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앞으로 10년이 지구촌 '티핑 포인트'…한국의 돌파구는 동맹

    [김민석의 Mr. 밀리터리] 앞으로 10년이 지구촌 '티핑 포인트'…한국의 돌파구는 동맹

         ━  한미동맹 70년, 한미수교 140년     중국 “사회주의 반드시 승리” 공언   미국 “위기의 민주주의 지켜낼 것”  군사·정치·경제 총체적 경쟁 국면   한국,

    중앙일보

    2023.01.26 00:59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미·중 전쟁과 코로나 2중고, 우리의 무기는 민주주의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미·중 전쟁과 코로나 2중고, 우리의 무기는 민주주의

     ━  세계사의 흐름과 한반도 정세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한국의 역사는 세계사적 흐름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다. 특히 제국주의 시대 이후 모든 일국사는 세계사의 흐름에

    중앙일보

    2022.01.20 00:35

  • [6·25 전쟁, 1128일의 기억] (254) 박명림 연세대 교수 특별기고

    [6·25 전쟁, 1128일의 기억] (254) 박명림 연세대 교수 특별기고

    1954년 7월 미국을 방문한 이승만 대통령(왼쪽에서 둘째)이 백악관에 도착해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당시 미 부통령인 리처드 닉슨이다. 대통령 퇴임

    중앙일보

    2011.01.19 00:42

  • [한·미 관계 현안] 아시아재단 50주년 좌담

    *** 참석자 마이클 아마코스트 (前 미국무부 차관) 데이비드 스타인버그 (조지타운대 교수) 사회=이홍구 본사 고문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이 던진 '12월 재신임 투표' 카드로 소용

    중앙일보

    2003.10.14 17:52

  • [대법원을 보는 시각]

    법원길들이기 최근 일부 언론과 법조계 일각에서는 대법관들의 정치철학적 성향과 대법원 판결의 성격을 규정하고자 하는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데, 그 논의는 몇 달 앞으로 다가온 대법관

    중앙일보

    2003.07.28 10:30

  • [대법원을 보는 시각]

    법원길들이기 최근 일부 언론과 법조계 일각에서는 대법관들의 정치철학적 성향과 대법원 판결의 성격을 규정하고자 하는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데, 그 논의는 몇 달 앞으로 다가온 대법관

    중앙일보

    2003.07.28 10:29

  • [용어 해설] ABM협정·START·MD

    *** ABM협정 (탄도탄요격미사일 협정) 탄도탄요격미사일(ABM:Anti-Ballistic Missile)제한협정은 1972년 5월 리처드 닉슨 미 대통령과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중앙일보

    2001.12.14 00:00

  • [MLB] 라미레스, 우익수로 원대복귀

    매니 라미레스와 그린몬스터와는 별로 궁합이 안맞는 듯이 보인다. 보스턴 레드삭스의 지미 윌리엄스 감독은 2일(한국시간)에 있었던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시범경기 개막전에서 12-5로

    중앙일보

    2001.03.03 14:24

  • [실록 박정희시대]30.자위에서 자주로

    박정희 (朴正熙) 대통령이 핵개발을 시작한 동기는 예기치 않은 미국의 주한미군 철군 통보였다. 북한에 비해 군사력에서 절대 열세였던 시절이었기에 국민들은 위기감에 사로잡혔고 박정희

    중앙일보

    1997.11.03 00:00

  • [분수대]무역전쟁

    17세기 영국 철학자 존 로크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혹은 국가와 국가 사이의 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은 오직 두가지뿐이라고 역설했다. '법' 과 '힘' 이라는 것이다. 여기서의 법은

    중앙일보

    1997.10.04 00:00

  • 49.문서에 나타난 韓美관계 6.끝.

    1970년대의 한-미관계는 갈등과 긴장의 연속이었다.근본원인은 주한미군 철수 때문이었다.닉슨 미국대통령은 아시아에서 제2의 월남전과 같은 사태가 발생해 미국이 또다시 원치 않는 군

    중앙일보

    1995.10.24 00:00

  • 리비아사태 미-소 관계 큰 영향 없을 듯

    【워싱턴=장두성 특파원】리비아에 대한 미국의 전격적 군사행동은 모처럼 접근하고 있던 미소관계를 크게 냉각시켰다. 「도브리닌」전 소련대사는 오는 7월로 예정된「레이건」-「고르바초프」

