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생활환경 개선 급하다

    「공룡도시」서울-. 서울에 사는 시민들은 서울을 어떻게 느끼고 있을까.그 대답은한결같이 교통체증에 시달리고,수질오염.대기오염등 각종 공해에 찌들어 숨도 제대로 못쉴 지경이라는 것이

    중앙일보

    1994.02.02 00:00

  • 「생활환경」 개선급하다(열린 세계 뛰는 서울:4)

    ◎공해·교통난 심한 「공룡도시」/대기오염 심각… 도로는 흡사 주차장/공공도선관 100만명에 불과 한곳반꼴/공원면적은 90년대들어 오히려 줄어 「공룡도시」 서울­. 서울에 사는 시민

    중앙일보

    1994.02.02 00:00

  • 4.강홍빈 서울시 정책관리실장

    『서울시민들이 서울에 대해 애착을 갖지 못하고 잠시 스쳐 지나갈 뿐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시민과 정부 모두자기가 사는 도시에 애착을 갖고 가꾸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앙일보

    1994.02.02 00:00

  • 호텔 공사장 무너져 도로 폭삭-어젯밤 서울 禿山洞서

    지난달 31일 오후5시20분쯤 서울구로구독산동 노보텔 앰배서더호텔 신축공사장에서 지하 굴착작업도중 공사장 외벽이 붕괴,인접한 폭8m의 도로가 20m가량 내려 앉았다. 이 사고로 도

    중앙일보

    1994.02.01 00:00

  • 유성온천수 다시 팝니다-사용업소 스티커 부착

    『피부미용과 신경통.비만증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유성온천수를 팝니다.』 온천도시에 자리잡은 대전 유성구청이 자체개발한 온천수를 팔기위해 호텔과 여관을 상대로 세일작전에 나섰다.

    중앙일보

    1994.01.30 00:00

  • 3.유례없는 인구팽창 주거.교통 열악

    「서울은 어디에 와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서울의 역사를 더듬는데서 시작된다. 과거의 발자취는 바로 현실의 뿌리이기 때문이다. 朝鮮朝 太祖 李成桂가 서울에 도읍을 정한지

    중앙일보

    1994.01.26 00:00

  • 엇갈리는 여야/민자 “우울” 민주 “활기”

    ◎쌀·물 파동에 혼쭐… “선거땐 결딴”/민자/「생활정치」 큰 효험… “지지 앞섰다”/민주 새해들면서 민자당과 민주당의 활동이 눈에 띄게 대비되고 있다. 민자당은 김영삼대통령의 전당

    중앙일보

    1994.01.24 00:00

  • 상수도료 거부운동(분수대)

    환경보호를 최우선의 가치로 신봉하는 생태주의자들은 자연을 인간을 위한 이용물로 더이상 확대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자연도 생존권을 갖는 일종의 인격체로 생각해 인간과 자연이 윤리

    중앙일보

    1994.01.18 00:00

  • 우리 환경을 살리자:2(물비상… 이대론 안된다:2)

    ◎수질오염 사전대책 급하다/본류서 지천까지 정기점검 필요 91년 가을 환경보호라면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는다는 미국의 한 소도시(위스콘신주 비버댐시)에서 우리 낙동강물 이상으로

    중앙일보

    1994.01.17 00:00

  • 벤젠.톨루엔 섞인 수돗물-안끓여 마시면 위험

    국민들에게 분노와 충격.배신감.불안을 안겨 준 수돗물속의 발암성 물질 벤젠과 유독물질 톨루엔은 과연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朴鈗炘환경처장관이 낙동강 수돗물에서 벤젠.톨

    중앙일보

    1994.01.15 00:00

  • 상류에 하수처리장 증설 급하다/낙동강의 맑은물 어떻게 되찾나

    ◎오·폐수 분리시설 턱없이 모자라/예산지원·환경감시운동도 절실 낙동강 오염방지를 위해서는 상류에서부터 기초환경시설을 완벽하게 갖추고 강유역 주민들이 철저히 환경운동을 실천해야 한다

    중앙일보

    1994.01.15 00:00

  • 상류에 하수처리장 증설 급하다-낙동강의 맑은물 대책

    낙동강 오염방지를 위해서는 상류에서부터 기초환경시설을 완벽하게 갖추고 강유역 주민들이 철저히 환경운동을 실천해야 한다. 낙동강 유역에는 현재 환경기초시설 부족으로 상.중류지역의 하

