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천에 ‘생태 한방 건강 숲’ 생긴다

    제천에 ‘생태 한방 건강 숲’ 생긴다

    충북 제천시민들이 한방생태숲을 조성중인 봉양읍 시유림에 헛개나무를 심고있다. [뉴시스]중부내륙권 최대 규모의 약초 생산지이자 한방도시인 충북 제천시에 ‘생태 한방 건강 숲’이 생긴

    중앙일보

    2009.11.18 02:45

  • 연리목, 천년의 사랑

    연리목, 천년의 사랑

    지리산 북쪽, 함양에는 ‘상림(上林)’이 유명합니다. 상림은 위천강의 홍수를 막기 위해 신라 때 최치원 선생이 둑을 쌓아 만든 숲입니다. 사람이 만든 숲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앙선데이

    2009.11.14 22:02

  • 길이 있어 길을 걸었습니다. 늦은 오후의

    길이 있어 길을 걸었습니다. 늦은 오후의

    길이 있어 길을 걸었습니다. 늦은 오후의 북향 길은 그늘 빛이 상큼합니다. 사물들이 다투지 않고 고요하게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길을 걸으면 깊은 생각에 빠지게 됩니다. 홀로 걸을

    중앙선데이

    2009.11.07 15:24

  • ‘자연주의 살림꾼’ 효재가 만난 사람 ④배우 이휘향

    ‘자연주의 살림꾼’ 효재가 만난 사람 ④배우 이휘향

    한복 디자이너 이효재씨와 여성잡지 여성중앙이 ‘명사와 함께-효재의 지구를 살리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한 달에 한 번 이효재씨가 명사를 초대해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환

    중앙일보

    2009.10.30 00:04

  • 꽃무리

    꽃무리

    흔히 들국화로 불리는 쑥부쟁이 꽃입니다. 봄날이면 들판에 지천으로 깔린 새순을 따다 무쳐 먹던 풀입니다. 끊어 먹는 재미를 준 풀이 가을날까지 살아남아 이렇게 멋진 꽃빛을 쏟아냅

    중앙선데이

    2009.10.25 02:27

  • 목수와 사진쟁이, 의기투합하다

    목수와 사진쟁이, 의기투합하다

    기다림(2008), 각 122×61㎝, 캔버스에 유화,숨을 듣다(2008~2009), 235x110㎝, 람다 프린트 목수 김진송(50)과 사진쟁이 이창수(49)가 의기투합했다.

    중앙선데이

    2009.10.17 22:34

  • 숲의 휴식

    숲의 휴식

    가을 숲이 깊습니다. 정오를 향한 햇살이 깊은 숲에 빛을 새깁니다.들판의 가을빛은 풍요로움으로 다가오고, 숲의 가을빛은 ‘쉼’으로 다가옵니다. 이제는 쉴 때입니다. 대다수의 나무

    중앙선데이

    2009.10.17 22:11

  • 살림 곳곳 은은히 감도는 자연의 향기

    살림 곳곳 은은히 감도는 자연의 향기

    커피찌꺼기로 염색한 옷을 만드는 윤정연 디자이너, 조각보 박태현 작가, 종이공예 황정자 작가, 김학경 요리연구가, 친환경 브랜드 이새 정경아 대표(왼쪽부터). 먹는 것부터 입는 것

    중앙일보

    2009.10.15 18:00

  • 자연과 함께 사는 사람들

    자연과 함께 사는 사람들

    나무 그릇 위에 사과와 더덕, 금귤로 손수 만든 정과를 가지런히 올린다. 장식은 근처에서 뜯어온 담쟁이 잎. 선명한 초록색이 테이블에 활력을 준다. 매실차는 컵에 담아 삼베로 만

    중앙일보

    2009.10.14 10:23

  • 작가들이 말하는 자연주의

    작가들이 말하는 자연주의

    자연주의, 일상 속으로-. 언뜻 거창해보이지만 곱씹어보면 의외로 친숙한 개념이다. 다만 약간의 결심과 실천력을 필요로 할 뿐이다. 자연주의를 컨셉트로 하는 다섯명의 작가가 나의 홈

    중앙일보

    2009.10.13 17:58

  • 고속도로 휴게소 베스트 30

    길 위에 선 장(場), 고속도로 휴게소. 운치가 좋은 장터가 있고 몸보신하기 좋은 곳도 있다. 공룡박물관에 미술관, 일출을 볼 수 있는 전망대까지. 없는 거 빼곤 다 있다는 전국

    중앙일보

    2009.10.02 21:01

  • 盡

    변화는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의 실상입니다. 빗줄기 장막으로 세상을 덮던 비구름이 깨졌습니다. 성냄을 다하고 제 몸을 갈라 세상을 열었습니다. 숲 속 풀과 나무들도 쌓인 물기를 뿜

