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독일·이탈리아와 동맹, 동남아 점령 나선 일본

    독일·이탈리아와 동맹, 동남아 점령 나선 일본

    ‘사이 좋은 삼국’이란 제목의 독일·이탈리아·일본의 방공협정 체결 홍보 엽서. 1938년 소학관(小学館)의 『소학3년생(小学三年生)』에 실린 것이다. 왼쪽이 히틀러, 가운데가 고

    중앙선데이

    2013.02.17 01:52

  • [삶의 향기] 휴전기념일이면 생각나는 사람

    [삶의 향기] 휴전기념일이면 생각나는 사람

    조화유재미 칼럼니스트·소설가7월 27일은 한국전쟁이 끝난 지 59년이 되는 날이다. 휴전기념일만 되면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밥솥 씻은 물을 마심으로써 한국인들은 식사를 끝낸다”

    중앙일보

    2012.07.24 00:57

  • 테러의 바다…해저 누비는 ‘꼬마 무기’들 항공모함도 뒤집어버려

    /* 우축 컴포넌트 */.aBodyComTit {background-color:#0a6a46; font-size:12px; font-weight:bold; color:#fff;

    중앙일보

    2010.04.21 14:18

  • 1945 08 15 그날 무슨 일이 …①

    광복절(光復節), 8·15는 올해로 64년째. 광복절은 ‘잃었던 나라의 주권을 되찾은 날’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우리는 정말 그 광복절에 나라의 주권을 되찾았던 것일까? 작가 강

    중앙일보

    2009.08.11 10:59

  • 전여옥 "해머에 이어 공기총과 쌍철봉 등장할 수도"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은 국회가 한미 FTA 비준 처리 문제와 관련 물리적 충돌을 거듭하는 데 대해 “법을 만드는 입법기관인 국회에서 무법자들이 판친다면 국회는 스스로 자멸하는 길을

    중앙일보

    2008.12.28 15:20

  • 탈레반, 인질 협상시한 24시간 연장

    탈레반, 인질 협상시한 24시간 연장

    아프가니스탄에서 납치된 한국인을 구출하기 위한 협상이 시작된 가운데 21일 현지 경찰이 가즈니~카불 간 고속도로에서 차량 검문검색을 강화하고 있다. [가즈니 AP=연합뉴스]한국인

    중앙일보

    2007.07.23 04:03

  • [그 후 15년] 독일 통일… 한국에 주는 교훈

    [그 후 15년] 독일 통일… 한국에 주는 교훈

    1990년 10월 3일 독일 통일의 날 베를린의 제국의회 건물 앞에서 환호하는 인파에 손을 흔드는 동서독 지도자들. 오른쪽부터 로타 데메지에르 동독 총리, 리하르트 바이츠제커 독

    중앙일보

    2005.10.03 04:40

  • [강정구 칼럼 전문]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

    '맥아더를 알기나 하나요?' 지금 인천 만민공원에는(자유공원은 한국전쟁 후 만병통치 같은 '자유'라는 말의 범람으로 바뀐 이름임) 맥아더동상 허물기 쪽과 지키기 쪽 사이에 공방이

    중앙일보

    2005.07.27 16:47

  • [북한의 통일방안변화사]

    북한의 통일방안은 「남조선혁명」이라는 그들의 대남전략을 기조로 하여 시대적 적응성과 환경적 전략성을 가지고 변화를 거듭해 왔다. 북한의 통일방안의 변천과정을 일별해 보면 북한의 초

    중앙일보

    2004.10.25 16:02

  • 레드얼럿 2! 4년만에 다시 울리는 게임계의 적생경보 [3]

    어때.. 개성이 넘치다 못해 흘러내리지 않나? 레드얼롯2에 등장하는 각 나라들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연합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는 소비에트 연방국들이 등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크게

    중앙일보

    2000.12.18 10:43

  • 콜 총리 統獨 밀사다룬 회고록 출간

    『KGB와 슈타지등 옛소련과 동독의 정보기관이 독일 통일을 방해하려는 공작을 벌였다.』『고르바초프 옛소련 서기장이 독일에군대를 파견했다면 통일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헬무트 콜(6

    중앙일보

    1996.10.01 00:00

  • ▲김두봉(金枓奉.북로당 위원장)을 호출하다.남조선의 정세,남조선 3당합당 문제 및 지원대책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다.(46년9월10일) ▲보로실로프에서 로마넨코(蘇軍民政사령관)와 남

