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분수대] DNA 50년

    인간의 정자를 최초로 관찰하고 기록한 사람은 네덜란드인 안토니 반 레벤후크(1632~1723)였다. 그는 1677년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정액을 들여다본 후 "천개도 넘는 극히

    중앙일보

    2003.04.24 19:04

  • [DNA발견 50주년] 4. '25일은 DNA의 날' 워싱턴은 축제 열기

    [DNA발견 50주년] 4. '25일은 DNA의 날' 워싱턴은 축제 열기

    유전물질인 DNA의 구조를 밝힌 제임스 웟슨과 프랜시스 크릭의 두장짜리 논문이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지 25일로 50주년이 된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산하기관이자 인간

    중앙일보

    2003.04.23 16:00

  • '이중나선' 기초 女과학자가 먼저 알았다

    역사에 이름을 남기고 싶거든 남보다 오래 살아라. 뛰어난 업적을 내놓고도 일찍 세상을 떠남으로써 노벨상의 영예로운 리스트에 오르지 못한 과학자들이 있다. 여성 과학자 로잘린 프랭클

    중앙일보

    2003.04.23 15:58

  • 영국 과학강연 188년 전통 자랑

    역사와 전통의 나라라는 영국에는 1백88년의 전통을 가진 대중과학 강연이 있다. 해마다 연말에 이뤄지는 '크리스마스 강연'이 그것. 영국 왕립연구소가 주최하는 크리스마스 강연은 1

    중앙일보

    2003.04.09 16:08

  • [이중국적 이젠 다시 볼 때다] 下. 정서냐 실리냐

    [이중국적 이젠 다시 볼 때다] 下. 정서냐 실리냐

    중앙일보의 '이중국적-이젠 다시 볼 때다'시리즈가 나간 뒤 미국 뉴욕의 모바일 정보통신 업체에 근무한다는 이민영씨는 취재진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e-메일을 보내왔다. "공직에

    중앙일보

    2003.03.14 18:09

  • 읽기 장애 '적외선 안경'으로 찾는다

    읽기 장애 '적외선 안경'으로 찾는다

    스웨덴에서 개발한 '적외선 안구감지 고글'이 어린이 '읽기 장애'의 조기 진단 기기로 각광받고 있다. 안구에는 한쪽에 6개씩 근육이 붙어 있어 양쪽 눈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통해 물

    중앙일보

    2003.01.10 17:50

  • [생활과학] 읽기 장애 '적외선 안경'으로 찾는다

    스웨덴에서 개발한 '적외선 안구감지 고글'이 어린이 '읽기 장애'의 조기 진단 기기로 각광받고 있다. 안구에는 한쪽에 6개씩 근육이 붙어 있어 양쪽 눈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통해 물

    중앙일보

    2003.01.08 16:20

  • [스웨덴 스톡홀름 노벨상 축제의 현장]노벨상 위해 뛰는 일본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결정하는 카롤린스카 연구소. 정문에서 오른쪽으로 난 갓길을 따라 15분 정도 걸어 올라가면 연구소 내 포기데브레야탄 2번가의 아담한 3층 건물을 만난다

    중앙일보

    2002.12.12 00:00

  • "자유로운 사고와 창의력이 중요" 노벨 생리의학상 선정위원장 스텐 린달

    "공부만 잘하는 인재는 노벨상을 받을 수 없습니다. '말괄량이 삐삐'의 주인공처럼 생각이 자유롭고 창의성이 있는 인재를 길러야 합니다." 매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결정 과정을

    중앙일보

    2002.11.05 00:00

  • 노벨 생리의학상 선정위원들 3일 방한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기관인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생명과학자들이 3∼5일 한국을 방문한다. 서울대 생명과학부가 주최하고, 중앙일보·주한 스웨덴 대사관이 후원하는

    중앙일보

    2002.11.02 00:00

  • 한·스웨덴 생명공학 심포지엄

    노벨상의 나라 스웨덴과 한국의 생명과학자들이 바이오 과학·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하고 논의하는 한국-스웨덴 생명공학 심포지엄이 열립니다. 일반인들을 위해 노벨 생리의학상 선정위

    중앙일보

    2002.11.01 00:00

  • 통계로 본 노벨상 과학부문

    1백년 노벨상 역사에는 한번도 타기 어려운 상을 두번씩 받거나 부자가 공동 수상하는 등의 진기록도 있다. 노벨상을 두 번 수상한 과학자는 화학상과 물리학상을 수상한 마리 퀴리가

