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일본에 와규 있다면, 한국엔 천연기념물 제주흑우 있다

    일본에 와규 있다면, 한국엔 천연기념물 제주흑우 있다

    서귀포시축협 생축사업장에서 길러지는 제주흑우들. [이수기 기자] 지난달 28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에 위치한 서귀포시축협 생축사업장. 사업장 내에 거대한 축사들이 줄지어

    중앙선데이

    2018.09.08 00:02

  • [서소문사진관] 멸종위기 칡소 명품소로 재탄생 된다

    [서소문사진관] 멸종위기 칡소 명품소로 재탄생 된다

    진갈색 줄무늬가 선명한 토종한우 칡소. 종복원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돼 현재 전국에 300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전민규 기자해질 무렵 한우의 활갈색 털이 빛나고 있다. 우리 토

    중앙일보

    2016.10.18 00:01

  • [스페셜 리포트] 죽은 지 3년 만에 …‘명품’ 제주흑우 씨암소 복제 성공

    [스페셜 리포트] 죽은 지 3년 만에 …‘명품’ 제주흑우 씨암소 복제 성공

    3년 전 죽은 최우량 혈통의 제주흑우 씨암소가 체세포 복제 기술로 복원됐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2일 제주대 박세필 교수팀과 미래생명공학연구소가 세계 최초로 복제수정란 초급속 냉

    중앙일보

    2011.06.13 00:09

  • 고구려 벽화에도 나오는 ‘얼룩빼기 황소’ 다시 운다

    고구려 벽화에도 나오는 ‘얼룩빼기 황소’ 다시 운다

    박연수 연구사지난 13일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강원도축산기술연구센터. 해발 600m의 제2우사 앞 초지에는 50여 마리의 소가 한가롭게 풀을 뜯고 있었다. 이 가운데 30여 마리는

    중앙일보

    2009.10.27 01:42

  • 제주 흑우 복제 해냈다

    제주 흑우 복제 해냈다

    제주토종 ‘흑우(黑牛)’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복제됐다. 박세필 교수와 첫 번째 복제 흑우 ‘흑영돌이’. [연합뉴스]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박세필 교수팀과 ㈜미래생명공학연

    중앙일보

    2009.09.01 02:08

  • 1억짜리 ‘명품 한우’ 도전하는 장수군

    1억짜리 ‘명품 한우’ 도전하는 장수군

    전북 장수군 천천면 에 있는 한우 유전자뱅크를 찾은 장재영 군수右와 김형주 수정란이식팀장이 전국에서 골라 온 최고 품종의 한우들을 살펴보고 있다. 장수=프리랜서 오종찬지난해 12월

    중앙일보

    2009.01.01 01:54

  • 안락사로 최후 맞이한 6년7개월의 삶

    안락사로 최후 맞이한 6년7개월의 삶

    생식세포가 아닌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된 최초의 포유류인 돌리는 웨일스 산양과의 사이에서 모두 6마리의 새끼를 낳았다. 돌리의 건강 상태는 언제나 과학계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중앙선데이

    2008.12.14 08:48

  • [Special Report] 한 가마 100만원도 아깝지 않다

    추수를 앞둔 강화 초지마을을 찾았다. 안개 낀 가을 바다를 보며 해안도로를 따라 내려가니 탁 트인 너른 평야가 눈앞에 펼쳐졌다. 평야를 가득 메운 벼가 아직 푸릇하다. 북쪽 바닷

    중앙일보

    2007.09.26 16:31

  • 고기맛 좋은 한우 ‘칡소’ ‘울릉도 브랜드’로 키운다

    고기맛 좋은 한우 ‘칡소’ ‘울릉도 브랜드’로 키운다

    울릉군은 칠덩쿨 같은 얼룩 무늬가 있는 전통 한우로 전국적으로 200~300마리만 사육 중인 칡소를 ‘울릉도 브랜드’로 키우기로 했다. 울릉도에서 사육 중인 한우(일명 약소) 70

    중앙일보

    2007.09.20 06:09

  •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⑧기술진보] 74. 생명 복제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⑧기술진보] 74. 생명 복제

    개나리나 장미 나뭇가지를 잘라 땅에 꽂으면 뿌리를 내려 꽃을 피운다. 원래 식물과 유전자가 똑같은 개나리와 장미가 나온 것이다. 이는 식물의 복제다. 그러나 1997년 영국 로슬린