    중앙일보

    1995.05.11 00:00

  • 소련 45年末까지 北지도자 未定

    해방후 소련은 북한만을 소비예트화 하려 했는가. 아니면 한반도 전체를 위성국으로 만들려 했는가.한반도 전체를위성국으로 만들려 했다면 그 구체적인 전략은 과연 무엇이었는가. 지금까지

    중앙일보

    1995.02.14 00:00

  • 4.白凡 "나는 김일성 만나러 왔을뿐"

    ◇1948년4월19일 〈남북연석회의〉 ▲김두봉(金枓奉.北勞黨위원장)개회사(註:예비회의.오전11시)=김구(金九)와 김규식(金奎植)의 요청에 의해 회의가 연기되었다.조선해방을 위해 피

    중앙일보

    1994.11.21 00:00

  • 48년 남북정치협상은 蘇각본-蘇민정사령관 레베데프 비망록

    민족분단을 막기위한 마지막 노력으로 1948년4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南北)지도자연석회의와 김구(金九).김일성(金日成). 김규식(金奎植).김두봉(金枓奉)등 남북정치지도자들의 회담이

    중앙일보

    1994.11.15 00:00

  • 4.끝

    1950년8월부터 53년8월4일.한반도를 피로 물들인 金日成은 휴전에 이르기까지 스탈린.毛澤東과 긴밀한 협의아래 전쟁을 치른다. ▲1950.8~9초순=毛澤東은 두차례에 걸쳐 북한정

    중앙일보

    1994.07.24 00:00

  • 3.蘇.中비밀방문,병력배치

    1950년1월29일부터 8월29일,金日成은 스탈린과 毛澤東의지원약속을 끌어내는데 성공해 마침내 3백여만명이 사망.실종하는동족상잔의 사상 최대 비극인 6.25남침을 감행한다. ◇스탈

    중앙일보

    1994.07.23 00:00

  • 2.김일성 전쟁준비 보고

    1949년 1월17일부터 1950년 1월19일까지 金日成은 소련과 중국에 남한 침공을 위한 승인과 지원을 끈질기게 요청한다. ◇蘇聯의 군사지원 시작 ▲1949.1.17=슈티코프 북

    중앙일보

    1994.07.22 00:00

  • 1.전쟁발발과 휴전

    북한이 남침을 강행한 6월25일 이후 국제사회는 급박하게 돌아갔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남침이 불법이라고 규정하고38도선 이북으로 돌아가라고 결의했다. 한편 중국은 북한이

    중앙일보

    1994.07.21 00:00

  • 세계사 유례없는 49년 권좌/김일성 출생에서 사망까지

    ◎한국민엔 용서받지 못할 전범 낙인/6·25실패후 반대파 숙청 재기성공 북한의 김일성주석이 사망했다. 김일성처럼 극단적인 평가속에 살다간 인물도 드물 것이다.그는 북한주민에게「위대

    중앙일보

    1994.07.09 00:00

  • 김일성.스탈린 電文 성공 보장되면 동의

    SBS-TV는 2일 오후11시 韓國戰의 북한 남침 사실을 처음 시인한 러시아 국영TV「오스탄키노」의 다큐멘터리『한국전 내막』1,2부를 90분간 방영했다.러시아는 이 프로를 방송함으

    중앙일보

    1994.06.03 00:00

  • 러 TV제작 다큐 “한국전 내막”

    ◎김일성­스탈린 「전문」 성공 보장되면 동의”/소,특수비행단 창설후 북에 배치/351대 격추돼 조종사 311명 전사 SBS­TV는 2일 오후 11시 한국전의 북한 남침 사실을 처음

    중앙일보

    1994.06.03 00:00

  • “1950년 3월5일 김일성­스탈린 6·25남침 첫 협의”

    ◎극비 자료·필름 러서 TV방영/전쟁하루전 평화로운 서울모습도 공개,북침 허구성 지적 러시아 최대 국영TV 오스탄키노는 21일 한국전쟁발발 및 중공군 참전내막에 관한 극비자료와 기

    중앙일보

    1994.05.23 00:00

  • 김일성.스탈린 6.25남침 첫협의-극비자료.필름 러서방영

    러시아 최대 국영 TV 오스탄키노는 21일 韓國전쟁발발및 중공군 참전내막에 관한 극비자료와 기록 필름을 처음으로 방영했다.〈中央日報 19일字 4面참조〉이날 오후 30분간 진행된 방

    중앙일보

    1994.05.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