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카자흐人 韓人3세

    崔 세르게이씨(33)와 崔 이리나씨(31)는 안양시에 있는 섬유제조.가공업체인 (株)대영모방에서 일하는 카자흐人이다. 두사람은 모두 구소련 지역에서「고려인」으로 불리는 한인 3세다

    중앙일보

    1994.06.06 00:00

  • 구소서 독립한 우즈베크공(설땅없는 중앙아 한인들 현지르포:1)

    중앙아시아의 한인(고려인)들에게는 2개의 고향이 있다. 1937년 스탈린에 의해 강제이주되기 전 정착했던 연해주,그리고 고국이다. 35만여명의 한인들은 구 소련 해체이후 소수 민족

    중앙일보

    1994.05.31 00:00

  • 러시아 韓人돕기협회장 이광규교수

    『중앙아시아지역에 거주하는 한인(高麗人)들은 우리가 생각하고있는 이상으로 매우 어렵게 살아가고 있습니다.천신만고끝에 이룩해놓은 이국땅의 생활터전이 급격히 무너지면서 이들은 오도가도

    중앙일보

    1994.05.29 00:00

  • 북핵.경협등 광범위한 논의-김대통령 러시아 순방의미

    金泳三대통령은 지난해 11월 美國,금년 3월 日本.中國을 방문한데 이어 이번에 러시아를 방문함으로써 한반도 주변 4강대국순방을 모두 마치게 된다. 역사적으로나 지정학적으로 볼때 한

    중앙일보

    1994.05.04 00:00

  • 김 대통령 러시아 순방의미/4강 외교 「틀」 마무리

    ◎북핵·경협등 광범위한 논의/재러 동포들 권익향상에 도움될듯/우즈베크도 방문 외교다변화 시도 김영삼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미국,금년 3월 일본·중국을 방문한데 이어 이번에 러시아를

    중앙일보

    1994.05.04 00:00

  • 러 북한 벌목공/인도 어떻게 하나

    ◎유엔고등판무관 지원받아 여행증명서 발급/러서 한국정부에 정식인계… 외교마찰 소지/러 영주권 부여한뒤 현지 잔류나 한국에 이주 러시아가 시베리아 벌목공 노동자들의 한국 인도를 약속

    중앙일보

    1994.04.15 00:00

  • "나,러시아..."출판회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당한 在蘇한인들의 애환을 엮은『나,러시아 그리고 조국』출판기념회가 8일밤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렸다. 저자인 우즈베크 타슈켄트대학장 嚴빅토르 알렉산드로비치박

    중앙일보

    1994.04.09 00:00

  • 중앙아거주 한인 200가구/연해주로 재이주결정/연해주 주지사 회견

    강제추방위기를 맞은 중앙아시아 거주 한인중 2백여가구 4백여명이 러시아 연해주의 수찬(수청)지역에 집단 이주된다. 한러 극동협회(회장 장치혁 고합그룹 회장) 3차 총회 참석차 방한

    중앙일보

    1994.04.05 00:00

  • 러,강제이주 한인에 배상/대중교통 무료등 특혜도

    ◎명예회복법 확정따라 【모스크바=연합】 러시아정부는 1930년 대 소련에의해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당한 한인들에 대해 손해배상을 하기로 방침을 확정했다. 대통령직속 민족문

    중앙일보

    1993.07.07 00:00

  • 국회 본회의통과 주요법안 요지

    18일 국회를 통과한 주요법안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개정안=법적용대상인 차의 범위에 건설기계(종전의 기종)를 포함시키를 건설기계로 인한 교통사고에 대해서도 이

    중앙일보

    1993.05.18 00:00

  • 한인명예회복 반대한 옐친/김석환 모스크바특파원(취재일기)

    요즘 러시아 정치상황의 전개과정을 보면서 한국의 독자들은 아마도 보수파는 구공산주의 세력의 잔당으로 대부분 시대착오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며,개혁파는 서구 민주주의의 기본원칙과

    중앙일보

    1993.04.12 00:00

  • 재러 「한인명예회복법」 발효/강제 이주자에 보상금 검토

    【모스크바=연합】 루스란 하스불라토프 러시아 최고회의 의장은 지난 1일 최고회의에서 채택된 「재러시아 한인 명예 회복에 관한 법」이 9일부터 발효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8개 조항으

