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95년 한국의 사회지표-사회복지.환경

    ◇대기.수질 오염이 갈수록 심해진다=90년대 들어 상류는 특히 영산강과 한강,하류는 낙동강의 오염이 심해졌다.94년 두 지역의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90년에 비해 거의 두배

    중앙일보

    1996.01.25 00:00

  • 폐암의 증상과 치료-10년사이 사망률 2배 흡연이 주범

    암은 이제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공적(公敵)1호가 됐다.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암사망자는 4만9,000여명.전체 사인별로는순환기계질환 다음으로 2위에 머물고 있지만 30대부터 60대

    중앙일보

    1995.10.31 00:00

  • 15개 地自體 환경평가 내용-개발치중 부산.대구에 경종

    전국 15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환경부의 첫 환경실태 평가 내용은 지금까지 다소 막연하게 느껴오던 지역별 환경오염 실태를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관심을 끌고있다. 특히 자치단체마다

    중앙일보

    1995.05.30 00:00

  • 부산.대구 환경수준 最惡-아황산가스.폐수등 42개지표조사

    전국 15개 광역 자치단체 가운데 부산.대구의 환경수준이 최악(최적 환경상태를 1백점으로 볼 때 각 31.6점)을 나타내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만이 가까스로 60점을 넘었고

    중앙일보

    1995.05.30 00:00

  • 대천시

    대천해수욕장으로 유명한 대천시는 전국도시비교평가에서 65위를했다. 대천시는 수질.대기오염이 적어 건강한 생활부문에서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종합병원인 보령의료원 덕분에

    중앙일보

    1995.02.07 00:00

  • 충주시

    충주시는 경제.문화생활,교육환경,행정서비스 측면에서는 비교적살만한 곳으로 꼽혔으나 안전한 생활 측면에서는 최하위권을 면치못해 74개 도시중 전체순위는 63위에 머물렀다. 충주시는

    중앙일보

    1995.01.26 00:00

  • 전주시

    최근 中央日報가 전국 74개도시의 36개 항목 지표를 분석해「삶의 질」에 대한 조사를 벌인 결과 전주시는 전체 31위로 나타났다. 〈도표참조〉 이번 시지역의 「삶의 질」비교에서 전

    중앙일보

    1995.01.20 00:00

  • 부산시

    전국 제2의 도시 부산은 인구 과밀현상을 반영하듯 주택.교통난과 환경오염등 현대 도시의 병폐를 모조리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인구밀도가 평방㎞당 7천3백50명으로 전

    중앙일보

    1995.01.19 00:00

  • 本紙도시비교평가에서 춘천시 전국7위

    전국 74개 도시비교 종합평가에서 춘천시는 전국 7위,강원도내 6개 도시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춘천시는 전원도시답게 교육.복지.문화생활부문에서 우위를 나타냈다.인구 1만명당 4

    중앙일보

    1995.01.19 00:00

  • 3.건강한 생활

    전국 74개 도시의 생활환경과 의료여건을 비교 평가한「건강한생활」에서 과천이 1위,오산이 꼴찌인 74위를 차지했다. 생활환경은 수질오염.대기오염.녹지비율등 3개항목,의료여건은 인구

    중앙일보

    1995.01.05 00:00

  • 중앙일보"도시삶의 質" 비교를 보고

    지난 30년간 경제발전과 산업화의 결과로 도시 거주 인구의 비율은 크게 높아졌다.최근에 발표된 내무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우리나라 국민의 84%가 도시지역(읍단위 포함)에 거주하고

    중앙일보

    1995.01.04 00:00

  • 2.우리동네 집터-서울 한남2동

    인자한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고했다.산과 물이 인간의 스승이란 점에서는 예나 이제나 마찬가지다. 풍수에서 산은 氣가 흘러가는 길이요 물은 기를 멈추게

    중앙일보

    1994.05.23 00:00

  • 1.石炭이 땔감 검은하늘

    최근 연 13%의 급속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는 中國은 동시에 심각한「공해대국」이다.특히 인접한 우리나라는 편서풍에 실려오는 대기오염물질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고 있고 西海의 해양