    중앙일보

    1994.01.15 00:00

  • 교통·보사부 업무보고 내용

    ◎교통부/교통난 덜어 물류비 절감/21세기 대비 운송계획기능 통합/시설투자·부처 영역조정이 문제 교통부의 청와대 업무보고는 최근들어 교통혼잡으로 인한 손실이 연간 5조원에 이르고

    중앙일보

    1994.01.14 00:00

  • 청와대 「생활개혁 10대 과제」 내용

    ◇후진국형 인재추방(총리실)=철도,해운,유·도선,항공,지하철,가스,전기,석유화학,노후건축물,교량,지하철공사장,화재 등 12개 분야를 중점관리. 행정단위별로 사고예방대책협의회를 운영

    중앙일보

    1994.01.07 00:00

  • 5.관광객 내쫓는 호텔행정

    『서울 관광을 마치고 열차로 밤늦게 도착해보니 호텔 식당이 문을 닫아버려 저녁을 굶었어요.』 慶州 K관광호텔에 투숙한 캐나다인 앤더슨씨(57.토론토거주)는 음식점은 물론 디스코장.

    중앙일보

    1994.01.07 00:00

  • 마시는 물 기준 강화-알루미늄 허용기준치 신설

    보사부는 6일 내년부터 마시는 물의 수질기준에 알루미늄 허용치를 추가하는 내용의 음용수 수질기준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보사부는 음용수중의 알루미늄이 노인성치매 또는

    중앙일보

    1994.01.06 00:00

  • 경북도 상수도시설 확장.개량사업으로 보급률 올리기로

    [大邱=金永洙기자]경북도는 3일 올해 6백억원을 들여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상수도시설 확장및 개량사업을 추진,상수도 보급률을 56.2%에서 61.6%로 끌어 올리기로 했다. 도는

    중앙일보

    1994.01.03 00:00

  • 5.인제 연화동계곡 지킴이부부 이진수.김혹남

    도시인들은 녹색을 그리워한다.그러나 막상 전원생활을 위해 도시를 떠나려면 용기가 필요하다.경제문제와 더불어 자녀교육문제. 문화생활로부터의 소외감.부실한 의료혜택등이 도시를 떠나려는

    중앙일보

    1993.12.07 00:00

  • 수돗물 그대로 먹는 집 2%뿐-首都圈지역 주민조사

    상수원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서울및 수도권지역 시민들은 2%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을 환경도시로」를 내걸고 삼성전자와 함

    중앙일보

    1993.10.06 00:00

  • 수돗물 폐.하수 지역책임제로-건국대 남상호교수

    「수돗물을 마음놓고 마실수 없다」는 시민이 78%(서울YMCA 조사)에 이를만큼 수질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높은 가운데14일 서울YMCA 강당에서「수도권의 젖줄-한강 상수원 보호

    중앙일보

    1993.09.15 00:00

  • 서울 91개 동 22일 단수

    서울 정릉천변 도시고속도로 건설구간에 있는 상수도 이전공사와 뚝도정수장의 노후설비 교체작업으로 서울도심 8개구 91개동 30만3천 가구에 22일 6∼8시간동안 수돗물이 나오지 않는

    중앙일보

    1993.05.19 00:00

  • 가상소설 『민선 서울특별시장』낸 TV카메라기자 이상노씨

    현직 방송카메라기자가 민선시장과 함께하는 시민들의 천국「서울」만들기 현장기록을 카메라가 아닌 책에 담아내 주목을 끌고있다. 최근가상소설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출간한 MBC보도카메

    중앙일보

    1993.04.12 00:00

  • 세계를 간다|뉴질랜드 퀸스타운 여왕처럼 우아한 "호반의 그린벨트"

    국토 27만평방㎞. 한국의 3배-. 지구상에 이 어마어마한 땅이 전부 녹색의 잔디로 그림같이 깔려있다고 하면 아마 믿지 못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서울에서 12시간여 동안 날아

    중앙일보

    1993.04.04 00:00

  • 생수시판 수돗물 개선 없인 안 될 일

    생수시판을 현실화하라(중앙일보3월30일자)는 사설에 전적으로 반대한다. 생수는 사설에서 지적한 것처럼 결코 생활필수품도 아니며 음용이 대중화된 것도 아니다. 또한 일부 부자동네에서

    중앙일보

    1993.04.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