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 의장과 선거구의 인연

    정일권 공화당 의장 서리는 13일 속초-고성-양양-인제 지구를 선거구로 갖게 된데 대해 박정희 총재로부터『한병기 의원이 후퇴를 하고 싶다니 이 지역을 맡아 보라』고 해서 지역구 출

    중앙일보

    1973.02.13 00:00

  • (421)지원 작전(7)

    (1) 공병은 다른 병과와는 달리 「기술」과「전투」를 겸하는 준 전투 병과로서 도로를 보수, 확장하고 교량을 가설하며 축성 공사 등으로 보병 부대를 지원하는 본연의 임무와 더불어

    중앙일보

    1973.02.05 00:00

  • 그 전과와 평정사업|「따이한」의 용맹 심고…주월 한국군 8년만에 회군

    【사이공=신상갑 특파원】한국역사상 첫 해외원정군인 주월 한국군이 파월 8년만에 드디어 개선 귀국한다. 자유세계의 대공전선의 일역을 맡고 우방국가인 월남을 공산주의침략으로부터 구출하

    중앙일보

    1973.01.30 00:00

  • (416)지원작전(2)|군수보급(2)

    6·25전쟁은 전술적으로는 공산군의「인해」와「유엔」군의「물량」의 대결이었다고 볼 수 있다. 「유엔」군은 방대한 미군의 군수보급을 뒷받침으로 1백80억「달러」의 전비와 63만5천t의

    중앙일보

    1973.01.19 00:00

  • (411)|우방 참전부대(12)|호주·「뉴질랜드」군

    육·해·공 3군을 모두 참전시킨 호주와 육·해군만 보낸 뉴질랜드는 서로 공동보조를 취하며 한국전 3년을 치렀다. 그것은 벨기에와 룩셈부르크의 관계처럼 양국도 당시 외교·군사·경제면

    중앙일보

    1973.01.04 00:00

  • (400)세계 관군의 내용

    (1)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우방 유엔 회원국들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신속히 한국 지원에 나서 공산군과 대전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다음 기록에

    중앙일보

    1972.11.30 00:00

  • 사이판 기지 재건|WP, 월남 종전 후 방위선으로

    【워싱턴 14일 동양】 미국 군부는 월남 종전 후의시기에 있어서 미 국방위 선 구축의 일환으로 서 태평양 지역에 있는「티니안」 「사이판」도 등지의 세계2차 대전 당시 중폭 기지들을

    중앙일보

    1972.10.16 00:00

  • (371)|「스탈린」의 죽음 (5)|소련과 6·25( 2)

    1949년 3월 초순에 「크렘린」 당국자들은 북한과 중공 집권자들을 「모스크바」로 불러들였다. 이때 중공은 만주를 거의 휩쓸며 대륙 지배를 눈앞에 두고 있었으며, 남한에는 대한민국

    중앙일보

    1972.09.13 00:00

  • (370)|「스탈린」의 죽음(4)|소련과 6·25(1)

    「스탈린」이 죽기 전에 한반도 전체에 공산위성 정권을 세우려고 마음먹은 것은 대일 참전 때부터였다. 하긴 소련이 한반도의 부동항에 군침을 삼킨 것은 이미 제정 노서아 때부터이긴 했

    중앙일보

    1972.09.11 00:00

  • (551)제자 이석오|내가 아는 이박사-경무대 사계 여록(178) 한갑수|방일일화

    54년 이박사는 「아이젠하워」대통령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했다. 나는 당시 「앨라배마」주에 있는 미 공군참모대학에 수학 중이어서 이박사의 방미동정을 누구보다도 잘 알 수 있었다.

    중앙일보

    1972.09.06 00:00

  • (363)전시하의 정치파동 ⑫|대통령 저격 미수

    국제 구락부 유혈사건의 흥분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6·25기념식에서 이승만대통령 저격사건이 일어나 정국을 더욱 어수선한 소용돌이로 몰아넣었다. 범인 유시태가 쏜 탄환이 비록

    중앙일보

    1972.08.16 00:00

  • (351)유격전(20)|민간유격대

    6.25전쟁 중 적지가 된 여러 지방에서는 애향심과 적개심에 불타는 지방유지들과 청년들이 공산군이나 그 기관을 기습하는 등 산발적인「게릴라」전을 벌였다. 이들은「유엔」군과 경찰이