    중앙일보

    1994.05.23 00:00

  • 「생활환경」 개선급하다(열린 세계 뛰는 서울:4)

    ◎공해·교통난 심한 「공룡도시」/대기오염 심각… 도로는 흡사 주차장/공공도선관 100만명에 불과 한곳반꼴/공원면적은 90년대들어 오히려 줄어 「공룡도시」 서울­. 서울에 사는 시민

    중앙일보

    1994.02.02 00:00

  • 4.생활환경 개선 급하다

    「공룡도시」서울-. 서울에 사는 시민들은 서울을 어떻게 느끼고 있을까.그 대답은한결같이 교통체증에 시달리고,수질오염.대기오염등 각종 공해에 찌들어 숨도 제대로 못쉴 지경이라는 것이

    중앙일보

    1994.02.02 00:00

  • 「산업화 공해」에 찌드는 중국|매연·식수오염에 시달린다

    지난달 6일 북경시내 아파트들이 일제히 온수공급을 중단했다. 이날은 중국이 범국가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2000년 올림픽개최지 후보 북경시에 대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조사

    중앙일보

    1993.04.13 00:00

  • 지방세부담 인천이 최고/91년 지역벌 통계연보

    ◎대기오염 수원이 가장 높아/재정자립도 전남 28% 최저 인천 시민들은 지난해 한사람당 23만7천원의 지방세를 내 전국 시·도중에서 가장 많은 지방세를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

    중앙일보

    1992.12.28 00:00

  • 호흡기 병 가장 많이 앓는다.|10만 명에 622명 3년 새 2배로

    우리 나라 인구 10만 명당 6백22명이 대기오염·흡연 등 각종 공해와 관계가 있는 호흡기계통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호흡기계 질환은 특히0∼14세의 유아 및 어린이

    중앙일보

    1992.04.14 00:00

  • 시내버스등 경유차량/매연여과장치 의무화/내년부터

    서울등 대도시 대기오염의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경유 자동차의 매연을 걸러내는 「매연여과장치」의 부착이 빠르면 내년부터 의무화된다. 환경처는 31일 자동차공해연구소가 그리스에서 시험

    중앙일보

    1991.09.01 00:00

  • 허점투성이 감시(구멍뚫린 수질관리:2)

    ◎단속 겁안내는 공해업체들/“벌과금만 물면 그만” 내놓고 방류/손모자라 겉핥기 점검/허술한 장비 부실검사 두산전자의 유독성 페놀폐수방류에 의한 수도물오염사건은 공해단속체계에 구멍이

    중앙일보

    1991.03.23 00:00

  • 도심지역 차 배기가스 대기오염으로 폐암 "위험" 10만명당 28명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으로 교통혼잡 지역에서는 10만명당 28명이 폐암에 걸릴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9일 국립환경연구원에서 대기보전학회 주최로 열린 자동차공해 방

    중앙일보

    1991.02.09 00:00

  • 흡연자 혈중 일산화탄소 비흡연자보다 1.6배 높아

    흡연자의 혈중 일산화탄소 헤모글로빈 농도가 비흡연자에 비해 1.6배나 높아 체내 산소 공급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더구나 하루 21개비 이상의 많은 흡연을 하는 사람

    중앙일보

    1991.02.07 00:00

  • 보름이상 대기오염 기준 넘을땐 10만명당 2.7명 더 죽는다

    ◎연세대 환경공해연 정용교수 밝혀 런던 스모그의 초기형태인 「산성 안개먼지」 현상이 우리나라에서도 확인된 가운데 대기오염도가 15일간 환경기준치를 계속 넘어설 경우 10만명당 2.

    중앙일보

    1991.01.28 00:00

  • 서울 주거환경점수 세계 47위|「인구 위기 위」백대도시 조사

    서울과 부산이 세계 1백대도시 중 안전·물가·주거공간·교통체증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주거환경에서 각각 47, 46위에 나란히 올랐으나 교통체증과 공해문제에선 심각도가 큰 것으로 나타

    중앙일보

    1990.11.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