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년기엔 꼭 필요한 종합 건강검진

    몸과 마음이 바쁜 연말 연시에는 자칫 건강을 해치기 쉽다. 지혜로운 건강 관리가 절실하다. 아울러 새해를 맞으면서 무엇보다도 건강「체크」와 건강 설계에 관심을 기울여야겠다. 우리나

    중앙일보

    1978.12.15 00:00

  • (21)조기 위암 수술 90%는 성공

    우리나라 남성 암 가운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위암은 장년기 이후 3대사인의 하나로 꼽힌다. 완치할 수 있는 항암체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환자는 늘어나기만 한다. 현재 위암에

    중앙일보

    1978.02.16 00:00

  • (17)의지력으로 낫는 수도 있다

    그 여자는 고개를 끄덕였다. 『절개수술을 했지요, 「라비크」』『그랬어, 「케이트」.』 『불가피했나요?』 『그러니까 했지.』 그는 기다렸다. 여자에게 묻게 하는 것이 좋았다. 『…이

    중앙일보

    1978.01.19 00:00

  • (51)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13)

    『우리들의 식생활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위암은 언제나 가장 흔하고 중요한 암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후지이」 박사(등정창·일본 암 연구회 부속병원 검진「센터」)는 일반적

    중앙일보

    1977.12.15 00:00

  • (50)|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 (12)|암 세포만 죽이는 약은 아직 없다

    미국이 본격적인 항암제 개발을 서두르기 시작한 것이 1956년. 그후만 21년이 지난 오늘 인류는 항암제라고 선을 보인 15만여 종 가운데 겨우 36종을 건져냈다. 그런데도 이 지

    중앙일보

    1977.12.08 00:00

  • (44)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6)|무엇이 암을 일으키나

    전 세계의 암 학자들은 인류최대의 적인 암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필사의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도 무엇이 암을 일으키는지, 왜 어떻게 암이 생기는지 아직 알지 못한 채다.

    중앙일보

    1977.11.15 00:00

  • (41)|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 (3)|발암 물질 추적에 전력 투구-유럽|일본-항암 백신 개발에 자신 만만

    암을 보는 학자들의 눈도 각양각색. 주장과 학설이 학자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환경 인자가 모든 암의 75∼80% 일으킬 것이라는 주장에는 미국이나 「유럽」이나 일본 학자들이 의견

    중앙일보

    1977.11.03 00:00

  • 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 (2)|전문 학자 2,200명이 밤낮없는 씨름, 미국

    미국에는 암 「센터」만 해도 전국적으로 1백20여개소에 이른다. 전적으로 암 환자만 다루는 병원이 52개소, 완전히 무료로 암 환자를 실험 치료하는 암「센터」는 25개소다. 그리고

    중앙일보

    1977.11.01 00:00

  • 바이러스 환자 완치 특효약이 발명됐다

    감기·「인플루엔자」·기관지염·간염·뇌막염 등 「바이러스」성 질환의 특효약을 개발, 『이제 「바이러스」의 벽이 무너졌다』고 선언한 「리오넬·N·사이먼」박사(44·미 뉴포트 핵산연구소

    중앙일보

    1977.10.20 00:00

  • "암은 정복할 수 있다"-세계적인 암 학자 미「굿」박사 내한강연

    세계적인 암 연구학자인 「로버트·A·굿」박사(사진·55·「뉴욕·슬로운캐터링」암 연구소장)가 대한면역학회 초청으로 내한했다. 소아과의사이자 해부학박사·철학박사인 「굿」박사는 「노벨」

    중앙일보

    1977.07.23 00:00

  • 각광받는 암 면역요법

    인류의 끈질긴 도전에도 불구하고 암은 좀체로 그 정체를 드러내 놓지 않은 채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매년 60%이상씩 늘어나는 실정이다. 그러나 암 학자들은 결

    중앙일보

    1976.09.02 00:00

  • 세균으로 항암제 개발|건조 균체「피시바닐」

    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항암제「피시바닐」이 위암·간암·폐암 등 각종 악성종양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는 임상 실험결과가 발표되어 세계 의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피시바닐」이란