    중앙선데이

    2009.08.23 00:56

  • [최지영 기자의 장수 브랜드] 보해양조 '매취'

    [최지영 기자의 장수 브랜드] 보해양조 '매취'

    보해양조의 고 임광행 회장(1919~2002)은 1960년대 유럽의 와이너리를 방문했다가 “우리나라에서 나는 재료로 이렇게 직접 키워 술을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고심 끝

    중앙일보

    2009.06.23 19:21

  • 숲길

    숲길

    숲의 틈. 집 앞에서 이어지는 형제봉 등산로를 살짝 벗어나면 대밭 길과 솔밭 길이, 훌륭한 나만의 숲길이 있습니다. 풀과 나무들의 광합성 작업이 왕성한 정오 언저리에는 숲의 향이

    중앙선데이

    2009.06.20 15:09

  • [틴틴경제]매실 따기 농촌체험

    [틴틴경제]매실 따기 농촌체험

    전남 나주 송촌홍고추마을에서 아이들이 자기 손으로 직접 만든 매실 엑기스병을 들고 있다. [사진제공=정보화마을] 매실 따기 농촌체험 게임 하고…엑기스도 만들어요 매실은 갈증해소

    중앙일보

    2009.05.28 09:38

  • 여명

    여명

    빛이 산 뒤편에서 아직 넘어오지 않은 시간입니다. 900m 높이를 자랑하는 칠선봉 능선이 한 뼘 깊이의 비어 있는 논에 자리했습니다. 논에 비친 산 그림자가 아름답습니다. 해 뜨

    중앙선데이

    2009.05.16 11:43

  • 명촌명인 21인전

    명촌명인 21인전

    어머니의 맛을 살리기 위해, 혹은 지역 특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지금도 전국 곳곳의 명인들은 땀과 사랑으로 특산물을 일궈내고 있다. 왼쪽부터 충북 청양 구기자의 명인 성욱

    중앙일보

    2009.05.12 10:18

  • 숲 속 학교

    숲 속 학교

    지리산학교 선생들이 하동 야생차 축제에서 작품전을 열었습니다. 지리산학교는 악양 지역에 사는 문화예술인들이 모여 만든, 열린 학교입니다.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주민 스스로

    중앙선데이

    2009.05.09 23:51

  • [강인식 기자의 ‘사람·풍경’ ] 양로원 만든 노부부의 베푸는 여생

    [강인식 기자의 ‘사람·풍경’ ] 양로원 만든 노부부의 베푸는 여생

    신재홍(右)·조행희(왼쪽에서 셋째) 원장 부부가 잠시 놀러 온 딸(오른쪽에서 둘째)과 손녀, 그리고 세심원 식구와 함께 봄볕을 쬐고 있다. 여섯 살배기 손녀의 재롱이 모두를 웃게

    중앙일보

    2009.04.11 01:19

  • 곳곳에 ‘약나무’

    무궁화 나무를 나라꽃으로만 여긴다면 노래 가사의 ‘1절’만 아는 셈이다. 이 나무엔 유해산소를 없애는 항산화 성분이 들어 있다. 우리 선조는 이 나무의 줄기·껍질 부위를 이질 치료

    중앙일보

    2009.04.06 01:13

  • 식목철 일부 묘목 값 크게 떨어져

    식목철이 다가왔으나 경기침체로 일부 묘목 값이 크게 떨어졌다. 22일 전국 최대 묘목산지인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일대 묘목상인들에 따르면 최근 나무시장이 개장됐으나 장세는 예년만 못

    중앙일보

    2009.03.23 02:55

  • 마음까지 꽃물 들겠네

    마음까지 꽃물 들겠네

    갖가지 꽃들이 남녘 산과 들을 수놓기 시작했다. 순천시 월등면 계월리에 매화가 활짝 핀 지난해의 모습. 이곳에서 22일 ‘동네방네 매화잔치’가 벌어진다. [순천시 제공]전남 광양시

    중앙일보

    2009.03.19 01:48

  • 3월 셋째 주, 아름다운 강산 짤막 축제소식

    3월 셋째 주, 봄기운이 완연하다. 산과 들에는 형형색색의 꽃과 나무들이 모습을 드러내고, 고로쇠 수액 떨어지는 소리가 경쾌하다. 봄 소식은 계속된 경기불황에 지친 사람들에게 희

    온라인 중앙일보

    2009.03.12 14:44

  • 초겨울 걷기 좋은 한강변 산책로

    초겨울 걷기 좋은 한강변 산책로

    제법 매섭게 불어오는 찬바람이 바깥출입마저 주저하게 만든다. 그렇다고 집 안에만 콕 박혀 있을 수는 없는 일. 잠시 날 풀린 주말을 틈타 이즈음 한강의 정취를 만끽 수 있는 있는

    중앙일보

    2008.12.04 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