    중앙일보

    2002.09.26 00:00

  • "과학문화가 뿌리 내려야 노벨상 꿈 이루어질 것"

    노벨상 전시회가 서울 로댕갤러리에서 열릴 정도로 그 어느 해보다 노벨상이 우리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또 오는 10월에는 2002년도 노벨 물리학·화학·생리의학상이 발표된다. 우

    중앙일보

    2002.09.26 00:00

  • 후보 추천권 확보가 우선 과제

    "과학자들이 자긍심을 갖지 못하게 하는 한국 사회에서는 과학이 제대로 성장할 수 없습니다. 과학분야의 노벨상을 많이 탄 영국·스웨덴 등 선진국들은 과학자들이 돈은 많이 못 벌어도

    중앙일보

    2002.09.26 00:00

  • 페니실린 발견 플레밍 과학계의 '홈런 한 방'

    '젖은 손∼이 애처로워 살며시 잡아본 순간'으로 시작하는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를 부른 가수는 하수영이다. 그는 이 곡 외엔 이렇다할 히트곡이 없지만, 이 한 곡으로 가요계에

    중앙일보

    2002.09.26 00:00

  • 내가 동물이 되어보니… 아하!

    떡갈나무 한 그루를 보자. 여우의 입장에서 떡갈나무는 집이다. 여우는 나무뿌리 사이에 구멍을 파고 제 짝과 새끼들을 보호하고, 먹고 자고 쉬는 장소로 쓴다. 그러나 여우에게 의미

    중앙일보

    2002.07.13 00:00

  • [국민건강 업그레이드] 4. 무서운 당뇨, 미리 대비하자

    [국민건강 업그레이드] 4. 무서운 당뇨, 미리 대비하자

    역대 최연소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는 캐나다 의사 밴팅이다. 밴팅은 당뇨를 치료할 수 있는 인슐린을 분리해낸 공로로 1923년 32세의 나이에 노벨상을 수상했다. 밴팅 이후 당뇨 연

    중앙일보

    2002.05.21 09:47

  • 무서운 당뇨, 미리 대비하자 ④ 끝 - 혈당 조절 힘들면 '인슐린 펌프'사용

    역대 최연소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는 캐나다 의사 밴팅이다. 밴팅은 당뇨를 치료할 수 있는 인슐린을 분리해낸 공로로 1923년 32세의 나이에 노벨상을 수상했다. 밴팅 이후 당뇨

    중앙일보

    2002.05.21 00:00

  • "10년 뒤엔 치매약 나올 것" 노벨생리의학상 그린가드박사

    "10년 뒤엔 치매약 나올 것" 노벨생리의학상 그린가드박사

    "10년 뒤면 치매 치료약이 나올 겁니다." 16~17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 한국생화학회 특별 강연자로 초청돼 한국에 온 2000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폴 그린가드(77)

    중앙일보

    2002.05.18 10:49

  • "10년 뒤엔 치매약 나올 것"

    "10년 뒤면 치매 치료약이 나올 겁니다." 16~17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 한국생화학회 특별 강연자로 초청돼 한국에 온 2000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폴 그린가드(77)

    중앙일보

    2002.05.18 00:00

  • ``노벨 생리의학상에 근접`` 한국인 의학자 20인 선정

    대한의사협회는 3일 노벨 생리의학상에 가장 근접한 우수 의학자 20인을 선정, 발표했다. 국제 학술지 논문게재수와 인용빈도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우수 의학자엔 대장암 유전자 및 암

    중앙일보

    2002.05.06 13:28

  • "노벨 생리의학상에 근접" 한국인 의학자 20인 선정

    대한의사협회는 3일 노벨 생리의학상에 가장 근접한 우수 의학자 20인을 선정, 발표했다. 국제 학술지 논문게재수와 인용빈도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우수 의학자엔 대장암 유전자 및

    중앙일보

    2002.05.04 00:00

  • "노벨의학상 수상자 8년내 나올 것"

    "이번에 대한의사협회가 선정한 의학자 스무명은 현재 노벨상에 근접한 분들입니다. 국제 학계에서 적절한 평가만 이뤄진다면 2010년 이전에 수상자가 나오리라고 봅니다." 20인의

    중앙일보

    2002.05.04 00:00

  • [지구촌 헬스] 당뇨병과의 전쟁

    11월 14일은 '세계 당뇨병의 날'이다. 당뇨병은 이미 기원전 1500년께의 이집트 파피루스에도 기록돼 있을 만큼 오랜 질환이다. 그러나 원인과 치료가 밝혀지기 시작한 것은 80

    중앙일보

    2001.11.19 09:59