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장욱진의 자갈치시장, 김환기의 판잣집 … 50년대 부산 속으로

    장욱진의 자갈치시장, 김환기의 판잣집 … 50년대 부산 속으로

    한국전쟁기 부산에는 전국에서 많은 예술가가 몰려들었으며 뜻이 맞는 작가들은 주로 다방에서 동인전을 열었다. 1950년대 부산의 고단한 삶의 풍경을 그린 장욱진의 ‘자갈치 시장’(

    중앙일보

    2018.03.08 00:53

  • 전시 보러 부산 가자! 1930년대 부산에서 무슨 일이…?

    전시 보러 부산 가자! 1930년대 부산에서 무슨 일이…?

    일본인 화가 가타야마 탄이 그린 '언덕', 1935, 169x186cm, 천에 채색, 개인소장. [사진 부산시립미술관]   황토색 치마에 하얀 저고리를 입은 여인이

    중앙일보

    2018.03.07 14:04

  • 2018.01.14 문화 가이드

    2018.01.14 문화 가이드

     ━  [책]   종이의 신 이야기 저자: 오다이라 가즈에 사진: 고바야시 기유우 역자: 오근영 출판사: 책읽는수요일 가격: 1만5000원   일본 최고 장인들과 크리에이터들이

    중앙선데이

    2018.01.14 02:00

  • 신사실파 vs 토벽동인 … 64년 만의 전시 대결

    신사실파 vs 토벽동인 … 64년 만의 전시 대결

    1953년 피란수도였던 부산에서 벌어진 전국구와 부산 미술계의 대결이 64년 만에 부산에서 재현된다.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지난 26일부터 오는 8월 13일까지 열리는 ‘신사실파, 추

    중앙일보

    2017.05.31 03:01

  • “작가 인생·인품 보고 30년간 사 모은 작품들 이제 함께 보고 싶네요”

    “작가 인생·인품 보고 30년간 사 모은 작품들 이제 함께 보고 싶네요”

    서울미술관을 설립한 안병광 유니온약품 회장(사진 왼쪽)이 부인인 서유진 석파문화원 원장, 이주헌 서울미술관 관장과 함께 미술관 위에 있는 석파정 한옥 앞에 모였다. 장면1. 19

    중앙선데이

    2012.08.25 22:28

  • 이중섭 ‘황소’ 대원군 석파정 미술관에 다 있네

    이중섭 ‘황소’ 대원군 석파정 미술관에 다 있네

    대원군의 별장이었던 서울 부암동 석파정이 29일 일반에 처음 공개된다. 인왕산 기슭 수려한 자연경관과 어우러진 한옥이다. [사진 서울미술관] 이주헌 관장1983년 서울 명동 성모병

    중앙일보

    2012.08.23 00:08

  • [팝업] 실 같은 선들이 모여 풍경이 되다

    [팝업] 실 같은 선들이 모여 풍경이 되다

    한국펜화가협회 안충기 회원이 출품한 ‘한벽당’. 한국펜화가협회(회장 김영택)가 최근 발족, 3~8일 서울 남대문 알파갤러리에서 첫 그룹전을 마쳤다.  올해 초 예술의전당 아카데미

    중앙일보

    2011.06.14 00:15

  • [이만훈전문기자의사람그리고세상] 훈민정음해례본 처음 완각한 서각 장인 김성씨

    [이만훈전문기자의사람그리고세상] 훈민정음해례본 처음 완각한 서각 장인 김성씨

    옛 선비들이 시·서·화와 더불어 문화의 한 장르로 여기던 서각은 집중력의 예술이다. 삼매경에 빠져 있던 김성씨가 모처럼 환하게 웃고 있다. [사진=프리랜서 오종찬]김씨가 5개월 작

    중앙일보

    2008.03.24 01:00

  • [작은갤러리] 숨

    [작은갤러리] 숨

    '을유년 한벽 동인전'(15일까지 서울 공평동 공평아트센터.02-733-9512)의 조미영 작

    중앙일보

    2005.02.10 18:37

  • [미술] 따뜻한 섬유와 디자인의 만남

    [미술] 따뜻한 섬유와 디자인의 만남

    섬유미술은 생활 속에 파고드는 친밀함으로 보는 이에게 쉽게 다가온다. 현대미술에서 섬유가 중요 소재이자 독립 작품으로 자리잡은 까닭이다. 여러 대학에서 섬유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는

    중앙일보

    2003.12.18 18:09

  • [아듀 2003] 미술

    올 미술계는 돈에 목마른 한 해를 보냈다. 경기 침체의 여파가 미술시장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고, 외부 지원에 매달려온 사립미술관은 문을 닫거나 살아남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마음