    중앙일보

    1976.08.26 00:00

  • 면역촉진제 「튜버신」암치료에 큰 효과

    인체에서 뽑아낸 면역촉진제「튜버신」이 암치료에 획기적인 상승효과가 있음이 한국원자력 연구소 윤탁구박사(암병리학연구실장)·김홍효박사·김진종박사(윈자력병원 부원장) 「팀」의 동물실험결

    중앙일보

    1976.06.30 00:00

  • 암 정복의 새시도|면역 요법

    한번의 「백신」접종으로 일생 동안 암에 걸리지 않게 하려는 이른바 면역 요법에 의해 암을 정복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구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일시 귀국한 미국 「

    중앙일보

    1976.05.20 00:00

  • 암 실태파악도 안된 상태

    어떻게 암을 정복할 것인가? 이는 오늘날 전세계 의료진의 최대 숙제다. 지금까지 암의 원인을 구명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고 했던 학자들은 최근 조직적인 암 실태조사와 조기발

    중앙일보

    1976.02.19 00:00

  • 암 치유 어느 정도 가능한가|암 세포를 정상 세포로 돌리는 실험 성공|일본 의학진 발표 계기로 본 현황과 전망

    최근 일본 국립 암 연구소를 비롯한 암 연구회 연구소, 동경대 「바이러스」 연구소 등 3개 암 연구 기관에서 동물 실험을 통해 암 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실험에 성공함으로써

    중앙일보

    1975.01.09 00:00

  • 국제 암 학회에 다녀온 김석환 박사

    지난달 18일부터 26일까지 「이탈리아」「플로렌스」에는 78개국에서 모인 5천5백여 명의 암 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인류 최대의 공적인 암의 정체규명과 정복에 관해 숙의했다. 다음

    중앙일보

    1974.11.11 00:00

  • BCG 백신으로 악성피부암 완치

    【동경25일AFP동양】일본의 결핵 및 암 권위자가 결핵균 「백신」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이 「백신」을 특수 처리한 후 악성피부암환자에게 접종, 완치했음이 25일 밝혀졌다. 「오오

    중앙일보

    1974.09.27 00:00

  • (143)암은 어떻게 생기나

    암은 왜 생기는 겁니까? 혹시 유전하는 것은 아닙니까? 암환자의 가족들로부터 매일같이 듣는 질문이다. 속 시원하게 무엇이라고 얘기해줄 수 있을 이만큼 암의 발생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중앙일보

    1974.07.16 00:00

  • (130) 암은 불치병만은 아니다

    인류의 공적인 암은 정말 고칠 수 없는 병일까? 암이라는 얘기만 들어도 곧 사형선고나 받은 것 같이 처음부터 체념하고 불치병이라고 믿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중앙일보

    1974.06.25 00:00

  • (63)암은 조기 발견으로 치료된다

    암의 피해는 전염병 이상이건만 인류는 아직도 이렇다 할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우선 암의 정체가 밝혀지지 않아 구체적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실정이다

    중앙일보

    1974.04.04 00:00

  • 혈액 검사로 암을 진단한다.|미 FDA서 공식인가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혈액검사로 암을 진단해 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학계의 공식적인 인정을 받아 암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미. 식품 의예국(FDA

    중앙일보

    1974.01.24 00:00

  • 암 치료에 「항암제」사용은 위험

    면역성의 항암약품으로 치료를 받는 암 환자들은 원래 치료하려던 암과는 관계없는 별도의 암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얻을 우려가 있다고 「콜로라도」대학의 「이스라엘·펭」박사가 전국「바이러

    중앙일보

    1973.12.12 00:00

  • 나병·암의 새 치료법|면역 욧법 도입

    미국 「뉴요크」의 「슬론·캐더린」 암 연구소에서 나병 및 암에 대한 면역학적인 치료법을 연구하고 최근 귀국한 임수덕 박사 (서울 의대 피붓과 교수)는 국내에서도 면역 욧법을 적극적

    중앙일보

    1973.10.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