    중앙일보

    1972.07.17 00:00

  • (511)|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 4계 여록(138)|손원일

    방위군 사건으로 52년 3월 이기붕 씨가 국방장관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때 이대통령은 나를 관저로 부르더니 국방을 맡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타진했다. 갑작스런 제의라서 얼떨떨했

    중앙일보

    1972.07.15 00:00

  • (348)|유격전(17)|백호부대(1)

    8군사령관 밴플리트 대장이 유엔군 총사령부에 보낸 작전보고에서 『백령도의 동키부대는 현재 미정친군 1개 사단에 맞먹는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와 같이 서해안 유격부대들의

    중앙일보

    1972.07.10 00:00

  • (346) 유격전⑮ - 백마부대(1)

    평안북도 정주군 일대의 반공 청년들을 중심으로 편성됐던 유격 백마부대는 북위 40도선에 가까운 대화도·애도·단도·암도등을 거점으로하여 철산반도 연안의 섬들을 방어하며 「게릴라」전을

    중앙일보

    1972.07.06 00:00

  • (344)유격전(13)-옹진 학도병(1)

    1·4후퇴를 전후해서 2만 여명의 북한 반공 청년들은 서해안 일대 도서로 집결, 「게릴라」전을 전개했는데 이를 제일 먼저 탐지한 것은 우리 해군과 미군 정보대였다. 이 같은 사실을

    중앙일보

    1972.06.30 00:00

  • (341)유격전(10)

    단군설하구전의 바탕이 되고 있는 구월산에 접한 황해도의 은율·안악·신천·재령·장련·송화군 일대는 6·25전부터 북괴가 말하는 소위 최악의 「반경」지역으로 그들로부터 혹심한 탄압을

    중앙일보

    1972.06.23 00:00

  • (337)유격전⑥

    Y부대 유격용사들은 51년11월부터는 모든 작전을 중지하고 월동에 들어갔다. 역단위로 편성됐던 혼성부대들은 월동을 위해 7∼10명씩의 지구대로 분산해 연고지로 들어갔다. 혹한의 추

    중앙일보

    1972.06.14 00:00

  • (335)>유격전(4)|Y부대(4)

    산이 생긴 이래 인적이라곤 거의 없었던 밀림 속에「아지트」를 구축한 Y부대 유격용사들은 수백 리 씩 나가 수색 전을 전개해 전투를 위한 정보를 수집했다. 오직 적개심을 안고 반공유

    중앙일보

    1972.06.09 00:00

  • (334)-Y부대(3)유격전(3)

    공작대원들의 거점확보가 끝난 후 투입된 전투대원들은 51년9월초부터 각부대별로 본격적인 작전을 전개했다. 정규 괴뢰군부대와의 전투는 물론 중요한 군사시설들을 기습 파괴하고 부락을

    중앙일보

    1972.06.07 00:00

  • (330)|「아이크」집권과 내한(6)|3일간의 방한(3)

    한국정부나 이승만 대통령은 「마크·클라크」「유엔」군 총사령관 못지 않게 「아이크」 집권과 내한에 대해 큰 기대를 걸고있었다. 알다시피 「트루먼」대통령이 「맥아더」원수를 해임하고 굴

    중앙일보

    1972.05.24 00:00

  • (320)하늘의 전쟁(11)

    (3) 제10전투비행전대가 1951년10월11일의 단독 출격 개시부터 53년7월27일의 휴전조인 때까지 1년8개월 동안에 올린 전과는 괄목할만하지만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케이스」

    중앙일보

    1972.05.01 00:00

  • (318)-하늘의 전쟁(9)

    (1) 1951년10월11일부터 53년7월27일에 휴전협정이 조인될 때까지 한국 공군의 출격 작전은 거의 강릉 기지에서 감행되었다. 10월l일에 사천에 본부를 둔 제1전투 비행단의

    중앙일보

    1972.04.24 00:00

  • (317) 하늘의 전쟁(8)

    (2) 한국 공군의 정비사들이 무진 고생을 하면서도 가장 보람을 느낀 것이, 역시 강릉 기지에서 제10 전투 비행 전대가 1951년10월11일부터 독자 출격을 감행하기 시작할 때부

    중앙일보

    1972.04.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