    중앙일보

    2003.12.16 17:10

  • [미술] '동양적 사유 …'展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여성주의(페미니즘) 미술의 역사는 짧다. 미술사가들은 우리나라 페미니즘 미술의 시작을 보통 1986년 열린 김인순.김진숙.윤석남 세 사람의 동인전 '반에서 하나

    중앙일보

    2003.10.14 17:35

  • 부음

    ▶金觀中씨(전 ㈜경보 부사장)별세, 金善基(피스트 그로벌㈜ 사장)·贊(김찬내과의원장)·善郁씨(알리안츠 프랑스생명 차장)부친상=6일 오전 8시 서울아산병원, 발인 8일 오전 8시,

    중앙일보

    2002.09.07 00:00

  • 故 박고석 화백 : 수채화에 우리 정취 담은 '山의 화가'

    '산(山)의 화가'로 불려온 서양화가 박고석(朴古石)씨가 23일 오후 10시15분에 타계했다. 85세. 시인 고은(高銀)씨는 "명동에서 함께 자주 만나 소주잔을 기울이며 예술을

    중앙일보

    2002.05.25 00:00

  • [전시] 한동인展

    중견 작가 한동인씨의 12번째 개인전. 섬에서 태어나 자란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바다와 하늘, 그리고 여기에 얽힌 추억을 형상화한 유화를 선보인다. '바다에 그림을 띄우는 사람'

    중앙일보

    1999.05.21 00:00

  • [전시]뢰차 동인전

    글씨와 그림은 한 뿌리에서 나온 것이라는게 동양의 생각이다. 이른바 서화동원론 (書畵同源論) .나란히 붓을 사용하고 그 테크닉이 그렇다는 것만은 아니다. 글씨가 말하는 시의 정신과

    중앙일보

    1998.04.24 00:00

  • 춘천출신 서양화가 이광택씨.한국화가 강선주씨 부부展 열려

    춘천출신 서양화가 이광택(李光澤.36)씨와 한국화가 강선주(姜先珠.33)씨 부부전이 3~16일 춘천시삼천동 어린이회관내 춘천미술관에서 열린다. 최근 2년간 춘천시동면장학리 일대 마

    중앙일보

    1997.05.01 00:00

  • 첫 개인전 갖는 장애인 화가 김춘배씨

    대학을 졸업한지 25년만에 첫 개인전을 여는 서양화가 김춘배(金春培.41.춘천시낙원동)씨.어릴때 소아마비로 걸음걸이가 불편하고 수술시 마취후유증으로 청력까지 잃었다.학창시절만 해도

    중앙일보

    1997.03.27 00:00

  • 拉北화가 임군홍 예술세계 再조명-갤러리 도올서 전시회

    1930년대 한국 화단에서 활발한 활동을 펴며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전개하다 6.25때 납북된 서양화가 임군홍(林群鴻.생존시 84세)화백을 재조명하는 전시회가 19일부터 갤러리 도올

    중앙일보

    1996.06.16 00:00

  • 강국진씨 추모전

    60년대 중반 전위미술 해프닝을 일으키고 70년대 미술운동의기수로 활약하는등 다양한 미술활동을 펼치다가 지난92년 53세로 타계한 화가 강국진(姜國鎭)씨의 3주기를 맞아 대규모 추

    중앙일보

    1995.10.26 00:00

  • 대기업 中企고유업종 진출 봇물-내일부터 김치.장류등 해제

    9월1일자로 58개 중소기업고유업종이 해제돼 이들 업종의 시장판도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 가운데 배합사료등 10여개 업종의 경우 대기업들이 신규진입하거나 증설등을 추진하고 있어

    중앙일보

    1994.08.31 00:00

  • 가나美術賞 수상자 선정

    격월간 미술전문잡지『가나아트』(대표 李皓宰)가 제정한 제3회가나미술상 수상자로 창작부문에 서양화가 李鍾九씨(40),비창작부문에「民學會」(대표 趙子庸)가 각각 선정됐다. 창작부문 수

    중앙일보

    1994.03.22 00:00

  • 「투영」6회 사진전

    언론사 현직 사진기자들의 동인모임 「투영」의 여섯번째 사진전이 10일까지 후지 포토살롱((266)3772)에서 열린다. 이번 동인전에는 채흥모(중앙일보)·고명진(한국일보)·구자호(

    중앙일보

    1992.10.06 00:00

  • (16) 「촛불전시」로 끝난 첫 민중미술전

    지난 80년10월 출범했던 미술동인 「현실과 발언」은 80년대 미술계를 들끓게했던 민중미술운동의 기폭제였다. 이 미술그룹은 당시 진보적성향의 30대 작가와 평론가 16명이 모여 발

    중앙일보

    1991.09.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