 안보 구멍은 없겠나
최전방 경계 작전에 투입된 병사가 철책에 설치한 과학화경계시스템(광망) 앞에서 근무를 서고 있다. 광망은 철책에 설치하는 그물 모양의 감지장비로, 누군가 접근해 건들면 상황실에
-
伊해안서 좌초된 난민선 사망자 62명…"최소 100명 사망"
지난 26일(현지시각) 이탈리아 서남부 칼라브리아주 휴양지 스테카토 디 쿠트로의 앞바다에서 좌초된 난민선. EPA=연합뉴스 지난 26일(이하 현지시각) 이탈리아 서남부 칼라브
-
이탈리아에 떠내려온 시신 43구…"좌초된 난민보트 모습 끔찍"
26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남부 휴양지 스테카토 디 쿠트로의 해변에서 난민 선박이 좌초됐다. AP=연합뉴스 이탈리아 남부 해상에서 26일(현지시간) 난민들이 탄 선박이 좌초하면서
-
다이애나 남긴 보라색 드레스, 예상가 5배 넘는 깜짝 낙찰가
보라색 드레스를 입은 고 다이애나 비 초상화. 1991년에 그려졌다. 사진 영국 로얄 마스덴 재단 홈페이지 캡처 고(故) 다이애나 영국 왕세자비가 여러 차례 공식석상에서 입었던
-
[사설] 북한 무인기에 당한 군의 안이함과 무책임의 끝은 어딘가
김승겸(왼쪽) 합참의장이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북한 무인기 관련 현안보고를 하고 있다. 우리 군의 무인기 부실 대응 사실이 추가로 드러나
-
표류하다 인니 상륙 난민 200여명…"죽은 26명 바다에 던졌다"
바다에서 표류하던 200명 이상의 로힝야족 난민이 최근 인도네시아에 상륙했다. 생존자들은 함께 배에 탔던 난문 중 26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27일 인도네시아 아체주의 임시
-
"레이더론 무인기 보기 힘들다"…軍전투기 출격시킨 새떼 소동
27일 인천 강화군 일대에 북한 무인기로 추정되는 항적이 포착됐지만 군이 현장 출동한 결과 새떼를 오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날 북한 무인기 5대가 남측 영공을 침범해 5시간 넘
-
옹기 100점 와르르…70년만에 바닷속에서 발견된 목선 정체
소록화도 인근 침몰 옹기선의 해저 사진. 반경 15m 정도 영역에 100여점이 넘는 옹기가 쌓여있었고, 나무로 만든 배의 일부가 확인됐다. 전남 강진 옹기마을에서 만든 옹기를 팔
-
한국 맞아? 드론까지 띄웠다…7300대 1 뚫은 제주 풍경, 어디
'2022 대한민국 우수 관광사진' 공모전 대상에 오른 '청옥빛의 쇠소깍'. 제주도 유명 관광지인 쇠소깍에 드론을 띄워 찍은 사진이다. 사진 한국관광공사 제주도 쇠소깍의 아침 풍
-
[영상사설]탈북자 강제북송 마지막 퍼즐은 문재인 전 대통령
노영민 전 비서실장이 검찰에 소환됐습니다. 탈북자 강제북송 사건 때문입니다. 이 사건의 최고 책임자는 누구일까요. 오늘의 사설입니다. 2019년 목선을 타고 온 탈북 어민
-
"北어민 북송" 먼저 통보한 안보실, 서해공무원 南송환 요구 안했다
서해 공무원 피격 사망사건과 관련해 감사원이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 등 문재인 정부의 위법 정황이 담긴 중간 감사결과를 내놓으면서 검찰의 판단에도 이목이 쏠린다. 검찰은 공무원
-
폐조선소 빈자리 채운 원두향…‘커피섬’이 된 영도
지난 10일 부산 중구 남포동과 영도구 대교동을 잇는 영도대교(214.7m). 차를 타고 영도로 들어가며 오른쪽을 보니 큰 선박 몇 척이 항구에 정박해 있었다. 1912년 목선
-
'깡깡이 아지매' 원두향에 취할판…부산 거친바다 품은 '커피섬' [e슐랭 토크]
대평동 한 아파트 벽화로 그려진 깡깡이 아지매. 위성욱 기자 영도(앞쪽 깡깡이마을)와 영도대교 모습. 손민호 기자 카페촌으로 변한 영도 '깡깡이 마을' 지난 10일 부산 중구 남
-
[박정호의 시시각각] 법정 스님의 봉은사
박정호 수석논설위원 115년 만의 수마가 국토를 휩쓸었다. 국가 재난대응시스템에 조종이 울렸다. 서울 ‘강남 스타일’도 잠겨버렸다. 피해 규모를 따지면 1925년 을축년 대홍수가
-
여당, 어민북송·목선귀순 관련 文정부 10명 고발…文은 제외
통일부는 지난 2019년 11월 판문점에서 탈북어민 2명을 북한으로 송환하던 당시 촬영한 사진을 지난달 12일 공개했다. 당시 정부는 북한 선원 2명이 동료 16명을 살해하고 탈
-
휴대용 ‘손풍기’ 전자파 위험?…정부 “문제 없어” 시민단체 “최대 322배”
한 시민이 휴대용 선풍기를 들고 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휴대용 선풍기와 목에 걸고 다니는 목 선풍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인체에 안전하다는 정부의 판단이 나왔다.
-
여름마다 당신의 목 노린다...더위 피하려다 만난 '뜻밖의 이놈'
━ 생활 속 한방 장마가 끝나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18년 한반도를 뒤덮었던 열돔의 악몽이 다시금 떠오르는 듯하다. 이러한 날씨가 지속하면서 요즘 출퇴근길
-
목선풍기 쓰면 목디스크 위험, 수시로 스트레칭 해야
━ 생활 속 한방 장마가 끝나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18년 한반도를 뒤덮었던 열돔의 악몽이 다시금 떠오르는 듯하다. 이러한 날씨가 지속하면서 요즘 출퇴근길
-
시민단체 "목 선풍기 전자파 기준 이상" 정부 "국제기준 따라 측정할 것"
목에 걸어 쓰는 형태의 휴대용 선풍기에서 세계보건기구(WHO) 발암유발 기준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한다는 환경 단체의 발표가 나왔다. 과학기술정통부의 지난해 발표와는 배치되는 주장
-
'북송 논란' 속…'北인권·헌법' 강조한 대북정책 尹에 보고됐다
해수부 공무원 피살과 탈북 어민 강제 북송 관련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정부가 "북한 인권을 강조하고 헌법에 기반해야 한다"는 대북정책의 기본 원칙을 밝혔다. 윤석열 정부의 북
-
[예영준의 직격인터뷰] “어떤 정부도 자국 국민을 추방할 권한은 없다”
━ 헌법학자 김선택 교수가 보는 북한어민 북송사건 예영준 논설위원 헌법학자 김선택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분단국이란 특수 상황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법률 문제에 대
-
"특공대 와달라" 4시간전 전화…북송 협조도 공문도 없었다
2019년 정부가 탈북 어민을 강제로 북송하면서 대 테러가 주 임무인 경찰특공대에게 호송을 맡기는 등 절차 위반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규정상 민간인 호송이 경찰특공대의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