    중앙일보

    1986.04.17 00:00

  • 미국코널사관련 쌀도입파동전발

    미국의 양곡업자와 의원들이 연출해내는 쌀파동합작극이 또다시 한미양국관계에 파문을 만들고 있다. 문제의 양곡업자「코널」, 중간거래책 박동선씨의 역할을 저간의 사정을 살펴본다. 「코널

    중앙일보

    1983.07.09 00:00

  • 등-슐츠 회담 주목|본사 장두성 워싱턴특파원, 중공주재 미 특파원과 긴급전화

    【워싱턴=장두성 특파원】북경을 방문중인 「슐츠」미 국무장관은 남북한교차승인문제를 중공지도자들에게 타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미 볼티모선 지 북경주재특파원 「존·우드러프」기자가 4일

    중앙일보

    1983.02.05 00:00

  • (57)|아프간 공격 (하)

    나의 다음번 결정은 아이오와 주민들에게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었다. 그것은 소련에의 곡물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하느냐 마느냐 하는 것이었다. 다른 경제적 조치들도 어느

    중앙일보

    1982.12.21 00:00

  • 카터 회고록『신의를 지키며』(3)

    「밴스」와「브레진스키」와 나는 마무리 협상을 빠르게 추진하되 우리 쪽의 정상화조건은 일절 바꾸지 않기로 했다. 우리는 등소평이 보낸 공동성명 초안을 거부하고, 우리가 앞서 제의한

    중앙일보

    1982.10.06 00:00

  • 카터 회고록『신의를 지키며』(2)

    내가 중공과의 교섭을 추진하는 동안에도 파나마운하 조약에 관한 찬반토론은 줄곧 계속됐다. 77년 이른 가을에는 마무리되어지려니 했던 이 문제는 78년도 의회 회기가 시작될 즈음에도

    중앙일보

    1982.10.05 00:00

  • “두 얼굴의 사나이”…「그린베레」|“나는 결국 속았다”…「침묵의 계율」깬 퇴역 톰슨 상사

    미국의 CIA(중앙정보국)가 국익의 이름아래 세계 곳곳에서 불법적으로 첩보 및 파괴활동을 벌여온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계를 할퀴는 미국의 발톱은 CIA만이 아니

    중앙일보

    1982.07.14 00:00

  • 「워싱턴·포스트」지, 「치욕의 전말서」 공개-신문의 신뢰성 먹칠한 『지미의 세계』

    「워싱턴· 포스트」지는 그 동안 「퓰리처」상 반납소동을 일으킨 「재니르· 쿠크」 여기자(26)의 가짜 기사사건에 대한 자체 조사를 실시, 그 전말을 19일자 일요판에 5 페이지에

    중앙일보

    1981.04.21 00:00

  • 남북직통전화

    북경과 「모스크바」 사이에도「핫·라인」이 있는 모양이다. 「닉슨」의 『회고록』을 보면 이 전화가 한때 불통했던 얘기가 나온다. 1966년 진보도에서 중소가 충돌했을 때의 일이다.

    중앙일보

    1980.01.12 00:00

  • 박정희대통령 48년 5개월의 발자취

    박대통령이 집권 18년반동안 이룩한 치적은 이루 헤아리기 어렵다. 그러나 한가지 일관된 특징이있다. 그것은 3천7백만 국민의 힘을 나라를 지키는 일과보다 잘사는 나라로 만드는 일에

    중앙일보

    1979.11.02 00:00

  • (3)|월남전 (상)|「티우」가 말을 잘 안들어 따돌리기로 했다

    (편집자주=월남전 종결은 「닉슨」 미 행정부의 3가지 주요 정책 목표 가운데 하나였다. 「키신저」 대통령 안보 담당 특별 보좌관은 월맹 측과 3년 동안 비밀 회담을 가졌다. 「파리

    중앙일보

    1978.05.02 00:00

  • 박동선씨 등 로비활동 관련 FBI 문서공개|프레이저위

    【워싱턴=김건진특파원】미 연방수사국(FBI) 에드거·후버 국장이 71년 당시 키신저 대통령 안보담당 보좌관과 존·미첼 법무장관에게 『박동선씨는 한국 정보기관의 명령에 따라 로비활동

    중앙일보

    1978.03.22 00:00

  • 미 동맹국에 소동 일으키는 「재워스키 전술」

    「재워스키」특별고문이 한국에 대한 각종 요구를 날로 증가시키면서 미국의 주요 우방들 사이에는 이미 그들 국가와 미국 사이에 구축된 외교성과를 뒤엎고 외교관계를 마비시킬 위험에 대한

    중앙일보

    1978.02.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