    중앙일보

    1993.04.10 00:00

  • 「한인명예회복 법안」 통과

    ◎러민족회의/강제이주 잘못인정… 연해주 귀환 보장/공화국회의 의결 확실 【모스크바=연합】 러시아 최고회의 산하 민족회의(하원)는 지난달 31일 1930년대말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중앙일보

    1993.04.01 00:00

  • 구소 고려인연합회 김영웅회장(일요 인터뷰)

    ◎“「한국문화」 지키게 본국서 지원을”/다민족정책 변질돼 심각한 위기/연해주 자치주 건설은 반대입장 ­최근 타지크내전으로 인한 한인들의 피해상황이 알려지면서 한국에서도 여기에 큰

    중앙일보

    1993.03.07 00:00

  • 북한,장애자 7천명 강제이주 수용

    ◎시베리아 벌목 북 지도원 러시아서 폭로 북한의 인권문제가 국내외에서 초미의 관심대상이 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은 전국의 장애자와 기형자 7천여명을 두곳의 수용소에 집단수용,인권의

    중앙일보

    1993.03.06 00:00

  • 재 소 한인자치주 설립촉진 협 부회장 이종훈씨|민족차별 심해진 지금이 자치주설립 적기|우리정부가 외교적인 후원 적극 해줬으면…

    구 소련지역 한인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재소한인 자치주 설립을 지원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재소한인 자치주설립 촉진협의회(회장 정준영)는

    중앙일보

    1993.02.12 00:00

  • “피난보따리 쌌다 풀기 수십번”/타지크의 한인들

    ◎정든 터전 버리고 한인 절반 떠나/저녁 9시 되면 통금… 학교도 휴교 【두샨베=김석환특파원 2신】 「집팝니다」 두샨베 시내 곳곳에 붙어있는 이같은 안내광고는 타지크의 혼란상과 이

    중앙일보

    1993.01.27 00:00

  • “구소한인권리회복 눈앞에”/러의회 유일한 한인계대의원 김예브게니씨

    ◎배상­연해주복귀 보장 입법확실/한인 자치주 결성가능성은 희박 타지크내전으로 구소련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조만간 러시아 최고회의의 결의에 따라

    중앙일보

    1993.01.21 00:00

  • 구소 독일계 자치공건설 성공/2백만명 볼가강유역 「제2조국」

    ◎41년 독소전 발발로 나치첩자 오명쓰고 방랑길/89년 복구운동… 독정부 적극지원 러와 협정체결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연해주 한인자치지역 창설계획이 번번이 좌절됐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중앙일보

    1993.01.21 00:00

  • 구소한인 수난에 관심갖자(사설)

    망국의 설움을 달래며 이국땅에서 힘겹게 살아온 우리 동포들이 연해주를 떠나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카자흐,타지크 등지로 강제이주해온지도 이미 60년의 세월이 흘렀다. 이민 3세가 된

    중앙일보

    1993.01.20 00:00

  • 구소 중앙아 한인동포/연해주 귀환길 열릴듯

    ◎「명예회복에 관한 법안」/러 의회 상정처리 확정 【모스크바=연합】 1937년 요시프 스탈린의 강제명령에 의해 중앙아시아 각지로 분산 이주당했던 한인동포들에 대한 명예가 회복되고

    중앙일보

    1993.01.20 00:00

  • 민족주의 물결로 구소 전역서 위기감

    ◎적임따져 정부가 대러 교섭 서둘러야 독립국가연합(CIS) 소속 타지크공화국에서 발생한 내전의 여파로 1만3천명의 현지 한인들이 난민화 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구소련권에 거

    중앙일보

    1993.01.20 00:00

  • 수난의 역사(분수대)

    이 지구상에는 두개의 한국이 아니라 세개의 한국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제3의 한국은 눈에 보이지도,지도에 나타나지도 않은 나라. 바로 지구상 여러곳에 흩어져 살고있는 수백만명의

    중앙일보

    1993.01.20 00:00

  • 끝없는 유랑 “또 어디로…”/내전에 휩싸인 타지크 한인들

    ◎회교게릴라에 끌려가 상당수 “행불”/“이대로 당할수만은 없다”안쓰런 자구노력 『이 엄동설한에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한단 말인가. 수십년 정든 땅을 두고서….』 타지크공화국 수도 두

    중앙일보

    1993.01.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