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⑨ 노어( ·농어)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⑨ 노어( ·농어)

    몸이 둥글고 길다. 살찐 놈은 머리가 작고 입이 크고 비늘이 잘다. 검은 점이 있으며 등은 검푸르다. 맛이 좋고 담백하다. 4 ~5월 초에 나타났다가 동지가 지난 뒤에 사라진다.

    중앙일보

    2009.07.16 00:03

  • LA에서 즐기는 민물낚시는 어떨까?

    LA에서 즐기는 민물낚시는 어떨까?

    해안선이 단조롭고 수심이 얕은 남가주는 갯바위나 방파제에서의 낚시가 매우 제한적이다. 뿐만 아니라 사막성 기후 탓에 계곡도 많지 않아 플라이 낚시터도 귀하다. 그러나 알고 보니 꼭

    중앙일보

    2008.10.05 11:59

  • 파주 저수지 낚시 전면금지 논란

    파주 저수지 낚시 전면금지 논란

    1일 오후 6시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발랑리 발랑저수지. 왕복2차로 지방도 옆 숲을 배경으로 16만㎡ 규모의 저수지가 펼쳐져 있다. 씨알 굵은 붕어·잉어·향어가 풍부해 낚시꾼들 사

    중앙일보

    2008.07.03 01:34

  • 낚시 용품, G마켓서 특가로 낚아 보자

    낚시 용품, G마켓서 특가로 낚아 보자

    오픈마켓 G마켓(www.gmarket.co.kr)이 본격적인 낚시 시즌을 맞아 ‘낚시시즌 완전정복 기획전’을 6월 15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루어 낚시대, 구명조끼,

    온라인 중앙일보

    2008.06.10 09:21

  • 충주 호암지 낚시금지 한시적 해제

    충북 충주시는 호수 생태계를 교란하는 베스 등 외래어종 퇴치를 위해 호암지 낚시금지 조치를 한시적으로 해제키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이에 따라 9일~26일 낮시간 동안 호암지 루어

    중앙일보

    2008.05.09 01:22

  • 짜릿한 손맛 향긋한 회맛 밤바다의 유혹

    짜릿한 손맛 향긋한 회맛 밤바다의 유혹

    바다루어낚시 낚시는 레포츠라기보다 풍류에 가깝다는 매력 때문에 수많은 동호인을 거느린 레저다. 그래서 한국의 레저 인구가 2000만 명이라면 1000만 명은 등산인, 1000만

    중앙선데이

    2008.02.17 11:20

  • 짜릿한 손맛 향긋한 회맛 밤바다의 유혹

    짜릿한 손맛 향긋한 회맛 밤바다의 유혹

    김용태(한국 디지털 사진가협회 부산지부장) www.ikfish.com 바다루어낚시낚시는 레포츠라기보다 풍류에 가깝다는 매력 때문에 수많은 동호인을 거느린 레저다. 그래서 한국의

    중앙선데이

    2008.02.16 21:40

  • 산천어축제에 이틀 새 17만명 몰려

    산천어축제에 이틀 새 17만명 몰려

    관광객으로 북적대는 강원도 화천군 화천천의 산천어축제장. 개막날인 5일 8만여 명이 찾은 데 이어 6일에는 더 많은 관광객이 몰려 산천어 낚시를 하고, 얼음썰매· 눈썰매· 얼곰이열

    중앙일보

    2008.01.07 06:20

  • [금융Plaza] 한국씨티은행 外

    ◆한국씨티은행은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의 가치투자와 모멘텀 투자를 동시에 추구하는 ‘삼성 아시아 밸류&모멘텀 펀드’를 판매한다. 이 펀드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CGML)의 계량(

    중앙일보

    2007.11.21 19:30

  • [week&쉼] 낚시하러 가볼까

    [week&쉼] 낚시하러 가볼까

    대청호로 낚시 여행을 떠난 이한삼(43)씨 가족. 이씨와 두 아들 태경(12)·태정(11)군은 이날 2시간동안 월척을 다섯 마리나 낚았다. 오른쪽 사진은 루어(물고기 모양 가짜 미

    중앙일보

    2007.03.22 14:59

  • [week&in&Out레저] 반딧불이 생태체험 특구 경북 영양 수하계곡

    [week&in&Out레저] 반딧불이 생태체험 특구 경북 영양 수하계곡

    영양읍내를 벗어나 반딧불이 서식지 수하계곡(경북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으로 가는 길. 영양군의 도로 위엔 땡볕이 뜨겁고 차가 뜸하며 길섶에는 코스모스만 하늑거린다. '… 애닯게

    중앙일보

    2006.08.24 16:54

  • [사람 사람] "낚시도 펜싱도 인내심 싸움"