    중앙일보

    2005.09.07 10:50

  • 젖소가 한우 송아지 낳았다

    젖소가 한우 송아지 낳았다

    ▶ 축산농 윤용한씨(右)와 최수호 연구사가 젖소에서 생산된 송아지를 돌보고 있다. [경북도축산기술연구소 제공] "젖소를 이용해 한우 송아지를 생산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젖소 5

    중앙일보

    2004.04.25 20:08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⑤

    세계 최초의 복제 양 `돌리''가 태어난 후 전세계 과학자들은 복제와 줄기세포(stem cell) 연구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윤리논쟁도 뜨겁게 일고 있다. 19

    중앙일보

    2001.07.24 09:34

  • 5억원대 최우량 한우 복제 송아지 탄생

    국내 한우 가운데 최우수 형질을 가진 종모우(種牡牛)의 복제 송아지가 탄생됐다. 13일 생명공학 벤처기업인 ㈜에이시티 코리아(대표 심호섭 단국대 의대 교수)에 따르면 이 회사는 충

    중앙일보

    2001.06.13 10:48

  • 강원, 첫 체세포 복제수정란 이용 한우 탄생

    강원도내에서도 체세포 복제수정란을 이용한 한우 송아지가 처음으로 탄생했다. 강원도 양구군은 지난 해 8월 체세포 복제수정란을 이식했던 한우에서 건강한암송아지 1마리가 10일 오전

    중앙일보

    2001.05.10 14:03

  • 경북도, 첫 복제송아지 생산 성공

    경북도내에서도 처음으로 체세포 복제수정란 이식을 통한 송아지가 태어났다. 경북도축산기술연구소는 지난해 6월 체세포 복제수정란을 이식한 대리모(한우)에서 지난 3일과 13, 14일

    중앙일보

    2001.04.27 10:54

  • 체세포 복제소 '영롱이', 송아지 첫 출산

    국내 최초의 체세포 복제소인 '영롱이'가 12일첫 송아지를 낳았다. 서울대 황우석교수팀은 지난 99년2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체세포 복제로 생산된 젖소 `영롱이'가 이날 오후 3시

    중앙일보

    2001.04.12 15:55

  • '늙은 젖소로 한우 송아지 생산 고소득'

    젖을 짜먹은 늙은 젖소에서 우수혈통의 한우 송아지를 생산, 농가소득을 높이고 있다. 21일 충북도 가축위생연구소에 따르면 젖소는 새끼를 5-6차례 낳으면 젖 생산량이 줄어 젖소로서

    중앙일보

    2000.09.21 13:29

  • 국내 첫 복제 수컷 송아지 탄생

    국내 최초의 복제 수컷 송아지가 태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 수의학과대학 황우석(47)교수는 4일 “지난달 18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복제기술에 의한 쌍둥이 수컷 송아지가 태어났

    중앙일보

    2000.03.04 13:56

  • 멸종위기 백두산 호랑이, 내년에 복제된다

    새 밀레니엄이 시작되는 2000년에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 민족의 `영물'' 백두산호랑이가 복제돼 태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최초로 체세포 복제로 복제 젖소 `영롱이''와 복제

    중앙일보

    1999.12.29 14:28

  • 복제 한우도 태어난다

    복제 젖소에 이어 '한우 복제 송아지' 가 태어날 예정이다. 지난달 12일 국내 처음으로 체세포 복제기법을 통해 젖소 복제 송아지를 탄생시킨 서울대 황우석 (黃禹錫) 교수는 25일

    중앙일보

    1999.03.26 00:00

  • 국내 첫 복제 송아지 탄생

    복제양 돌리와 같은 방식으로 복제된 동물이 국내에서도 태어났다. 서울대 수의학대 생물공학연구실의 황우석 (黃禹錫) 박사팀은 지난 12일 오후 5시30분쯤 경기도 화성군의 D목장에서

    중앙일보

    1999.02.20 00:00

  • 복제 송아지 3마리 유산…1마리만 생존

    국내 최초의 체세포 복제 송아지 네마리 가운데 세마리가 유산되고 한마리만이 임신 8개월째를 넘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복제양 돌리를 필두로 시작된 체세포 복제는 암수의 수정없이

    중앙일보

    1998.11.30 00:00

  • '복제소' 내년 1월 한국서 탄생

    암수의 수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복제양 '돌리' 처럼 체세포를 복제해 만든 송아지가 내년 1월 우리나라에서도 탄생한다.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黃禹錫.인공임신학) 교수 연구팀은 2

    중앙일보

    1998.08.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