    우리 조상들은 칼을 이용해 짐승을 사냥했고, 낚시 도구를 만들어 물고기를 잡았다. 생존의 수단이었던 칼과 낚시는 오늘날 스포츠와 레저로 자리잡았다. 이 두 가지에 모두 능한 사람이

    중앙일보

    2003.02.03 17:46

  • ⑤ 충청도 지역 : 해변에서… 호숫가에서… 호젓하게 쉬어 보세유

    여름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녹음이 짙어진 전국의 산자락에는 연노랑의 밤나무 꽃이 번지며 묘한 향기를 흩뿌린다. 뙤약볕이 뜨거운 대낮, 산중의 계곡에는 벌써 물장구를 치는 어

    중앙일보

    2002.06.28 00:00

  • 리빙TV 등 프로그램 개편

    케이블채널인 리빙TV(ch28)가 오는 7월 2일을 기해 프로그램 개편을 단행, 여행 레저 분야를 대폭 강화한다. 이번 개편으로 국내 첫 루어 낚시 프로그램인 `파워 스포츠 피싱'

    중앙일보

    2001.06.28 14:42

  • 얼음낚시 이를땐 송어낚시 적합

    어정쩡한 계절. 민물 낚시인들은 붕어만으론 성이 안찬다고 입을 모은다. 살얼음만으론 본격적인 얼음낚시를 할 수 없고 찬 물을 꺼리는 붕어를 고집하다보면 어신이 뜸하다고 불만인 것이

    중앙일보

    1998.12.23 00:00

  • [낚시]남한강 상류지역 플라이낚시 인파

    브래드 피트와 로버트 래드포드가 열연했던 '흐르는 강물처럼' 은 낚시를 소재로 92년에 만들어진 영화다. 아버지는 두 아들에게 낚시를 통해 인생의 의미를 가르쳐 준다. 여기에 등장

    중앙일보

    1998.06.24 00:00

  • [레저 단신]내달 문열 영남 수렵장 소개책자 출판 外

    내달 문열 영남 수렵장 소개 ○…사냥전문지 '자연과 사냥' 이 출간됐다. 자연과 사냥은 92년부터 연간으로 발행되는 국내유일의 사냥전문지. 이번 호는 11월부터 개방되는 영남 수렵

    중앙일보

    1997.10.16 00:00

  • 낚시용품 다양해졌다

    국산 낚시용품이 최근 고급화.다양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중 가장 큰 변화는 갯바위및 배스용품.갯바위용 낚싯대는 경량.고탄성 제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기존 낚싯대의 재료가

    중앙일보

    1997.05.08 00:00

  • 배스낚시 프로시대 개막 - 상금 1천만원 올 6차례

    국내 배스낚시가 프로레포츠로 발돋움했다. 배스는 73년 국내 호수.강에 투입된 외래어종.이 배스를 플라스틱 등으로 된 가짜미끼'루어'로 낚는 것이 배스낚시다. 한국배스경기연맹(KB

    중앙일보

    1997.04.24 00:00

  • 루어낚시 가족낚시로 각광

    루어낚시가 가족 참여.환경보호 레포츠로 각광받고 있다.그동안 수요가 없어 외면해오던 낚시용품 업계도 루어 전용 낚싯대.릴.미끼등을 서둘러 등장시키고 있다.루어낚시는 지렁이등 날미끼

    중앙일보

    1997.04.17 00:00

  • 한시간에 20여마리 주렁-끄리 낚시

    날씨가 추워지면서 붕어낚시꾼의 발길이 뜸한 요즘 저수지와 대형 호수에서는 끄리가 활발한 입질을 할 때다. .강계의 폭군'으로 불리는 끄리는 루어(인조미끼)낚시 어종중가장 화끈한 손

    중앙일보

    1996.11.22 00:00

  • 저수지 송어 루어낚시꾼 부른다

    계절이 늦가을로 접어들면서 송어 루어낚시가 제철을 맞았다. 송어는 섭씨 15도 이하의 비교적 낮은 수온에서 활동한다. 다른 물고기는 대부분 날씨가 쌀쌀해지면 입질이 떨어지지만 송어

    중앙일보

    1996.11.08 00:00

  • 갯바위 루어낚시 손맛 '그만'

    루어낚시는 가짜 미끼를 달고 강.계곡을 누비며 물고기를 낚기때문에 좌대에 앉아 하는 낚시보다 훨씬 역동적이다.루어낚시의 가장 인기있는 대상어종은 힘이 세고 공격적이어서 「강계(江溪

    중앙일보

    1996.10.10 00:00

  • 북한강 문호리

    배스는 민물낚시 어종중 가장 힘이 넘치는 물고기다.지난 73년 미국에서 들여온 이래 토종붕어를 잡아먹는「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 낙인찍힌 외래어종이다.반입 초기에는 한강계와 수도권

    중앙일보

    1996.08.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